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任實東學史
저자
나종우 외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전북역사문화학회
발행일
2006년
발행지역
전주
판형
페이지
288
대분류
동학사상 일반
중분류
동학종교(천도교)
구분
단행본
목 차ID : prb_0001_0261

제1장 총론
1. 동학창도(東學創道)의 배경
1) 국내외 정세
2) 동학의 창도
2. 동학의 전북 포교와 임실
제2장 임실의 동학사(東學史)
1. 동학의 임실 전래
2. 이필제(李弼濟)의 난과 해월신사(海月神師)
3. 해월신사(海月神師)의 (1870~1873)행적
4. 임실동학을 정착시킨 최찬국과 그 일가(一家)
1) 최봉성 (崔鳳城, 1838~1898)
2) 최승우 (崔承雨, 1861~1926)
3) 최유하 (崔由河, 1864~1906)
4) 최동필 (崔東弼, 1876~1905)
5) 최봉상 (崔鳳上, 1855~1919)
6) 최봉각 (崔鳳珏, 1855~1906)
7) 최종기 (崔宗箕, 1883~1952)
8) 최종택 (崔宗澤, 1888~1957)
9) 최종주 (崔宗周, 1892~1952)
10) 최동안 (崔東安, 1915~2006)
5. 임실 지역 동학(東學)의 정착(定着)
6. 교조신원운동과 갑오동학농민운동 참여
7. 삼화학교(三和學校)와 교리강습소(敎理講習所)
1) 임실과 김개남에 관련된 자료
2) 가사집에 언급된 지역을 조사 =
3) 김개남의 묘(墓)
8. 남원 대접주 김홍기(金洪基)와 임실
9. 갑진혁신운동의 전개와 교명의 개정
10. 임실(任實)과 3ㆍ1운동
11. 김영원 선생의 유업을 4대째 이어온 김정갑 도훈의 증언
12. 무인(戊寅) 배일운동(排日運動)과 임실(任實)
13. 천도교도 개인별 공적
제3장 천도교 임실교단의 운영과 항일구국운동
1. 민족정기의 맥을 이어온 천도교
2. 천도교 연원의 유래와 변천과정
3. 천도교 창건과 임실교단의 구성
1) 천도교 창건
2) 임실교단의 구성
4. 임실교단의 운영과 항일구국운동
1) 포접제(包接制)/연비제(聯臂制)시대(1860~1905)
2) 부구제(部區制)/연원제(淵源制)시대(1906~1922)
3) 종리원제(宗理院制)/포부제(布部制)시대(1922~1940)
5. 임실동학사의 새로운 연구를 기대하며
부록
東學ㆍ天道敎 略史
임실교(任實敎) 설립후(設立後) 역대교구장(歷代敎區長)
임실군 동학농민운동 참가자 유족 등록 자료
임실군 천도교 명예회복 신청자 명단
大神師 100年 紀念會 會員名簿
동학기념 비문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