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문장준 역사 文章峻 歷史
일러두기

포덕 54년(1913) 갑인에 구암(龜菴)과 권병덕(權秉德) 간에 처리상(處理上) 의사가 일치되지 않아 급기야 분열하여 중앙시천교(中央侍天敎)를 세웠다. 이때 양쪽의 선악을 자세히 살피다가 중앙시천교로 귀거하였다. 이로부터 각지의 도인이 갈 길을 알지 못하고 반신반의하였다. 이때 몇 사람과 동행하여 해미, 서산, 태안 도가를 순행하며 분열된 내용을 상세히 말하고 의심을 깨는 데 노력하였다.

주석
권병덕(權秉德) 권병덕(權秉悳, 1867년∼1944년)은 충청북도 청원 출신으로 본관은 안동, 호는 청암(淸菴)·정암(貞菴)·우운(又雲)이다. 18세에 동학에 입도했으며, 1886년 청주 접주로 임명되었다. 1894년 동학운동 때 보은에서 기포해서 손병희(孫秉熙)와 함께 북접동학교도를 이끌고 싸웠다. 손병희가 천도교를 일으키자, 여기에 입교하여 천도교의 전제관장(典制觀長)·이문관장대리(理文觀長代理)·금융관장(金融觀長)·보문관장(普文館長) 등을 역임하였다.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여했으며, 이로 인해 2년 동안의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천도교 종리원(宗理院)의 서무과 주임을 거쳐, 중앙교회 심계원장·감사원장·선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3권), pp.944~945).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