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고창 동학농민군 손화중 양실도소 터
  • 지 역
  • 전북
  • 주 소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괴치리 632
  • 문화재
  • 분 류
  • 활동
  • 정 의
  • 무장의 대접주 손화중이 살던 곳이자 동학 포교를 하였던 곳
관련 역사적 사실
동학 입도 후 손화중은 부안, 정읍 농소리(현 정읍시 농소동), 입암면 신면리 등을 거쳐 본가가 있는 음성 마을에서 포교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본가가 있는 향리에서 포교활동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이웃 무장으로 옮겨 동학 전파에 힘을 기울였다. 이후 그의 활동 중심지는 무장현이 되었으며, 무장현을 무대로 한 포덕은 처음에는 읍내 김모의 집을 포접소로 삼아 전개하였고 얼마 후 양실마을로 옮겨 자리를 잡았다. 이곳은 동학을 전파하며 세력을 키워나갔던 곳으로 손화중이 괴치에서 처음 터를 잡았던 곳이다. 이후 양실마을의 바로 옆에 있는 괴치리의 최부자집으로 도소를 옮겼다고 한다.
고증내용
신용하,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연구』, 일조각, 1993, 49쪽.
무장의 동학세가 확대되어 가고 있을 무렵 손화중이 무장에 들어와 도회소를 설치하였으며 이 도회소를 거점으로 한 포교활동은 교세를 더욱 확대시키는데 많은 영향력을 미쳤다는 내용
오지영, 『동학사』, 최현식, 『갑오동학혁명사』, 금강출판사, 1980, 217쪽.
손화중은 무장 읍내 김모씨의 집에 포교소를 두었다가 이웃 괴치리 사천마을(현 고창군 성송면)로 다시 옮겨 자리를 잡았으며 이곳에서 전봉준 등 동학농민혁명을 주도할 지도자들과 교유하게 되었다는 내용
표영삼, 「김덕명, 손화중, 최경선의 행적」, 『동학농민혁명과 농민군 지도부의 성격』, 사단법인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편, 1997.
무장읍 김모의 집에 잠시 포교소를 두었다가 무장면 덕림리(德林里) 양실(兩谷)마을로 옮겼으며 이 때 고창과 무장 일대에 엄청난 민중들을 동학교문에 입도시켰다는 내용
논저
논문명(서명) 저자/필자 발행연도 쪽수
「동학농민혁명지도자 손화중의 지역적 기반과 활동」, 『동학학보』, 정성미 2017. 12 439쪽
『갑오동학혁명사』 최현식 1980 217쪽
사진(4)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