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진·연산 유생들이 남기를 바라는 글[恩津連山儒生願留狀]
삼가 목욕하고 절을 하며 순상께 글을 올립니다. 생각건대 비적들이 교화를 입지 않아 말썽을 피워 지난해부터 금년 초까지 도적질을 하는 것을 오히려 부족하게 여겼습니다. 그들이 크게 늘어나서 한 나라의 군사들을 움직여서 수개 월 동안 힘을 다하였으나, 겨우 그들의 우두머리 몇 명을 잡았을 뿐입니다. 남은 무리들에서 흩어져 숨은 자로는 호남 1구역만 하더라도 오히려 그러하니, 영 아래의 매우 가까운 곳은 물론이며, 고산(高山)·진산(珍山)·연산(連山)·은진(恩津)·여산(礪山) 등은 산세가 매우 험하여 사람들의 성질이 또한 교활하여 군대가 철수하여 돌아갔음을 듣게 되면, 그들 무리들이 다시 모이게 되어 큰 것은 수천 명을 충분히 넘을 것이며, 작은 것은 3백 명에서 4백 명을 내려가지 않을 것이며, 마을로 흩어져 돌아다니면서 백성들을 침탈할 것입니다. 그들이 화를 미치고 사람에게 해를 끼칠 마음을 마음대로 하는 것은 전봉준(全琫準)과 김개남(金介男, 開南의 오식)의 무리들이 성을 공략하고 지역을 침략하는 것에서 더욱 심해졌습니다. 그러나 아직 크게 말썽을 일으키지 않은 것은 지금 소모관이 인의(仁義)의 군대의 일을 행하는 것을 보았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살게 하는 방법을 힘써서 죽일 자는 죽이고 징계할 자는 징계하였으며, 물에 빠진 백성들이 다시 태평스런 의장(儀仗)을 보게 하고, 백성을 돌보시는 혜택을 베풀어 백성들이 다시 살아날 수 있는 바람을 살폈기 때문입니다. 동도들이 이를 듣고 자취를 감추었고, 남주(南州, 전라도)의 백성들이 이에 의지하여 저들의 지시를 저버렸으니, 실로 양호의 백성들이 하늘의 결실을 다시 보게 하는 것입니다. 지금 듣건대 의병들이 다시 철수하여 신영(新營)으로 돌아간다고들 말하고 있습니다. 만일 그렇다면 병사가 아직 영에 도착하지 않았는데, 동비들은 반드시 무리를 지어 모일 것이며, 살기를 바라는 이들 백성들이 다시 모두 죽게 되는 지경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말과 생각이 이에 미치자 어찌 근심하지 않겠습니까? 이는 나라의 대사와 백성들의 깊은 근심과 관련된 것입니다. 그래서 이에 감히 모두가 소리를 내어 관찰사의 밝으신 살피심에 호소합니다. 특히 개인적인 정상을 말씀드리자면, 이 소모사로 하여금 머물러 있게 하시어 어질고 밝으심이 실효를 거두게 하시길 크게 비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