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동학이 제시하는) 후천 문명의 패러다임
저자
김진혁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명선미디어
발행일
2001년07월
발행지역
서울
판형
페이지
350
대분류
동학사상 일반
중분류
동학종교(천도교)
구분
단행본
목 차ID : prb_0001_0251

목차
들어가는 글
제1장 서론(序論)
1. 신들을 찾아온 역사
2. 수메르 문명과 기독교 및 유 · 불 · 도 문명의 원천
3. 세계 문명의 새 중심이 될 한국 문명
제2장 히브리 문명의 모체인 수메르 문명
1. 수메르 문명의 구조와 히브리 문명
1) 수메르인의 인종과 언어
2) 에덴 동산의 원형인 딜문 동산
2. 두 문화의 신화 구조
1) 수메르와 히브리의 부활 사상과 구조
2) 수메르와 히브리의 부활 구조 비교
3) 탐무즈 및 바알의 죽음과 부활
3. 수메르의 대홍수 설화
1) 길가메쉬 서사시의 홍수 설화
2) 수메르 홍수 설화와 성경의 홍수 설화
4. 수메르의 창조설화와 구조
1) 수메르의 엔키와 닌마의 창조설화
2) 아카드 아트라하시스 창조설화
3) 히브리(성경) 창조설화의 구조
5. 수메르의 에녹과 노아
1) 성경의 에녹과 노아의 비교
6. 아담 타락의 원형(길가메쉬 서사시 중에서)
1) 아다파 신화에서의 타락
제3장 세계 제 문명의 원형인 한 문명(桓文明)
1.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나라 한국(桓國)
1) 한웅천왕의 배달국
2) 단군 왕검의 고조선{주신 · 숙신(肅愼)}
3) 지상의 하늘나라(세계 통일제국이었던 삼조선시대)
2. 한 문명의 구조(桓文明의 構造)
1) 한인(桓因)의 의미
2) 한(桓), 안(An), 칸(왕), 간(幹)의 의미
3) 하늘의 실체와 상징
4) 땅의 실체와 상징
5) 사람의 실체와 상징
제4장 천부경과 삼일신고 해석
1. 천부경과 삼일신고의 원리
1) 소도경전본훈(蘇塗經典本訓) 대변설주
2) 소도경전본훈 본문
3) 대변경(大辯經) 본문
4) 대변경 주(注)
ㄱ) 해석1.(대변경설주)
ㄴ) 해석2.
ㄷ) 해석3.(대변경)
2. 천부경(天符經 81字) 본문
3. 삼일신고 서(三一神誥 序)
1) 표훈천사(表訓天詞)
2) 대변경(大辯經)
3) 고려팔관기삼신설
ㄱ) 해석(표훈천사)
ㄴ) 해석(대변경)
ㄷ) 해석(고려팔관기삼신설)
4. 삼일신고 본문 해석
제1장 허공(虛空)
제2장 일신(一神)
제3장 천궁(天宮)
제4장 세계(世界)
제5장 인물(人物)
5. 한국학의 근본 틀과 후천 문명시대의 주역
1) 한국학은 후천 문명의 패러다임
2) 천부경 원리의 현대적 의미
3) 천부경의 ‘一’수의 의미
6. 유위자 선인의 천부경 해석
1) 마한세가 상편
7. 삼일신고 원리 해설
제1장 허공
제2장 일신
제3장 천궁
제4장 세계
제5장 인물
제5장 후천 개벽의 천도인 동학
서언 
1. 동경대전(東經大全)
1) 포덕문(布德文)
2) 논학문(論學文)
3) 수덕문(修德文)
4) 불연기연(不然其然)
2. 용담유사(龍潭遺辭)
1) 교훈가(敎訓歌)
2) 안심가(安心歌)
3) 용담가(龍潭歌)
4) 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5) 도수사(道修辭)
6) 권학가(勸學歌)
7) 도덕가(道德歌)
8) 흥비가(興比歌)
3. 주문과 시부(呪文과 詩賦)
1) 축문(祝文)
2) 선생 주문(呪文)
3) 본 주문
4) 제자들의 초학 주문
5) 강령 주문
6) 본 주문
7) 입춘시(入春詩)
8) 절구(絶句)
9) 항시(降詩)
10) 좌잠(坐箴)
11) 화결시(和訣詩)
12) 탄도유심급(歎道儒心急)
13) 결(訣)
14) 우음(偶吟)
15) 팔절(八節)
16) 우(又)
17) 제서(題書)
18) 영소(詠宵)
19) 필법(筆法)
20) 유고음(流高吟)
21) 우음(又吟)
22) 통문(通文)
23) 통유(通諭)
24) 포덕식(布德式)
25) 입도식(入道式)
26) 치제식(致祭式)
27) 제수식(祭需式)
28) 발문(跋文)
제6장 유 · 불 · 도의 원리와 그 근원인 선도
1. 유교의 도덕 원리
1) 공자의 도덕주의
2) 공자의 경천 사상과 신관
3) 참사람의 모델과 인(仁)
4) 반성
2. 불교
1) 인간의 자아(自我)라고 하는 덫
2) 해인삼매와 화엄삼매
3) 비로자나불의 법상(法相)
4) 석존의 초월적 인식 원리의 반성
5) 불교의 도덕적 한계와 기복 신앙
3. 황노학(黃老學 · 도교)
1) 노자의 무위자연과 도(道)
2) 생성적 세계관의 도(道)와 천지인 삼재
3) 노자의 성왕과 인간의 모델
4) 도덕 사회의 원리인 천덕과 천도
5) 수도와 금욕으로 도에 합일
6) 반성
7) 노자의 이상 국가
제7장 참사람 완성과 천국 건설의 도
1. 참사람의 표본과 자연(天)
2. 인간 소외의 패러다임
3. 후천은 인존시대(人尊時代)
4. 결어(結語)
인(仁) 사상과 인내천(人乃天) 사상의 의의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