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일러두기

일기서[日記序]

나의 당초 생각에는 과거(科擧)를 보는 글이 단지 오언(五言)과 칠언(七言)만으로 작문을 하는 까닭에, 장문(長文, ① 줄글, ② 매우 긴 글)에 있어서는 ≪나는≫ 일찍이 한 줄도 거기에 미치지 못하였다. 지금에 와 생각해보니 이것은 헛된 일인데, 어떻게 이에 한 초시(初試)라도 합격하여 얻을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그 소위 시구(詩句)라는 것은 과거의 합격을 요하는데, 하물며 새 법률로 과거제도를 폐지하였으니 다시 무엇을 위하여 부(賦)와 시(詩)를 지으려고 노력하겠는가? 지금 이른바 이 일기(日記)는 바로 젖먹이 아이가 말을 배우는 수준과 같다. 체제가 없고 이치도 없이 횡설수설(橫說竪說)하여 하나도 적실(的實)하고 마땅함이 없어 펼쳐볼 만한 내용이 없다. 그렇지만 어느 물인들 바다로 흐르지 아니하고 어느 곡식인들 영글지 않을 것이며, 높은 데 오르려면 낮은 데서부터 올라가야 하고 먼 곳에 가려면 가까운 데로부터 가야 한다. 비록 날마다 사용하는 속되고 평범한 말이라도 다만 문장을 지어 익힌다면 여기에서 더 나아가 잠(箴)명(銘)서(序)기(記)소(疏)격(檄)의 문장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물에서 관찰해 보면, 바깥의 길바닥에 괸 물이 되거나 바위 구멍을 솟아나와 실낱같이 졸졸 흐르지 않는다면, 어느 때에 강회(江淮)하한(河漢)으로 흘러들어가 그 파도의 장엄하고 기이한 모양을 볼 수 있을지 모를 일이다. 그러나 불행하게 논밭 물고에 흘러들어 질흙이 되지 않는다면, 반드시 바다로 돌아가고야 말 것이다. 이를 곡식에서 관찰해 보면 스스로 바깥에서 썩은 나무로 꺾이거나 새싹이 땅 밖으로 뚫고 나와 지방(脂肪)이나 연한 가죽처럼 똑바로 서지 못하지만, 어느 날 밤과 낮, 비 · 이슬의 혜택을 입고 그 가지와 잎이 무성하게 자람을 볼 수 있을지 모를 일이다.
그러나 불행하게 소나 양의 먹이에 들어가지 않는다면 반드시 잘 영글고야 말 것이다. 이 때문에 천하(天下)의 이치가 하지 않으면 그만이거니와 일단 한다면 이루지 못할 리가 없으리라. 자벌레[蠖蟲]가 땅을 자질하며 그만두지 않고 간다면 역시 만 리 길(매우 먼 거리)도 갈 것이요, 우직한 사람이 산(山) 옮기는 일을 작파(作破)하지 않고 꾸준히 한다면, 또한 아홉 길 높이의 산도 능히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이미 저술하였던 글은 고풍(古風) 운(韻)을 따른 시 몇 수에 불과하므로, 매양 말을 배열하여 문장을 작성하는 데 그 흥과 맛이 쓸쓸하고 건조(乾燥)하며 깔끄러워, 도무지 노천(老泉, 소순[蘇洵]의 호)이 이른바 ‘마음을 집중하여 성취한 생각’을 찾아볼 수가 없다. 만일 혹 그것을 일으켜 마음에 들어 종이에 쓰거나, 혹 도와주는 묘미가 있었다면 어찌 감탄해 마지 않겠는가. 한(韓, 韓退之) · 유(柳, 柳宗元) · 구(歐, 歐陽脩) · 소(蘇, 蘇軾)한퇴지(韓退之); 한유(韓愈, 768~824) 중국 당(唐)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학자로, 유가사상 및 고대 산문회복운동을 시작하였다.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유종원(柳宗元); (773~819) 중국 당대(唐代)의 문인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한유(韓愈)와 더불어 고문(古文) 부흥운동을 제창했다. 구양수(歐陽脩); (1007~1072) 중국 송(宋)나라의 문인이며 정치가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호는 취옹(醉翁) 또는 육일거사(六一居士)이다. 소식(蘇軾); (1036~1101) 중국 북송(北宋)의 문인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호는 동파(東坡)이다. 는 이미 다 문장으로 세상에 명성을 울린 사람들이다. 이들이 울리고 간 후에 어찌 이어서 ≪명성을≫ 울린 사람들이 없었으랴? 초(楚)나라 언덕에 새가 울어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고, 진(秦)나라 새장 속에 갇혀 있는 매[鷹]는 마음속에 항상 하늘까지 올라가려는 높은 기질(氣質)을 품고 있다. 기개(氣槪)는 수양하여 이룰 수 있지만, 문장은 유독 배우지 않아도 능통할 수 있으랴? 오늘 한 가지 일을 기록하고 내일 또 한 가지 일을 기록해 나가면, 그 ≪문장 짓는 능력을≫ 여기에서 얻을 수 있는지라, 그 전에 잃었던 것을 걱정하지 않는다.

갑오년 7월 17일[甲午七月十七日] 주인(主人) 자서(自序)

주석
초시(初試) 과거의 1차 시험을 말하며, 향시(鄕試)라고도 한다. 서울과 지방에서 식년과(式年科) 전 해의 가을에 보았다. ‘式年科’는 식년(태세[太歲]에 자[子] · 오[午] · 묘[卯] · 유[酉]가 드는 해)마다 보던 문과 · 무과 · 생원 진사과 등의 과거시험을 말한다.
과거제도를 폐지 1894년 개화정권은 갑오개혁을 단행하면서 과거제 폐지 조항을 포함시켰다. 이는 사대부 특권층의 관료사회 독점을 막은 조치였다.
부(賦) 한문 문체의 하나로 글귀 끝에 운(韻)을 단 대구(對句) 형식이다.
잠(箴) 경계하거나 훈계하는 뜻을 담은 한문체. 경계하는 대상에 따라 관잠(官箴)과 사잠(私箴)으로 나누어진다.
명(銘) 금석(金石)이나 기물(器物)에 새기거나 써서 사물의 내력을 밝히거나 공적을 찬양(讚揚)한 글이다.
서(序) 시문(詩文)이나 책의 머리말에 글 만든 뜻을 자세히 써서 뒷사람에게 알게 하는 것이다.
기(記) 사적(事蹟)이나 산수(山水)의 유람(遊覽) 따위를 적은 한문체이다.
소(疏) ① 임금에게 올리는 글. 상소(上疏). ② 주석(註釋). ③ 부모상(父母喪)을 당한 사람에게 보내는 위로하는 편지와 그에 대한 회답의 편지이다. 위장(慰狀)
격(檄) 격문(檄文). ① 널리 세상 사람들을 선동하거나 의분(義憤)을 고취시키려고 쓴 글이다. ② 급히 여러 사람에게 알리려고 각 곳에 보내는 글이다. ③ 적군(敵軍)을 설득하거나 힐책(詰責)하는 글이다.
강회(江淮) 중국의 양자강(揚子江)과 회하(淮河) 유역(流域)의 지방을 말한다
하한(河漢) ① 황하(黃河)와 한수(漢水).
고풍(古風) 운(韻) 고풍(古風)에 다는 운(韻). ‘古風’은 한시(漢詩)의 한 체(體). 고시(古詩).
소순[蘇洵] (1009~1060) 중국 북송(北宋)의 문인으로 소식(軾)과 소철(轍)의 아버지. 당송 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