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선대부 공조참판 증정2품 도헌 정공 순의비[嘉善大夫 工曹參判 贈正二品 都憲 鄭公 殉義碑]
지난 갑오년(甲午年, 1894)에 동비(東匪)들이 소요를 일으켜서 호남의 주현(州縣)들이 바람을 맞아 ≪결락≫ 그 예봉에 저항한 곳은 오직 금산(錦山)뿐이었다. 조그마한 이 지역을 근거로 한창 기세를 떨치는 수만 명의 도적을 막다가 마침내 힘이 부쳐서 죽음을 당하였으니, 그 사람은 바로 고 참판(故參判) 동래(東萊) 정숙조(鄭䎘朝) 공이었다.
공은 일찍이 이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사랑을 베풀었으며 군인(郡人)들은 공을 신뢰하였다. 뒤에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올 봄에 적이 군(郡)을 침범하자 군의 주민 김제룡(金濟龍)은 계획을 세워 저들을 습격하여 격파하였다. 이로 인해 적들이 울분이 쌓여 제 마음 내키는 대로 하고자 하니 온 경내가 두려워 흉흉해하며 조석(朝夕)을 보전할 수가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군내의 신사(紳士)들이 적을 막고자 의기를 발휘하여 공을 주맹(主盟)으로 추대하고 여러 요충지를 나누어 방어하였다. 이렇게 하니 무릇 5개월 동안 적이 감히 침범하지 못하였으며 백성들은 그 덕에 편안히 지낼 수 있었다.
10월에 이르러 영남과 호남의 여러 비도(匪徒)들이 사방에서 운집하여 고립무원(孤立無援)의 금산성이 여러 겹으로 포위되었다. 적은 저돌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돌진하였으며 병력의 차이가 현격하여 성은 마침내 함락되었다. 정지환(鄭志煥) 부자와 형제 및 정두섭(丁斗燮)은 모두 적들에게 살해되었으며 동시에 죽은 자가 60여 명이었다. 어떤 사람이 공에게 피하라고 권유하자 공은 의연히 동요하지 않았으며 결국 적에게 잡혀서 제원역(濟原驛) 남문 밖으로 끌려갔다. 적 수천 명이 공을 에워싸고 위협하자, 공은 크게 꾸짖으면서, “너희들은 모두 선왕(先王)의 유민(遺民)인데 감히 천기(天紀)를 범하고 백성들을 도탄에 빠뜨렸으니 죄가 만 번 죽어 마땅하다. 나는 국가의 두터운 은혜를 입어 의리상 욕을 볼 수 없다. 어찌 빨리 죽이지 않는가?”라고 하였다. 적의 총탄이 비 오듯 퍼부었고 마침내 공은 사망하였다. 선비와 백성들은 슬퍼서 눈물을 흘리지 않는 자가 없었다. 이해 겨울에 나는 호남을 안찰(按察)하며 적들을 소탕하다가 공을 해친 두 우두머리를 잡아 본 경내에서 처형하여 백성들의 마음을 통쾌하게 하였다.
이듬해인 을미년(乙未年, 1895) 봄에 그 전투현장을 둘러보고 단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내고 ≪결락≫ 조정에 보고하니, 조정에서는 그를 특별히 정2품 도헌(都憲)에 추증(追贈)하였다. 황조(皇朝)에서 돌보시는 뜻이 매우 도탑구나! 아! 지난 임진년의 병화 때 조중봉(趙重峯)과 고제봉(高霽峰) 두 선생이 이곳에서 순절하시자 후인들이 의단(義壇)을 세워 제사를 지냈다. 공이 처음 이 군에 부임하여 군의 신사(紳士)들과 의단 아래에서 의계(義契)를 조직하고 개연히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옛날 조 선생과 700의사(義士)가 이 곳에서 순절하셨습니다. 지금 우리 수백인의 계원(契員)이 후일 다시 선생의 의(義)를 본받을 수 있지 않을까요?”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공의 죽음은 필부필부(匹夫匹婦)가 창졸간에 목숨을 잃은 것과는 다르며, 그 충성스럽고 의로운 마음은 평소에 축적된 것 같다. 아니면 두 선생이 죽은 뒤로 그 영령과 의로운 혼백이 흩어지지 않고 금산(錦山)의 산천에 응축되어 있다가 300년이 지나서 다시 공과 같은 사람이 나타나 그 자취를 쫓고 그 이름을 ≪결락≫ 한 연후에 그 기운이 ≪결락≫ 한 것인가? 아! 훌륭하구나. 9년이 지난 임인년(壬寅年, 1902)에 고을 사람들이 비(碑)를 세우고자 하면서 나에게 한 마디 글을 부탁하였다. 나는 감히 사양하지 못하고 마침내 그를 위하여 명(銘)을 짓는다. 명은 다음과 같다.
≪결락≫ 오직 금산(錦山)이 진용을 갖추었네. 공이 실제로 주맹(主盟)이 되었으니 여러 사람들에 의해 추대되었네. 의로운 목소리를 한 번 외치자 추종하는 자들이 그림자처럼 따랐네. 죽음을 각오하고 출전하여 ≪결락≫ 빛은 해와 별과 나란하며, 천년토록 전해지니 ≪결락≫
1902년(광무(光武) 6년) 8월
정2품(正二品) 자헌대부(資憲大夫) 원임의정부찬정(原任議政府贊政)
학부대신(學部大臣) 육군부장(陸軍副將) 훈3등(勳三等) 이도재(李道宰) 지음
정3품(正三品) 통정대부(通政大夫) 전 부사(前府使) 이종□(李鍾)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