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Ⅱ. 조선후기의 상황과 서학 박해
1. 조선 후기의 내우외환과 17세기 서학의 전래
2. 18세기 서학 박해와 정감록의 관련 기록
Ⅲ. 예언서에서의 진인(眞人)ㆍ진주(眞主)와 서학 구세주 개념의 비교
1. 예언서의 해도진인(海島眞人)과 전통 성인관의 차이
2. 난세의 여주(女主)와 구원의 진주(眞主) 개념 비교
3. 예언서의 여주(女主)와 신유박해의 증거 문제
Ⅳ. 근대 민중종교에서의 말세론과 서학 종말론의 관계
1. 말속론과 전통 세계관의 차이
2. 19세기 후천개벽 개념의 종말론적 함의
3. 민중종교운동에 미친 서학의 영향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