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고창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지
  • 지 역
  • 전북
  • 주 소
  • 전북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590번지 일원
  • 문화재
  • 분 류
  • 집결지
  • 정 의
  • 전국적인 농민항쟁으로 승화된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
관련 역사적 사실
1894년(고종 31) 1월 고부에서 봉기한 농민들은 후임 군수 박원명의 설득으로 3월 초에 해산하였으나 안핵사 이용태가 고부봉기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농민들에 대한 횡포가 극심해지자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등의 농민군 지도부는 무장현에 전라도 일대의 농민군을 결집시키고 3월 20일경 「무장포고문」을 발표하고 재봉기를 선언하였다. 무장기포는 고부 지역에 한정되었던 농민봉기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새로운 국면의 출발점이 되었다.
고증내용
「수록」,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3, 2007, 5쪽.
무장현감 조명호(趙命鎬)의 보고 내용에 의하면 4월 16일 무장현 동음치면(冬音峙面) 당산(堂山) 땅에 정체를 알 수 없는 난류배(亂類輩) 수천 명이 무리를 모아 가까이 다가와 머무르고 있으며, 그들의 종적이 수상하다고 전하는 이야기들이 널리 퍼져 있었다는 내용.
「갑오사기」 『동학농민혁명국역총서총서』 5, 2009, 70쪽.
정읍(井邑)의 손화중(孫和中)이 동도(東徒) 수 천 명을 환기시켜 인천강(仁川江, 인내)에서 고창읍(高敞邑)에 모였는데 동학란(東學亂)이 이로부터 시작이 되었다는 내용.
「전봉준판결선고서 원본」
4월 상순쯤에 피고가 직접 무리를 인솔하여 전라도 무장에서 일어났다는 내용.
황현,『오동나무 아래에서 역사를 기록하다』, 김종익 옮김, 역사비평사, 2016, 125쪽.
봉준 등은 무장에서 큰 집회를 열고 그들의 생각을 민간에 알렸다는 내용
논저
논문명(서명) 저자/필자 발행연도 쪽수
「甲午東學亂」, 『李朝戰亂史』,『총서』28 권병덕 357쪽
『전라도 고창지역의 동학농민혁명』 신순철, 이진영, 원도연 1998 83~85쪽
사진(3)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