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초 7일 [同日]
호남소모관이 보고합니다. 동비(東匪) 가운데 고부에 사는 전봉준은 본디 동도에서 제일 먼저 선동한 괴수로 허다한 죄상을 낱낱이 들기 어렵지만 대중을 기만하여 군사를 만들고, 관군에 항거하고 주(州)와 현(縣)을 타파하고, 창고를 불태워 없애고, 마을을 겁탈하고, 무기고를 탈취하여 충청도와 전라도의 천리 사이에 인가의 연기를 오래도록 끊어지게 한 것이 모두 이놈이 한 짓입니다. 옛날 홍산의 역적 이몽학(李夢鶴)은 여섯 곳의 성곽을 함락하고도 오히려 ‘패역(悖逆)’이라 불렀는데, 60여 성을 함락하고 몇 만의 백성을 죽였으며 몇몇 곳의 읍재(邑宰, 수령)가 죽임을 당한 것도 또한 이놈의 짓입니다. 그 죄상을 따져보면 한나라의 황건적(黃巾賊)에 견줄 만하고 오히려 명나라의 유적(流賊)보다 더하여서 조금도 지체함 없이 섬멸하고 죽여야 할 놈입니다.
그런데 얼마나 다행인지 천신(天神)이 길을 가리켜주어 이달 초 2일 밤에 저놈이 김개남과 서로 만나려고 순창의 피로리(避老里)를 몰래 지나가는지라 그 마을의 선비인 한신현(韓信賢)이 분발하여 의병을 일으켜 김영철(金永徹)·정창욱(丁昌昱) 등 두 사람과 함께 몰래 마을의 장정들을 이끌고 여러 가지로 주선하여 그를 따르는 세 놈과 함께 생포하였습니다. 이는 참으로 함정을 파서 사나운 호랑이를 유인한 것이며 그물을 쳐서 맹금을 기다린 것이라 말할 수 있으니 어찌 성덕이 미친 바가 아니겠으며, 세 명의 백성이 분발하여 의병을 일으킨 것은 어찌 가상하지 않겠습니까? 그들을 권장하는 방도에 있어 우선 본소(本所)로부터 솔선하여 1,000냥을 상으로 지급할 것이고, 위 죄인 전봉준은 격식을 갖추어 본 도의 순영문으로 압송하려고 하였더니, 일본의 주력부대가 마침 마을로 들어와 말하기를, “우리들이 남쪽으로 내려온 것은 오로지 이 한 놈 때문이니 서로 같이 가두고 감시하여 경사(京司)로 압송해 추국하는 것이 당연하다”라고 하고 끌고 가려 함에,《이를》막지 못하고 부득이하게 죄인 전봉준을 일본군에게 넘겨주었습니다. 이런 사정을 보고합니다.
제(題): 전봉준 역적은 참으로 하찮고 괴상한 물건에 지나지 않다. 그는 녹림(綠林)의 부류이니 그가 지은 죄는 오히려 황건적보다 지나치니 그 놈을 어찌 감히 이에 비견하겠는가? 천도가 크게 밝아 삼척(三尺)의 아래에서 세 사람이 힘을 내어 의기를 다하였으니 어찌 다만 가상할 뿐이겠는가? 위에 보고하여 포상하고 높이어 불차(不次)로 격려함이 마땅하다. 먼저 이러한 뜻으로 직접 대면하여 깨우치고 타이를 것이며, 본 진영도 마땅히 상을 내려야 할 것이나 이미 저축해둔 것이 없고 또 애써 마련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아무 공납에서나 1,000냥을 지급하라”고 본군에 공문을 발송하였으니, 이것을 상고하여 즉시 내어 준 뒤에 형편을 급히 보고하라. 그리고 전봉준 역적이 일본 진영으로 압송된 것은 일의 형편이 참으로 그러하였겠으나, 따르는 세 놈의 성명은 애당초 장부에 기록되지 않았으며, 또 잡아가두었다는 어떠한 보고도 없다. 이는 특별히 조심하고 삼가는 뜻을 잃은 것이므로 다시 즉시 일체 조사하여 보고하는 것이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