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 기사명
    같은 인편(人便)에 생질 김세마에게 준다

    원문보기 원문/국역

  • 날짜
    음력 1893년 03월 19일
일러두기

같은 인편(人便)에 생질 김세마에게 준다 [寄甥侄金洗馬 同便]

지난 번에 전해준 편지가 지금까지 위로가 된다. 늦은 봄에 부모를 모시며 벼슬살이하는 형편이 좋고, 모든 일이 편안하며, 옥린(玉獜)이 삼가(三加)를 하여 기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혼례는 어떻게 치룰지 멀리서 매우 걱정스럽다. 이 외숙(外叔)은 그럭저럭 지내고 있고, 집안에 별다른 변고가 없어 다행스럽다. 삼산(三山) 관아의 소식을 들었는데, 흉년에 파탄이 나서 사무가 번잡하고 괴로운 중에 동학배(東學輩) 수 만명이 속리산 아래의 장내촌(帳內村)에 집결했기에 좌수(座首)와 공형(公兄)을 보내어 사정을 물어보니, “왜(倭)와 양이(洋夷)를 쫓아내는 일로 이곳에 모였는데 그믐날에 무리를 나누어 물러날 것인데, 한 무리는 상경(上京)하고 다른 한 무리는 동래(東萊)로 내려가서 그들을 격파하려고 한다”고 하였다. 이것이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

주석
삼가(三加) 관례(冠禮)를 할 때에 세 번 관을 갈아 씌우던 의식을 말한다. 초가(初加)에는 입자(笠子)· 단령(團領)· 조아(條兒), 재가(再加)에는 사모(紗帽)· 단령· 각대(角帶), 삼가에는 복두(幞頭)·공복(公服)을 사용했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