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동아시아 각국의 타자 인식
조선위원회 속기록을 통해 본 마르크스주의자들과 코민테른 관계의 실제 | 임경석
다케우치 요시미(竹内好)의 루쉰 읽기와 동아시아 저항론 | 최종길
난징대학살 기념관과 항일 기억의 정치화 | 김지훈
제2부 20세기 한국의 자기 인식 담론
미군 점령기 한국과 일본의 민족주의 문제와 자국사 교육의 길항 | 송병권
한국사 정체론 비판과 1960년대 한국사 발전론의 확립 | 도면회
박정희 정권의 민족담론: 신문 매체를 통해 표방된 ‘화랑’ 활용 담론을 중심으로 | 조미은
제3부 한국 역사교과서와 대안적 역사서술 모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발해사 서술 현황과 그 문제점 | 김종복
남북·재일 교과서의 동학농민운동 서술을 통해 본 남북의 역사인식 통합 가능성 | 이신철
한국 독일사학회를 통해 본 한국 서양사학의 자기이해와 대안모색 | 황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