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쉽게 풀어 쓴 청일전기
저자
이승만/김용삼·김호선·류석춘 엮음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북앤피플
발행일
2015년03월
발행지역
서울
판형
페이지
420
대분류
동학농민혁명 일반
중분류
청일전쟁
구분
단행본
목 차ID : prb_0001_0198

제1부 청일전기
1917년 서문 (이승만)
1900년 서문 (이승만)
01. 전쟁 전 청국과 일본 간에 오고 간 외교 공문 9점 (1894.6.6. ~ 7.14)
02. 청일전쟁의 원인 (이승만)
03. 청국 관보(官報)에 반포한 조칙 21건 (1894.8.2.~1895.12.3.)
04. 청일전쟁 전후(前後) 세계 각국이 주고받은 전보
05. 일본 메이지 천황의 선전포고문
06. 조선 난리의 역사적 기록 (제 1부터 제 12까지) (알렌)
07. 시모노세키 조약 막전 막후
(1) 시모노세키 강화회담장에서 양국 대표들이 주고받은 대화
(2) 이홍장(李鴻章) 피격 사건
(3) 시모노세키 회담에서 이홍장이 일본 전권대표들과 주고받은 외교 공문
(4) 이토 히로부미의 답신 외교 공문 (청국 측 의견에 대한 일본 측 입장)
(5) 이홍장이 수정해서 보낸 외교 공문
(6) 시모노세키 평화조약 초본
(7) 이토 히로부미가 이홍장에게 1895년 4월 11일 보낸 최후 의견
(8) 이홍장이 이토 히로부미의 답신을 보고 4월 12일 보낸 회답
(9) 이토 히로부미가 4월 13일 (음력 3.19) 다시 보낸 외교 공문
(10) 이홍장이 이토 히로부미에게 4월 14일 (음력 3.20) 보낸 편지
(11) 강화회담장에서 이토 히로부미와 이홍장이 주고받은 대화
(12) 시모노세키 평화조약 최종 내용
(13) 평화조약에 첨부한 조항
(14) 평화조약을 체결하기 전에 맺은 휴전조약
(15) 평화조약 체결 후 일본이 점령했던 청국 봉천(奉天·펑톈)성 남쪽지역 반환 조약
(16) 일본 천황의 평화조약 체결 관련 담화문
08. 일본이 요동반도를 청국에 반환한 후 발표한 담화문
09. 조선과 일본이 체결한 임시조약
10. 청국 북양함대 제독 정여창의 최후
(1) 일본 연합함대 사령관 이토 스케유키(伊東祐亨)가 정여창에게 보낸 항복 권유 편지
(2) 정여창이 이토 스케유키 사령관에게 보낸 답신
(3) 이토 스케유키 사령관이 정여창 제독에게 다시 보낸 편지
(4) 정여창 제독이 이토 스케유키 사령관에게 다시 회답한 편지
11. 청일전쟁 전후의 동북아 정세 분석
(1) 조선 대군주(고종) 폐하께서 종묘에 맹서하며 고하신 글 (홍범 14조)
(2) 한.청.일(韓淸日) 3국 전쟁의 원인에 대한 분석 (알렌·채이강)
(3) 청.일 양국의 정치가 서로 다른 이유 (알렌)
(4) 아시아 상황을 종합한 논의 (알렌·채이강)
(5) 러시아에 대하여 (알렌·채이강)
(6) 청일전쟁 참전기: 북양함대 지휘관으로 황해해전에 참가한 미국인 필로 맥기핀의 회고
12. 청일전쟁 이후 동북아 주변국들이 체결한 비밀조약
(1) 청.러시아 비밀조약
(2) 청.러시아 특별조약
(3) 전보 (1896.1~1897.10)
(4) 한성조약
(5) 모스크바 조약 (로마노프.야마가타 협정)
13. 청일전쟁의 교훈
(1) 조선 사신 민영환의 어록
(2) 청국 황제의 국서
(3) 영국 의회의 외교론 (알렌·채이강)
14. 권고하는 글 (이승만)
제2부 청일전쟁 이해에 필요한 배경지식 (김용삼. 김효선)
01. 청일전쟁 전후 조선의 정황
02. 동학과 대원군 그리고 청일전쟁
03. 일본군의 조선 파병 과정
04. 청일전쟁의 주요 전투 설명
05. 황해 해전의 교훈
06. 일본이 청국에 제시한 시모노세키 평화조약 초안(1895. 4. 1)
이승만 연보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