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일러두기

예천군척사록 서 [醴泉郡斥邪錄 序]

천덕(天德)은 사사로이 편애하지 않지만 오직 선(善)만을 보호하며, 천도(天道)는 기울어지지 않지만 오직 악(惡)만을 제거한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선을 행해서는 흥하고 악을 행해서는 망하지 않은 적이 없었으니, 강함과 약함이나 많음과 적음으로 논할 수는 없다. 아! 세상의 수준이 날이 갈수록 낮아지고 풍속이 날로 투박해져서 이른바 동학(東學)이란 것이 나타났다. 처음에는 원망에서 발단하였으나, 종국에는 패역(悖逆)을 행하며 난리를 일으켰다. 우리의 조정을 비방하고 우리의 성도(聖道)를 저버리고 우리의 생민들을 겁략하였다. 의병(義兵)을 일으킨다고 빙자하여 괴이하고 허망한 말로 유혹하고 폭력으로 위협하였다. 기강이 무너지고 예의제도가 혼란스러워져서, 호서(湖西)·호남(湖南)·영남(嶺南) 수천리 땅이 대부분 혼돈의 도가니에 빠졌다. 당시 힘을 떨치고 꾀를 내어서 그것을 막으려고 도모하는 사람이 한명도 없었다.
오직 예천(醴泉) 지역 사람들이 10 리의 성곽을 차지하고 수백 명의 무리를 모아 캄캄한 밤에 불을 밝히고 큰 물결 속에 징검다리를 놓았다. 삼가 왕법(王法)을 지키고 관(官)의 뜻을 조심스럽게 따랐으며, 거의 죽을 것 같은 고통을 겪으면서도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힘을 발휘하여 남쪽을 방어하고 북쪽을 지켜서 양로(兩路)의 협공을 물리쳤으며, 창으로 찌르고 총을 쏘아서 만여 명의 강적을 꺾었다.
이때에 곧 이웃의 병사들이 이 기세를 타서 일어나고 왕의 군대가 불끈 진노하여 출동하자, 거괴(巨魁)는 목숨을 바치고 잔당들은 자취를 감추었다. 그리하여 호서·호남·영남의 지역이 다시 하늘의 햇빛을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다시 우로(雨露)의 혜택를 입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모두는 우리 성상(聖上)의 원대한 위덕(威德)과 신명(神明)의 효험이 아닌 것이 없지만, 최초로 의병을 일으킨 예천의 공도 조금의 보탬은 되지 않았겠는가?
하늘을 업신여기고 백성들을 학대한 죄가 천지에 가득 차서 인류에게 용서받기 어려웠으며, 하늘의 노함과 신의 꾸짖음이 신민(臣民)들의 적개심과 뜻하지 않게 일치했음을 알 수 있다. 어떤 이는 말하기를, “예천 사람들은 적을 지나치게 섬멸하여 선덕(善德)이 부족하다. 이번의 승리는 운수이지 천리(天理)가 아니다”라고 하였으나 이는 아마도 그렇지가 않다.
대체로 혼란한 시기를 치료하는 약은 평화로운 시기의 곡식이나 고기와는 다르다. 지난날 10분의 1을 죽이지 않았다면, 동도(東徒)를 물리치는 것이 이처럼 엄격하지 못하고 부중(部中)의 수비가 이처럼 엄밀하지 못하여 쉽게 스며들었을 것이다. 그러니 예천이 오늘날의 예천으로 남아있으리라는 보장을 할 수가 없다. 또『서경(書經)』에는 “힘이 같으면 덕을 헤아린다”라고 하였으니, 힘은 같으나 덕이 우세한 상대는 대적할 수 없는데 하물며 힘과 덕이 모두 우세함에 있어서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지금 동도의 강성함은 예천보다 백배나 되고 동도의 무리들도 예천보다 백배나 된다.
만약 선으로써 악을 정벌하고 곧은 것으로써 굽은 것을 바로잡았다면 예천은 틀림없이 하루가 못가서 패망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결국 저들이 천리를 거스르고 우리는 천리를 따랐으며 저들은 사악하고 우리는 정직하였기 때문에 저 많고 강성한 무리들이 적고 약한 우리를 상대할 수 없었다. 이는 참으로 공정한 천리(天理)여서 운수가 어떠한가를 물을 필요가 없다. 앞으로 올바른 방법으로 수비하고 인(仁)으로써 무마하고 적절하게 조치를 취하여, 포악한 행동을 삼가고 지난날의 잘못을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한다면 결국에는 선행이 오래되어 하늘의 보호를 받을 것이니 어찌 아름답지 않겠는가?
나도 본부(本部)에 있으면서 그 어려움을 다 겪었으니 지금 우선 일기의 전말과 윤음(綸音)·교유(敎諭)·관칙(關飭)·통문(通文)·격문(檄文) 등을 초록하여 한 권으로 편집하여 문장가가 이를 정리하여 책으로 만들기를 기다린다. 그리하여 후세의 충신과 용사들로 하여금 권면할 바를 알도록 하고 난신적자로 하여금 두려운 바를 알도록 하고자 한다.
성상(聖上) 32년 을미(乙未) 중춘(仲春)에 군인(郡人) 반재원(潘在元)이 삼가 쓰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