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과 논문의 구성
Ⅱ. 선행연구, 이론배경, 분석틀, 연구방법과 자료
1. 선행연구
1) 국가의 종교정책에 관한 추이
2) 천도교 내부의 상황변화
3) 서구 종교의 확산에 대한 해외 연구
4) 종교 위계에 대한 검토
5) 특정종교 이데올로기 재생산에 관한 고찰
2. 이론배경
1) 종교를 바라보는 시각
2) 종교 조직
(1) 종교 조직의 특성
(2) 종교의 제도화
3) 국가와 종교
4) 국가-(사회)-종교
5) 종교 시장
6) 천도교의 교리
(1) 천도교의 종지
(2) 교정쌍전론
3. 분석틀
4. 연구방법과 자료
Ⅲ. 일제강점기와 해방공간에서 천도교
1. 일제강점기의 천도교
1) 천도교의 개괄
(1) 천도교의 현황
(2) 천도교 교리와 의례
(3) 천도교의 조직 체계
(4) 전위단체
2) 일제의 종교정책
(1) 법령으로 한 통제
(2) 법령 이외의 통제
3) 일제에 대한 천도교의 저항
(1) 3.1운동
(2) 3.1운동 이후 해외에서 저항
① 고려혁명당
② 통일당과 중국에서의 활동
(3) 3.1운동 이후 국내에서 저항
① 오심당
② 6.10만세운동과 신간회
③ 조국광복회
④ 무인멸왜기도
4) 천도교의 분열과 협력
(1) 분열
(2) 친일 족적
2. 해방공간
1) 해방공간에서의 남한 천도교
(1) 미군정의 종교정책
(2) 천도교의 정치 참여
① 해방후부터 분열전까지 천도교의 행보
② 분열 시기 신파의 상황과 청우당
③ 분열 시기 구파의 상황과 보국당
(3) 천도교 교단 내부
(4) 남한사회의 천도교 배제
2) 해방공간에서 북한 천도교
(1) 소군정의 종교정책
(2) 북한의 천도교
(3) 북한 천도교의 활동
(4) 3.1재현운동
3. 소결
Ⅳ. 국가 형성기의 천도교
1. 남한 국가형성기와 천도교
1) 제1공화국의 종교정책
(1) 제1공화국의 종교정책
① 국경일과 공휴일
② 군종과 형목제도
③ 국기경례와 주일성수
④ 적산불하와 CBS
(2) 정부 인사와 국가공식 행사
(3) 의도치 않은 특혜
① 종립학교
② 반민특위
2) 전쟁과 천도교
(1) 천도교에 대한 남한사회의 계속된 배제
(2) 기회가 된 전쟁
① 전시활동
② 반공포로
3) 천도교의 생존전략
(1) 생존을 위한 선택
① 반공을 위한 종권투쟁
② 친정부화(親政府化)
(2) 정(政)을 포기한 전위단체
4) 천도교 지우기
(1) 개신교화 된 사회
(2) 교과서
(3) 천도교에 편승
① 유관순 영웅만들기
② 이상재 선생 묘비문 사건
2. 북한 국가형성기와 천도교
1) 북한의 종교정책
2) 천도교의 반공투쟁
(1) 반공투쟁과 탄압
(2) 영우회
3) 북한정권과 협력하는 천도교
4) 일인 독재 확립과 천도교
3. 소결
Ⅴ. 국가성장기의 천도교
1. 남한 국가 성장기와 천도교
1) 굳어져 가는 양대종교 중심 정책
(1) 지원
① 기독교와 동등해진 불교
② 양대종교 중심 종교정책에 대한 천도교의 비판
(2) 종교 통제
① 법률을 이용한 통제
② 민속신앙 통제
(3) 의도치 않은 통제와 혜택
① 종교교육
② 종립학교 재정지원
2) 혁명과 쿠데타
(1) 4월 혁명과 교권
(2) 정치단체, 동학당
(3) 군사쿠데타와 천도교의 지지
3) 성장하는 천도교
(1) 군사정권과 관계
① 도시계획 시정요구
② 용담정 개발
③ 정부 기관지화 된 신인간
④ 수운회관
(2) 통합되지 못한 조직
① 제1차 최덕신 반대 운동
② 제2차 최덕신 반대 운동
(3) 변화없는 조직과 활동
① 부결되는 개헌 시도
② 새인간연맹과 통안당
③ 통일운동에의 집중
④ 사회문제에 침묵
4) 계속되는 천도교 지우기
(1) 사실의 왜곡
① 독립선언서 인쇄소
② 제암리 사건
③ 전봉준 논란
(2) 교리의 왜곡
2. 북한 국가 성장기와 천도교
1) 북한의 종교정책
2) 북한의 제1종교 천도교
3) 주체사상과 천도교
4) 세습독재와 천도교
3. 소결
Ⅵ. 국가 성숙기의 천도교
1. 남한 국가 성숙기와 천도교
1) 문민정부 이후 종교정책
(1) 고착화
① 종교단체 보조금
② 종립사회복지단체
(2) 완화
① 군종장교
② 종교방송들
2) 천도교의 현실
(1) 조직구조의 정체(停滯)
(2) 재정부족
① 천도교유지재단
② 성미제도
(3) 자기반성
3) 전위단체의 부활
(1) 동학민족통일회
(2) 남북교류
(3) 동학민족통일회의 한계와 한울연대
(4) 다양한 국가기관과의 관계
① 3.1절 기념식
② 교과서 왜곡
③ 개발과 천도교 문화재
4) 성장하기 힘든 기반
(1) 교육기관
(2) 동학혁명기념일
(3) 전 교령의 월북
2. 북한 국가 성숙기와 천도교
1) 변하는 북한의 종교정책
2) 북한 천도교의 현황
3) 북한 천도교의 활동
4) 남북종교교류와 천도교
3. 소결
Ⅶ. 결론
1. 논문의 요약과 결론
1) 논문의 요약
2) 논문의 결론
2. 논문의 의의와 제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