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국 503년 12월 일 경상도 소모영 전곡 입하입하(入下) 실수성책 [開國五百三年 十二月 日 慶尙道召募營錢穀入下實數成冊]
수입
전(錢)
2,915냥
사람들이 스스로 원해서 납부함
전
200냥
소모사(召募使)가 직접 마련함
전
500냥
본 목사[상주목사]가 의연(義捐)해 냄
전
928냥 5전 5푼
비류(匪類)의 집물 가격
전
1,353냥
서원(書院)과 사숙(私塾)에서 나누어 냄
전
500냥
우산(愚山) 수계소(修稧所)
전
2,114냥
각 문중에서 의연(義捐)함
미(米)
734승
사람들이 스스로 원해서 납부함
미
6,084승
각 문중에서 의연(義捐)함
미
6,122승
초실면(稍實面)에서 모집한 곡식
이상
전
8,510냥 5전 5푼
미
1만 2,940승
지출[用下]
전
392냥 7전 3푼
출전 때 부군(負軍)의 세(貰)와 당보(塘報)의 노자
전
458냥 2전 4푼
출전한 병정의 전립(氈笠) 272개의 값
전
1,562냥 8전
전복(戰服) 340벌
전
112냥 3전
짚신 120죽
전
287냥 5전 3푼
일본인이 머물 때
안동(安東) 병정 370명
전
554냥 7전 5푼
밥상 2,219상(床), 1상에 2전 5푼씩, 17일 점심부터 19일 점심까지 일곱 끼
전
36냥
말 15필의 죽 90통, 1통에 4전씩
전
21냥
마부 15명의 밥상 105상, 1상에 2전씩
전
78냥 4전 9푼
술과 짚신 등
전
100냥
귀환 노자
전
30냥
출전 병정 40명의 회군 후의 밥상 120상, 1상에 2전 5푼씩, 20일 저녁부터 21일 점심까지 세 끼
전
40냥
귀환 노자
예천(醴泉) 병정 516명
전
387냥
밥상 1,548상, 19일 저녁부터 20일 점심까지 세 끼, 1상에 2전 5푼씩
전
20냥 4전
말 17필의 죽 51통, 1통에 4전씩
전
10냥 2전
마부 17명의 밥상 51상, 1상에 2전씩
전
53냥 2전 5푼
부군 71명의 밥상 213상, 1상에 2전 5푼씩
전
62냥 1전 2푼
짚신 60죽 사거리(四巨里)
전
116냥 2전 5푼
술과 담배 등
전
100냥
귀환 노자
용궁(龍宮) 병정 21명
전
26냥 2전 5푼
밥상 105상, 1상에 2전 5푼씩, 17일 점심부터 18일 아침까지와 출전하였다가 돌아온 뒤에 20일 저녁부터 21일 아침까지 모두 다섯 끼
전
5냥 1전
두 차례의 짚신 4죽 이거리(二巨里)
전
16냥 2전 5푼
술과 담배 등
전
60냥
귀환 노자
전
1냥
총상을 입은 병정 1명 별처(別處)에 내려줌
함창(咸昌) 병정 20명
전
25냥
밥상 100상, 1상에 2전 5푼씩, 17일 점심부터 18일 아침까지와 출전하였다가 돌아온 뒤에 20일 저녁부터 21일 아침까지 모두 다섯 끼
전
4냥 2전
두 차례 짚신 4죽
전
13냥 1전
술과 담배 등
전
52냥 5전
귀환 노자
전
1냥
총상을 입은 병정 1명 별처에 내려줌
대구(大邱) 병정 50명
전
50냥
밥상 200상, 1상에 2전 5푼씩, 17일 저녁부터 18일 아침까지와 회군(回軍)한 뒤에 20일 저녁부터 21일 아침까지 모두 네 끼
전
1냥 2전
영관(領官) 1인 밥상 4상, 1상에 2전 5푼씩
전
1냥 6전
말 1필의 죽 4통, 1통에 4전
전
1냥
마부 1명의 밥상 4상, 1상에 2전 5푼씩
전
3냥 5전
소머리 1개
전
9냥 1전
두 차례의 술과 담뱃값
전
300냥
동 병정의 군수(軍需)
전
597냥 5전
출전한 병정들이 율계(栗溪)에 주둔할 때의 식대
전
282냥 4전
청산(靑山)에서 접전할 때의 식대
미
1,212승
율계(栗溪) 작두[斫刀]에 주둔할 때의 밥쌀
12월 병정들의 급료
전
1,571냥
미
4,650승
전
824냥 5전
병정을 조련할 때 상금으로 유용함
전
348냥 5전
총 120자루 수리비용
전
234냥
소 2마리
미
70승
밥쌀
전
52냥 5전
술값 ― 출전 병정이 회군한 뒤의 호궤(犒饋) 비용
미
4,650승
미
2,244승
― 급료전(給料錢) 1,571냥 대신 지급함, 오는 정월 병정들의 급료 지급
가하전(加下錢) 393냥 1전 6푼 갚지 못한 밥값
보유하고 있는 쌀 184승
경상도 소모사(慶尙道召募使) 정(鄭, 정의묵<鄭宜黙>)*
<번역 : 장승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