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안성관아 터
  • 지 역
  • 경기
  • 주 소
  • 경기도 안성시 봉남동 174-12, 186 일대
  • 문화재
  • 분 류
  • 점령지
  • 정 의
  • 1894년 9월 안성지역 농민군이 점령했던 안성 관아터
관련 역사적 사실
경기도에는 1862년부터 동학이 전파되었으며 188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퍼졌다. 1893년 3월 보은집회 때 경기도에서는 광주·파주·송파·수원·용인·안산·안성·양주·여주·이천·죽산 등 10개 고을에서 모두 수천 명의 교도들이 참여하였다. 보은집회를 마치고 돌아갈 때 경기도에서 참가한 동학도는 수원접 840여 명, 용인접 200여 명, 양주와 여주 등 지역 270여 명, 안산접 150여 명, 송파접 100여 명, 이천접 400여 명, 안성접 300여 명, 죽산접 400여 명이었다.
1894년 9월 18일 동학 교단의 기포령 이후 경기도 각 지역의 농민군 지도자들에는 편의장(便義長)은 이종훈(李鍾勳), 안성의 임명준, 정경수, 양지의 고재당, 여주의 홍병기 신수집, 임학선, 이천의 김규석, 전일진, 이근풍, 양근 신재준, 지평 전태열 이재연, 광주의 염세환이었다.
호남 지방의 농민군이 움직이고 해월 최시형이 9월 18일 기포령이 내려지기 전 경기도 농민군은 이미 9월 9일 안성과 죽산 관아를 점령하였다. 조정에서는 이 지역 농민군 진압을 위해 9월 10일 경리청(經理廳) 영관 성하영(成夏泳)과 장위영(壯衛營) 영관(領官) 이두황(李斗璜)을 각각 안성군수와 죽산부사에 임명하여 농민군을 진압하도록 하였다.
서울에서 삼로로 내려오기 시작한 경군과 일본군의 남진로 상에 자리잡은 경기도 용인, 안성, 죽산, 장호원 등지와 충청도 진천, 괴산,음성 등지의 동학도들은 9월 중순경 청산에 집결하였다. 최시형은 9월 18일 기포령을 내렸다. 10월 16일 양호우선봉이 회인에 있을 때 포교들이 잡아 바친 동도 7명은 청산 도회에 참가했다 돌아온 동학 농민군이었다. 안성의 신덕보, 용인의 이청학이 포함되어 있었다.
9월 29일 안성과 이천의 농민군이 진천 관아를 습격하여 수령과 서리 관속들을 결박하였고 군고를 부숴 무기를 빼앗았다. 관군의 보고로는 농민군 수가 수만명이라고 하였다. 진천군수는 자신의 목을 찔러 자결을 시도하였다.
10월 초에는 충주.안성.죽산의 농민군 4-5만 명과 음죽의 농민군 1만여 명이 광혜원에 모였다고 한다. 경기도 안성 죽산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의 경기도 농민군 주력은 경기도에서 경군이나 일본군과 맞서 싸우지는 않았다. 광혜원과 황산에 집결했다가 일본군의 추격으로 보은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일본군, 관군, 민보군에 탄압에 의해 농민군의 세가 약화된 11월 하순에도 경기도의 안성.죽산, 호서의 진잠 목천에는 비류가 많이 흩어져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처럼 안성.죽산의 농민군은 경기도에서도 손꼽을 정도로 세가 강했다.
고증내용
어제(9.9) 의안에서 비도가 기전의 죽산, 안성까지 침범하기에 이르렀으니 죽산과 산성의 수령을 모두 교체하여 국가를 다스릴 기량이 있는 사람을 가려 차출한 뒤 군대를 거느리고 나아가도록 하는 일로 임금의 재가를 받았는데, 죽산부사 장위영 영관 이두황과 안성군수 경리청 영관 성하영을 차하하여 각기 거느리고 있는 병정을 인솔하여 곧 내려가 서로 기맥을 통해 토벌하도록 하였다. (<양호우선봉일기>1894.9.10.,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7, 3쪽)
호위부장 신정희를 군무사로 임명하여 서울에 본부를 설치하고 여러 부대를 통솔하여 삼남의 적을 토벌하도록 하였다. 당시 비도들의 형세가 크게 떨쳐 여러 고을 들이 온통 넘어가는 판이었다. 이때에 적군이 북쪽으로 경기 지방을 쳐 안성과 죽산 들의 고을을 함락시키고 있었기에 이런 명이 내려졌던 것이다. (<<역주매천야록>>상, 문학과 지성사 2005, 411쪽 )
안성초등학교 안에 세워놓은 ‘유적비’에 안성초등학교 일대가 안성관아자리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논저
논문명(서명) 저자/필자 발행연도 쪽수
경기지역의 동학과 동학농민군활동 최홍규 2002
경기지역 동학혁명과 동학군의 참여과정 성주현 2005
경기지역 동학혁명운동 표영삼 2005
1894년 경기도 지역의 변란 상황과 동학농민군 진압 과정 신영우 2017
사진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