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일러두기

8월 초1일

아침에 비가 왔다. 호미 하나도 적시지 못하고 멎었다. 이후에 속인(俗人, 동학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들이 점점 도(道, 동학)에 가입하였다. 우리 마을에서도 양반·상놈·노인·아이 할 것 없이 모두 도에 가입하였는데, 동네의 홍가(洪哥)가 큰아들에게 도에 가입할 것을 권하였다. 스스로 동학도(東學道)에 대해 생각해 보았으나, 그 실체를 알 수 없었다. 홍가는 본래 심정이 나쁘지 않은 자였다.

8월 17일

저녁밥을 먹은 후에, 읍내의 손흑룡(孫黑龍) 포덕(布德)이 와서 동네의 14인과 같이 도(道)를 받았다. 밥·떡·소채·단술과 삼색 과일을 정결히 마련하고, 향을 피운 후 4배를 올린 뒤, 축문(呪文)을 네 번 읽었다. 축문을 읽으면서 도(道)에 가입한 사람의 성명을 고하고, 축문을 불사른 후에 차린 음식을 먹었다. 하늘에 고하는 법문이 있었는데, “한울님께서 감응하시어 큰 선생님께서 새로 널리 중생을 구제하실 것을 원하시니 이 도가 속히 퍼지게 하여주시어서 바라는 바대로 이루어지게 하옵소서. 소원성취 비옵니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또 21일[三七日] 후에 치성제(致誠祭)를 올렸는데, 축문은 없고 향을 피우고 4배를 올리고 고할 뿐이었다. 도인 가운데서 혹 행패를 부리고 난을 일으키는 자가 있으면 작당하여 말하길, “시끄럽다.” 하고, 귀를 막고 듣지 않은 것이 이루 헤아릴 수 없었다. 도인들의 인사법(人事法)에는 상하도 노소도 없고 접장(接丈)의 말만 있을 뿐이었다. 동네에 정서방(鄭書房)이라는 한 속인(俗人)이 있었는데, 도인인 상놈 늙은이를 대하면서 존대를 하였다. 그러자 이 노인이 심중에 분기가 있었던지라, 어느 날 밤 반말로 정서방에게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설을 무수히 퍼부었는데, 차마 듣고 있을 수가 없었다.

주석
큰 선생님 동학에서는 최제우를 대선생(大先生), 최시형을 선생이라 호칭했다. 곧 최제우를 가리킴.
접장(接丈) 접장(接長)의 오기. 동학 교도들은 귀천 존비 노소를 가리지 않고 서로 접장이라 부르면서 존댓말을 썼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