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일러두기
해제
소모사실
관할 10읍(邑)
갑오년 11월 21일 도착한 순영(巡營)의 이문(移文)
갑오년 12월 초1일 각 읍(邑)과 본읍(本邑) 16개 면에 보낸 감결(甘結)과 전령(傳令)
갑오년 12월 초2일 지례(知禮)에 유진(留陣)한 대구초관(大邱哨官)에게 보낸 전령
같은 전령
김천 장시(金泉場市)의 병교(兵校)에게 보낸 전령
성주(星州)에 보낸 감결
12월 초3일 선산(善山)에 보낸 감결
개령(開寧) 옥산동(玉山洞)의 존위(尊位)와 두민(頭民)에 보낸 전령
12월 초5일 개령과 선산에 보낸 감결
같은 두 읍(邑)에 보낸 감결
선산에 보낸 감결
12월 초7일 순영(巡營)에 보낸 이문
각 읍에 보낸 감결 1. 선산 1. 개령 1. 성주
김천(金泉)에 머무는 부상초관(負商哨官)에 보낸 이문
상주 소모영(尙州召募營)에 보낸 이문
각 읍에 보낸 감결
12월 초9일 성주(星州)에 보낸 감결
성주에 보낸 감결
각 읍에 보낸 감결
김산(金山)에 보낸 감결
도착한 순영의 이문
선산에 보낸 감결
12월 초10일 도착한 순영의 이문
출진(出陣)한 유격장(遊擊將)에 보낸 전령
김천 장터 부상접장(負商接長)에게 보낸 전령
출사(出使)한 병정에게 보낸 전령
창촌점(倉村店)에 유진(留陣)한 군관에게 보낸 전령
창촌(倉村) 부근의 각 동 동임(洞任)에게 보낸 전령
16면(面)의 사수(社首)에게 보낸 전령-김산(金山)-
유진한 유격장에게 보낸 전령
12월 13일 선산에 보낸 감결
도착한 상주 소모사(尙州召募使)의 이문
성주에 보낸 감결
순영에 보낸 이문
각 읍에 보낸 감결
성주의 공형(公兄)에 보낸 전령
성주에 보낸 감결
옥천(沃川)에 유진한 경병유격장(京兵遊擊將)에 보낸 이문
김산에 보낸 감결
선산에 보낸 감결
상주 소모영(尙州召募營)에 보낸 회이(回移)
상주(尙州)에 유진한 유격장에게 보낸 본진(本陣) 유격장의 이문
상주진에 보낸 감결
개령에 보낸 감결
유진 대장(留陣大將)에 보낸 전령
황간(黃澗)에 유진한 유격장에게 보낸 전령
같은 전령
성주에 보낸 감결
거창(居昌)의 소모영(召募營)에 보낸 이문
도착한 인동 토포사(仁同討捕使)의 이문
각 읍에 보낸 감결
도착한 순영의 이문
황금소작동작점(黃金所雀洞雀店)과 출소요도치량(朮所要都治良) 동임(洞任)에게 보낸 전령
순영에 보낸 이문
인동(仁同)의 토포사에게 보낸 이문
추풍령(秋風嶺)에 진한 각 면(面)의 도통수(都統首)에 보낸 전령
황간(黃澗)에 유진한 유격장(遊擊將)에 보낸 전령
12월 15일 각 읍에 보낸 감결
안의(安義)의 조방장(助防將)에게 보낸 이문
각 읍에 보낸 감결
순영에 보낸 이문
금오산성(金烏山城)의 별장(別將)에게 보낸 전령
도착한 김산 조방장(金山助防將)의 이문
향교(鄕校)의 유생(儒生)에게 내린 체문(帖文)-김산-
12월 16일 유진한 유격장에게 보낸 전령
같은 전령
도착한 인동 토포사의 이문
12월 17일 현천(玄川) 허위(許蔿)에 보낸 전령
각 읍에 보낸 감결
거창 소모사(居昌召募使)에게 보낸 이문
도착한 거창 소모사의 이문
도착한 인동 토포사의 이문
12월 18일에 도착한 인동 토포사의 이문
인동 토포사에게 보낸 이문
12월 19일 각 점주(店主)에 보낸 전령
12월 20일에 도착한 순영의 이문
도착한 양호도순무영(兩湖都巡撫營)의 전령
12월 21일 봉(封) 계(啓)
순영에 보낸 이문
양호도순무영(兩湖都巡撫營)에 보낸 첩보
16면의 약정(約正)에게 보낸 전령-김산-
각 읍에 보낸 감결과 이문
12월 22일에 도착한 거창의 회이
12월 23일에 각 읍에 보낸 감결
각 읍에 보낸 감결
각 읍에 보낸 감결
출진한 유격장에게 보낸 전령
12월 24일 칠곡(漆谷)에 보낸 감결
