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한국근대농업사연구 III -전환기의 농민운동-
저자
김용섭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지식산업사
발행일
2001년07월
발행지역
서울
판형
페이지
258
대분류
동학농민혁명의 배경
중분류
사회·경제적 배경
구분
단행본
목 차ID : prb_0001_0001


導論 - 朝鮮後期의 農業問題와 實學
1. 序言
2. 兩亂 후의 農政策과 朱子學
3. 農民層의 分化와 實學派의 改革方案
4. 農民層의 抗爭과 實學派의 改革方案
5. 結語
哲宗朝의 民亂發生과 그 指向 - 晋州民亂 按覈文件의 分析
1. 序言
2. 資料에 대하여
3. 民亂의 展開過程과 都會 · 呈訴運動의 目標
1) 民亂發生의 契機와 그 展開過程
2) 都會 · 呈訴運動의 主體와 그 目標
4. 民亂發生의 背景과 亂 推進勢力의 指向
1) 農村社會의 分解와 矛盾의 深化
2) 身分制의 動搖와 社會平等意識의 成長
3) 沒落農民의 思亂意識 形成과 指向
5. 結語
古阜民亂의 社會經濟事情과 知的環境 - 東學亂 · 農民戰爭의 背景 理解와 관련하여
1. 序言
2. 古阜民亂의 經濟事情
1) 古阜民의 農地所有와 分解
2) 賦稅의 加重과 地主制의 擴大
3) 時作農民의 推移
3. 古阜民亂의 政治 · 社會背景
1) 身分制의 變動 · 解體의 進展
2) 支配層의 政治變亂 改革運動
3) 民의 政治 · 社會的 抵抗運動
4) 東學敎團의 敎祖 伸寃運動
4. 古阜地域의 知的環境
1) 鄕校
2) 書院
3) 書堂
4) 學校敎育의 成果와 思想의 特徵
5) 東學
5. 結語 - 民亂의 전개와 그 運動史的 위치
「全琫準 供草」의 分析 - ‘東學亂’의 性格 一斑
1. 序言
2. 農民軍 起包 前提의 問題
3. 農民軍의 組織과 構成 問題
1) 農民軍 組織의 統一性 與否
2) 農民軍의 身分階級 構成
(1) 敎徒層과 起包
(2) 農民層과 起包
(3) 兩班 · 鄕吏 · 里執網層과 起包
(4) 革新 指導層과 起包
4. 農民軍의 反封建 實踐意識 問題
1) 敎團本部의 姿勢
2) 南接 全琫準 등의 革新性
(1) 進步的 思想의 形成段階
(2) 古阜民亂의 段階
(3) 3月起包의 段階
(4) 執綱所時期의 段階
(5) 9月起包의 段階
5. 農民軍의 反侵略 民族意識 問題
1) 全琫準 등의 民族意識
2) 東學敎門의 姿勢
6. 結語
英文槪要 
索引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