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유적지 정보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부안 동학농민군 지도자 김낙철 도소지
  • 지 역
  • 전북
  • 주 소
  • 전북 부안군
  • 문화재
  • 분 류
  • 점령지
  • 정 의
  • 김낙철이 설치한 부안의 도소
관련 역사적 사실
김낙철과 동학세력은 처음부터 동학농민운동에 직접적인 관여를 하지 않고 부안 군수 이철화의 요청에 따라 도소를 설치하고 전봉준의 동학농민군을 방비하였다. 이철화는 동학농민군을 외적이라 표현했기 때문에 손화중으로부터 참해질 뻔 했지만 김낙철의 설득으로 처형을 면할 수 있었다. 이후 김낙철은 부안지역이 전장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황토현 전투에 참여했고 2차 봉기 이전까지 동학농민혁명세력과 연대하지 않았다.
고증내용
부안군수 이철화가 성을 지켜 외적을 막아달라했기 때문에 갑오년 4월 1일에 교인 수백명과 함께 서도 송정리 신씨 재각에 가서 도소를 설치하였는데 낙봉은 신소능과 함게 부안 줄포에 도소를 설치했다. 『金洛喆歷史』.
부안군수 이철화의 요청에 의해 도소를 설치하고 전봉준의 동학농민군을 방비하였다. 「부안지역의 동학농민운동과 백산대회」, 『역사와실학』 61, 327쪽.
김낙철은 부안군수 윤시영의 탁란배의 금지 활동을 충실히 수행하며 부안지역에 설치했던 도소, 즉 집강소를 통해 이루어졌다. 『金洛喆歷史』.
1894년 4월 4일, 김낙철이 이끄는 동학군 10,000여 명이 입성해 함락했다. 「19세기 부안 儒生 奇幸鉉의 『鴻齋日記』와 동학농민혁명의 실상」, 『동학학보』 50, 97쪽.
논저
논문명(서명) 저자/필자 발행연도 쪽수
「부안지역의 동학농민운동과 백산대회」 조성운 2016 6-11
「19세기 부안 儒生 奇幸鉉의 『鴻齋日記』와 동학농민혁명의실상」 이선아 2019 96-100
사진(4)

영상
드론VR 사진에 마우스를 올려서 움직여보세요
지도
참고문헌
연관 유적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