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신앙의 대상의 이해를 위한 전제 검토
3. 신앙의 대상의 이해를 위한 방법론
4. 연구의 관점과 재료
5. 기존 문헌 고찰
Ⅱ. 구천상제(九天上帝)에 대한 존재론적 접근
1. 신관(神觀)에 근거한 존재론적 이해
2. 호칭(呼稱)에 근거한 존재론적 이해
1) 증산 자신에게 사용한 호칭에 대한 이해
2) ‘미륵(彌勒)’에 대한 고찰
3) ‘천주(天主)’에 대한 고찰
4) ‘상제(上帝)’에 대한 고찰
5)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姜聖上帝)’에 대한 고찰
3. 형이상학(形而上學)에 근거한 구천상제에 대한 이해
1) 신(神)의 존재에 대한 형이상학적 이해
2) 초월자(超越者) 및 내재자(內在者)에 대한 형이상학적 이해
4. 인간 강증산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84
1) 기독교의 성육신(成肉身)과 삼위일체(三位一體) 논쟁
2) 대순사상에서의 인간에 대한 존재론
3) 대순사상의 인간관에 근거한 강증산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Ⅲ. 구천상제(九天上帝)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
1. 이성을 통한 인식론적 접근
1) 기독교 신학에서 이성을 통한 신에 대한 접근
2) 이성을 통한 구천상제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
2. 경험을 통한 인식론적 접근
1) 경험을 통한 구천상제에 대한 인식
2) 증산에 대한 역사적 체험 사례
3) 계시적 체험을 통한 구천상제에 대한 인식 사례
4) 인간의 마음(心)에 근거한 구천상제에 대한 체험
Ⅳ. 구천상제(九天上帝)에 대한 관계-속성론적 접근
1. 구천상제와 만물과의 관계 : 창조론(創造論)을 중심으로
1) 창조주로써의 초월자
2) 기독교에서의 창조주(創造主) 하느님
3) 구천상제와 만물과의 관계
2. 구천상제의 속성: 인격신(人格神)과 이법신(理法神)을 중심으로
1) 신의 인격성(人格性) 및 이법성(理法性)과 관련된 종교철학적 문제
2) 구천상제의 속성: 인격성(人格性)과 이법성(理法性)의 공존
3. 구천상제의 만물에 대한 개입 방식
1) 초월자의 만물에 대한 개입과 관련된 종교철학적 문제
2) 대순사상에서의 악(惡)의 개념과 존재 이유
3) 인간에 대한 윤리관과 자유의지
4) 구천상제의 속성: 지선성(至善性)을 중심으로
5) 구천상제의 속성: 만물에 대한 개입 방식과 전지전능성을 중심으로
6) 다양한 종교철학 논변들과의 비교
Ⅴ. 구천상제(九天上帝)에 대한 가치론적 접근
1. 통일적 우주관 제시
1) 우주관의 개념과 사상사적 고찰
2) 우주만물의 구조론: 삼재사상(三才思想)을 중심으로
3) 우주만물의 구조론: 신관(神觀)을 중심으로
4) 우주만물의 구조론: 인간관(人間觀)을 중심으로
5) 우주만물의 운행론
6) 대순사상의 우주관의 의미와 가치
2. 천지공사를 통한 이상세계 구현
1) 천지공사의 구조
2) 천지공사의 결과
3) 천지공사의 의미와 가치
3. 인간의 삶의 지향점 제시
1) 종지론(宗旨論)
2) 신조론(信條論)
3) 목적론(目的論)
4) 대순진리회 교리의 의미
Ⅵ. 결론
참고문헌
표 목차
표 1. 선천과 후천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