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일러두기

종질(從侄)인 중두(重斗)에게 주는 편지 [書從侄重斗]

형님≪이용직≫이 교남자사(嶠南刺使, 경상감사)를 제수받아 감축할 일이라 여겨진다. 멀리서 축하하는 것을 참기가 어렵다. 사폐(辭陛, 임금께 드리는 하직인사)는 언제인가? 꽃이 피어 매우 좋은 때에 부모를 모시며 객지에서 지내는 형편이 괴로운 뒤에 별다른 큰 허물은 없는지, 형님이 지내시는 형편은 늘 평안한지, 현저(玄渚)의 안부는 그 사이에 들었는지, 이번에도 은유(恩宥, 죄를 용서하는 것)의 명을 받지 못하여 모두 염려되고 근심스럽다. 나는 여전히 병든 몸을 지탱하고 있고, 집안에 큰 변고가 없어 다행스럽다. 아신(牙信, 관아의 소식)은 자주 들었는데, 그 관아의 사무가 갈수록 어지럽고 괴롭다고 하여 걱정스럽다. 지난번에 형님이 영수각(靈壽閣)에서 숙배(肅拜) 할 때에 문에 몇 명이 배종(陪從)했는가? 나처럼 쓸모없어 버려진 사람이 참석하지 못하여 매우 부끄럽고 한탄스러울 뿐이다. 지금 수석(壽石)의 하인이 하는 말을 들어보니, 형님이 연기(燕岐)의 산소에 내려와서 머무르고, 영영(嶺營)의 신영(新迎)이 20일쯤에 산 아래에서 대령(待令)하고 있다고 하는데, 정말 그런가? 이것은 효(孝)의 이치상 살펴야하나 감사와 수령이 임소에 가기 전에 성묘하는 것은 풍속에서 크게 금기(禁忌)에 구애된다고 하니 옆에서 그만두도록 아뢰는 것이 좋을 듯하다. 만약 금기에 구애되지 않는다면 어찌 이와 같겠는가?

주석
영수각(靈壽閣) 기로소(耆老所) 안에 있는 어첩(御帖)을 보관하던 누각을 말한다.
숙배(肅拜) 임지(任地)로 떠나는 관리가 임금에게 작별 인사를 드리는 것을 말한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