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 기사명
    4월 17일 월준이 가는 편에 보은에 보낸다

    원문보기 원문/국역

  • 날짜
    음력 1893년 04월 17일
일러두기

4월 17일 월준이 가는 편에 보은에 보낸다 [寄報恩 四月十七日 月俊送便]

그저께 충길(忠吉)편에 보낸 편지는 받아보았다. 그러나 감영에 갔다가 언제 관아에 돌아왔고, 별다른 피로와 흠은 없는지 염려가 그치지 않는다. 순상(巡相)과는 어떻게 수작(酬酌)했는가? 만약 서로 통했다면 읍의 일에 크게 다행스러울 것이다. 이 아비와 네 어머니는 태평하다. 네 댁은 학질이 지나간 뒤에 원기가 떨어지지 않고 편안하니 기쁨을 어찌 말로 다하겠는가? 네 사촌형수가 기다린 끝에 14일 딸을 낳았다. 내 실망스런 마음을 어떻게 말로 하겠는가? 난수(蘭秀)가 아파서 그 아들이 어천(漁川)의 김생원을 모셔왔기 때문에 네 댁이 겪은 복통과 설사증세를 물어보았다. 그랬더니 하초(下焦)가 허(虛)하고 냉(冷)하여 음식을 잘 소화시키지 못해 이런 증세가 종종 있으니 보혈익기탕(補血益氣湯)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그래서 지금 약을 지으려고 한다. 난수는 비 때문에 상한(傷寒)이 나고 아울러 술병으로 최근에 증세가 위독하다고 한다.

주석
하초(下焦) 3초(三焦)의 하나이다. 배꼽 아래에 해당하며 신장 · 방광 ·대장 · 소장 등이 포함된다.
상한(傷寒) 밖으로부터 오는 한(寒) ·열(熱) · 습(濕) · 조(燥) 등의 사기(邪氣)로 생기는 병을 말한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