인동 토포사에게 보낸 이문
도착한 인동 토포사의 이문
도착한 순영의 이문
12월 26일 출사한 군관(軍官)에게 보낸 전령
순영에 보낸 이문
대장(大將)에게 보낸 전령
성주에 보낸 감결
12월 27일 보은(報恩)에 유진한 경병영관(京兵領官)에 보낸 이문
보은에 유진한 초관(哨官)에 보낸 전령
고령(高靈)에 보낸 감결
12월 28일 출사한 병정에게 보낸 전령
개령에 보낸 감결
같은 감결
12월 29일 순영에 보낸 이문
도착한 순영의 이문
을미년 정월 초2일 16개 면에 보낸 전령-김산-
개령에 보낸 감결
을미년 정월 초3일 16개 면의 약정(約正)에 보낸 전령-김산-
도착한 순영의 이문
순영에 보낸 이문
조방장 김산군수에게 보낸 이문
을미년 정월 초6일 인동 토포사에게 보낸 이문
전병(典兵) 박훈동(朴薰東)에게 보낸 전령
충청도 청산향교(靑山鄕校)에 보낸 첩유(帖諭)
청산현(靑山縣)에 보낸 관지(關旨)
경영(京營)에 올린 보이(報移)
적하동(赤下洞)에 머물러 있는 인동(仁同)의 병정에게 보낸 전령
정월 초8일 16면에 보낸 전령-김산-
정월 초9일 8면에 보낸 전령-김산-
정월 초10일 순영에 보낸 이문
도착한 순영의 이문
순영에 보낸 이문
도착한 순영의 이문
도착한 김산 조방장의 이문
정월 14일 도착한 순영의 이문
정월 18일 조방장에게 보낸 이문
선산에 보낸 감결
16면에 보낸 전령-김산-
각 읍에 보낸 감결
천상(川上) 대항면(代項面)에 보낸 전령
각 읍에 보낸 감결
황간(黃澗) 남면(南面) 군내면(郡內面)에 보낸 전령
도착한 순영의 이문
순영에 보낸 이문
군무아문출진소(軍務衙門出陣所)에서 황간의 각 면 각 동리에 보낸 전령
정월 19일 경영에 보낸 보이
정월 21일 도착한 순영의 이문
정월 22일 경영에 보낸 보이
영남 우도를 시찰하고 포계(褒啓)함-이병휘(李秉輝)-
창계실기
창계 신공 실기서(蒼溪申公實記序)
『창계실기』 권1
창의록일기(舅歐(倡義錄日記)-갑오년 동학도 난 때-
8월 14일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23일
절목
의흥 칠곡 군위 삼읍 약장 좌목(義興柒谷軍威三邑約長座目)
본면(本面) 회약(會約所)의 게시문
1894년(갑오) 8월 24일 약장 신석찬
8월 24일
8월 25일
26일
27일
28일
29일
9월 초1일
2일
향교약회 강장ㆍ약장 명록(鄕校約會講長ㆍ約長 名錄)
조약 절목(條約節目)
초3일
초4일
초5일
초6일
초7일
초8일
9일
10일
12일
13일
14일
15일
10월 9일
14일
28일
29일
11월 1일
2일
3일
4일
20일
22일
25일
26일
29일
12월 1일
12일
13일
14일
15일
16일
17일
19일
20일
21일
22일
약중완의(約中完議)
붙인 절목(節目)
1905년(을사) 정월 16일 세 고을의 회중(會中)
『창계실기』 권2
부록
의흥 약정도소에 전령함[傳令義興約正都所]
의흥약장 신석찬에게 전령[傳令義興約長申錫燦]
의흥약장 신석찬에게 전령[傳令義興約長申錫燦]
밀지(密旨)
세 고을의 약소에 전령함[傳令三邑約所]
밀지(密旨)
현내 유생의 장초[縣內儒生狀草]
도내 유생이 연명하여 감영에 올린 문서[道內儒生聯名呈營狀]
겸관이 질품한 초안[兼官質稟草]
겸관이 질품한 서목(書目)의 제사[兼官質稟書目題辭]
군부에 올린 유생 장계[呈軍部儒狀]
두 번째 군부에 올린 때의 유장[再呈軍部時儒狀]
세 번째 군부에 올림[三度呈軍部]
네 번째 군부에 올림[四度呈軍部]
장례원에 올림[呈掌禮院]
궁내부에 올림[呈宮內府]
행장(行狀)
봉마(蓬麻亭記)
창의실적서(呼倡義實跡序)
창의기실후(倡義記實後)
창의록 후서(倡義錄後序)
창의실적후서(倡義實跡後叙)
발문
영인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