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동학사상을 중심으로 한) 평화통일의 정치사상
저자
노태구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신인간사
발행일
2000년10월
발행지역
서울
판형
페이지
358
대분류
동학사상 일반
중분류
동학종교(천도교)
구분
단행본
목 차ID : prb_0001_0264

목차
글 머리에
제1부 자주 평화 통일의 조건
제1장 통일방안의 문제점
제1절 남북한 통일정책의 기본 방향
제2절 남북한 통일방안의 문제점
제3절 한국 정부 통일방안의 문제점
제4절 평화통일 이념으로서의 한국민족주의
제5절 한국민족주의 통일철학의 대안
제2장 한국의 정치와 민족주의사상
제1절 광복 50년, 분단과 통일의 과정
제2절 민족주의 이데올로기
제3절 한국 정치 50년
제4절 동귀일체의 정치를 위하여
제3장 민족화합을 위한 사회통합의 방향
제1절 사회통합을 위한 사상적 지표
제2절 민족화합의 기본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
제3절 조화이념으로서의 동학사상
제4절 사회통합과 한국민족주의
제5절 한국민족주의와 조화사상
제2부 남북한 민족주의의 전개 과정
제4장 한국민족주의의 전망
제1절 민족과 계급 관계 규명의 필요성
제2절 계급과 민족
제3절 민족주의와 마르크스주의
제4절 로흐(Hroch)의 수렴이론
제5절 한반도 통일에서의 계급과 민족
제5장 남한체제의 수립 과정과 전망
제1절 남한체제 논구(論究)의 당위성
제2절 민족주의의 이념
제3절 북한체제 수립 과정과 전망
제4절 민족국가와 자본주의
제5절 한국의 민족주의
제6절 자본주의체제의 형성과 전개
제7절 한국민족주의와 자본주의
제8절 통일의 방향모색
제9절 한국민족주의의 장래
제6장 북한의 지방행정에 대한 연구
제1절 북한 지방행정 연구의 의의
제2절 지방자치와 민족공동체
제3절 북한체제의 지방행정의 위상
제4절 북한 지방행정의 이념
제5절 북한 지방행정의 체계
제6절 북한 지방행정과 주민생활
제7절 북한 지방행정의 성격
제8절 남북한 지방자치단체간 교류의 전망
제3부 동학과 통일민족주의
제7장 제3의 길
제1절 제3의 길의 접근방법
제2절 정치경제와 정치
제3절 정치경제의 구조
제4절 이념형적 두 경제 구조
제5절 두 이념형의 문제점
제6절 실제적 정치경제 : 이념들(lsms)
제7절 제3의 길 : 혼합경제
제8절 동학(東學)의 정치경제학
제9절 신자유주의에 대해
제8장 천도교와 민족통일전선
제1절 취지와 의의
제2절 통일전선(統一戰線)의 의의
제3절 동학사상의 이해
제4절 동학사상의 발전
제5절 천도교(天道敎)에 대해서
제6절 논의의 발전을 위하여
제9장 연방제(聯邦制)와 민족주의
제1절 모든 정치는 지방적이다
제2절 하위민족단위 정치학(Subnational Politics)
제3절 연방(국가)제(Federal Systems)
제4절 단일(국가)제(Unitary Systems)
제5절 민족주의의 정치
제6절 공동체정치
제7절 논의의 정리를 위하여
제4부 평화통일운동의 과제와 방향
제10장 남북한 통일운동의 이론과 실제
제1절 민족주의와 민족통일
제2절 진보적 민족주의에 대하여
제3절 한국 정부의 통일정책
제4절 북한의 고려연방제
제5절 시대별로 본 통일운동의 과제
제6절 통일운동의 방향 : 연방제로
제7절 통일운동의 실천적 과제
제11장 민족의 평화통일을 위한 대통령의 정치철학
제1절 대통령과 정치철학
제2절 정치제도의 개념
제3절 정당정치론
제4절 정치과정론
제5절 한국민족주의론
제6절 통일 대통령을 기다리며
부록
Ⅰ. 각 장의 주석
Ⅱ. 참고문헌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