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史料) 아카이브 (구 종합지식정보시스템)
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명예회복 심의위원회
지난 2019년 10월 30일 재단 교육관에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정기학술대회가 "동학농민혁명 현재와 미래,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다. 이날 학술대회는 이이화 前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의 「동학농민혁명의 역사」라는 기조강연에 이어 「동학농민혁명 국외자료 현황과 활용방안」(조재곤 : 서강대 연구교수), 「동학농민혁명 연구현황과 미래 가치화」(배항섭 : 성균관대 교수), 「국가기념일 제정 이후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기본방향」(원도연 : 원광대 교수)등 3명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신영우 충북대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은 종합토론은 이병규(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 유바다(고려대 교수), 고석규(목포대 명예교수), 허수(서울대 교수), 신순철(원광대 명예교수), 문병학(기념재단 기념사업부장)등이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3·1운동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지난 2019년9월 25일 서울 경복궁 안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 별관에서 열렸다. 전라북도 후원으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동학농민혁명과 3·1운동"이라는 주제 아래 개회식, 기조강연, 주제발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되었다. 개회식에는 이형규 재단 이사장의 대회사, 송하진 전라북도지사 축사(대독), 최효섭 유족회 이사장 축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학술대회는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의 「한국 근현대사에서 동학농민혁명과 3·1운동」이라는 기조강연에 이어 「동학농민혁명 격문, 기미독립선언서, 헌법전문 비교」(유바다 : 고려대 교수), 「동학농민전쟁과 3·1운동의 관계」(장석흥 : 국민대 교수), 「동학농민군 김형진의 의병활동과 그 후」(조재곤 : 서강대 연구교수), 「임실 동학 접주 김영원의 생애과 3·1운동」(김철배 : 임실군청 학예연구사), 「동학농민군 유태홍과 3·1운동」(성주현 : 숭실대 HK연구교수), 「동학농민군 이병춘의 3·1만세운동」(정을경 :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 등 6명의 주..
지난 2019년9월 23일 기념재단 교육관 회의실에서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운영위원회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서는 2019년도 주요업무 추진상황 보고 및 2020년도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운영 사업계획안을 심의하였다. 주요 심의 내용으로는 전시실 개편, 찾아가는 기념관 사업 및 체험행사 확대, 유물구입, 홍보 등 효율적인 기념관 운영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었다.
지난 2019년 8월 27일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교육관 회의실에서 기념재단 4기 제2차 이사회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서는 재단 정관 개정안, 직제규정 개정안 등을 심의·의결하였다. 개정된 정관 및 직제규정의 주요 내용은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조성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공무원 파견근무 요처을 가능하게 하는 내용 신설 등이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기념관 운영 프로그램의 하나로 '찾아가는 기념관'을 운영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의 애국애족 정신을 범국민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다중이용시설, 지역축제 및 각종 행사장과 전국 교육기관 등을 찾아가 동학농민혁명 전개과정과 역사적 의미를 담은 홍볼요 패널을 전시한다. 주요 내용은 '3.1운동으로 이어진 동학농민군의 함성'이라는 주제로 동학농민혁명이 항일의병, 3.1운동으로 이어진 사실과 '동학농민군의 이야기'를 만화 형식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지난 6~8월에는 전라북도교육청, 정읍역, 전주한옥마을 등을 찾아 전시를 하였다.
지난 2019년 6월 24일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교육관 회의실에서 2019년도 상반기에 동학농민혁명참여자 유족으로 등록된 유족 16명에게 동학농민혁명참여자 유족등록통지서를 전달하는 수여식이 있었다. 이날 행사에는 이형규(재단 이사장,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위원장), 최효섭(동학농민혁명유족회 이사장), 유족대표 16명(공현순·허영·정휴섭·이상희·이용기·최강경·김기옥·문한배·기경도·최락삼·김부용·정영균·최락정·김욱조·함길영·장형대)과 50여 명의 유족회 가족들이 참석하였다.
지난 5월 12일 전주MBC'반갑습니다' 프로그램에 이형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이 초대되었다. 이날 방송에서는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의 의미와 기념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조성사업과 동학농민혁명 관련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참여자 및 유족등록사업 등이 방송되었다.
지난 5월 11일 MBC전주방송국에서 '동학농민혁명 첫 기념일, 과제는?'을 주제로 시사토론이 진행되었다. 이형규(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유성엽(국회의원), 김양식(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 충북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이 출연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의 과정과 의미, 한국 근현대사에서 차지하는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재조명 등이 논의되었다.
지난 5월 11일 JTV전주방송에서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로 꽃피다'를 주제로 시사토론 프로그램을 방영하였다. 이형규(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유성엽(국회의원), 조법정(우석대학교 교수), 조상진(전북일보 객원논설위원)이 참석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국가기념일 제정을 계기로 동학농민혁명의 위상과 역사적 재조명 그리고 향후 발전 방안 등이 논의 되었다.
지난 2019년 5월 8일 황토현전적지에서 KBS전주방송총국 특집 '동학농민혁명, 이제는 세계로'라는 주제로 심층토론을 가졌다. 생방송으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는 유성엽(국회의원), 이형규(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유진섭(정읍시장), 이도학(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가 출연하여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제정의 의미와 동학농민혁명의 전국화, 세계화, 미래화를 위한 과제 등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예약
오시는길
찾아오시는길
조직도
조직 및 구성원
유족등록
유족등록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