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Ⅰ. 조선 후기의 철학사상
1. 사회 · 역사적 조건과 철학적 특징
1) 사회 · 역사적 조건
2) 철학사상의 특징
2. 정주학의 몰락
1) 정주학 내부의 ‘예론’ 논쟁
2) 김장생의 예론과 성리학
3) 송시열의 관념론과 정치사상
4) 기정진 · 이진상의 관념론 철학과 유교 관념론의 파산
3. 실학파의 철학과 사회정치사상
1) 실학사상의 형성 · 발전 및 그 특징
2) 실학파의 철학 및 사회정치사상
4. 반정주학적 이단철학 -한학과 양명학파
1) 반정주학 사조의 대두
2) 한학파의 주요 대표자인 윤휴와 박세당
3) 정제두와 양명학파
5. 조선 후반기 유물론 철학의 발전
1) 임성주의 유물론
2) 기일원론을 집대성한 최한기의 유물론
Ⅱ. 근대 철학사상
1. 사회 · 역사적 조건과 철학적 특징
1) 사회 · 역사적 조건
2) 근대철학사상의 특징
2. 위정척사론의 새로운 대두와 정주학의 파산
1) 위정척사론의 새로운 대두
2) 유인석의 관념론과 사회정치사상
3. 개화파와 김옥균의 철학 및 정치사상
1) 개화사상의 흥기와 갑신정변
2) 김옥균의 유물론적 경향과 진보적 정치사상
4. 동학사상과 갑오농민전쟁
1) 동학사상 및 최제우의 종교론적 관념론
2) 전봉준의 사회정치사상
5. 애국문화운동가의 철학 및 사회정치사상
1) 이기의 철학사상 및 사회정치사상
2) 박은식의 ‘유교구신론’과 계몽사상
3) 신채호의 관념론과 애국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