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서장 – 인간은 왜 전쟁을 일으키는가?
2장 고대의 전쟁 - 석전(石戰)과 서낭[城隍]의 의미
3장 동방 삼국을 바라보는 당태종(唐太宗)의 시선 - 동북공정(東北工程)의 원류를 찾아서
4장 삼국전쟁 후의 사회 변동
5장 글안 전쟁과 서희(徐熙)
6장 임진왜란과 김성일(金誠一)의 책임
7장 임진왜란과 원균(元均) - 해원(解寃)의 역사를 찾아가는 여정(旅程)
8장 해양 문화의 유산과 몰락
9장 신미양요(辛未洋擾)
10장 갑오농민혁명과 대일항전
11장 청일전쟁
12장 러일전쟁 - 대한제국의 망국과 관련하여
13장 항일 의병 전쟁
14장 조선의 멸망 - 정한론(征韓論) 앞에 선 조선의 운명
15장 망국의 책임을 묻지 않는 역사
16장 한국전쟁 - 김일성(金日成)의 개전 의지를 중심으로
17장 한국전쟁에서 비정규군의 투쟁
18장 서해5도의 정치지리학(1945~1953)
19장 한국사에서의 전쟁과 평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