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순무선봉진등록 巡撫先鋒陣謄錄
일러두기

12월 초 8일 [同日]

선봉진이 보고합니다. 방금 도착한 완영과 주고받은 보고 내용에, “심영의 병사들을 태인 종송리(種松里)로 파견하였는데 이달 초 1일에 비류의 거괴 김개남(金介男)을 붙잡았다”라고 합니다.

이어서 도착한 순창의 소모관 임두학(林斗鶴)의 보고 내용에, “동비 가운데 고부에 사는 전봉준은 본디 동도에서 제일 먼저 선동한 괴수로 허다한 죄상을 낱낱이 들기 어렵지만 대중을 기만하여 군사를 만들고, 관군에 항거하고 주현(州縣)을 타파하고, 창고를 불태워 없애고, 마을을 겁탈하고, 무기고를 탈취하여, 충청도와 전라도의 천리 사이에 인가의 연기를 오래도록 끊어지게 한 것이 모두 이놈이 한 짓입니다.

옛날 홍산의 역적 이몽학은 여섯 곳의 성곽을 함락하고도 오히려 ‘패역’이라 불렀는데, 이놈은 60여 성을 함락하고 몇 만의 백성을 죽였으며, 몇몇 곳의 읍재가 살해를 당한 것도 또한 이 놈의 짓입니다. 그 죄상을 따져보면 한나라의 황건적에 견줄 만하고 오히려 명나라의 유적보다 더하여서 조금도 지체함이 없이 섬멸하고 죽여야 할 놈입니다. 그런데 얼마나 다행인지 천신이 길을 가리켜주어 이달 초 2일 밤에 저놈이 김개남과 서로 만나려고 순창의 피로리를 몰래 지나가는지라 그 마을의 선비인 한신현이 분발하여 의병을 일으켜 김영철·정창욱 2사람과 함께 몰래 마을의 장정들을 이끌고 여러 가지로 주선하여 그를 따르는 세 놈과 함께 동시에 생포하였습니다.

이는 참으로 함정을 파고 사나운 호랑이를 유인한 것이며, 그물을 쳐서 맹금을 기다린 것이라 말할 수 있으니 어찌 성덕이 미친 바가 아니겠으며 세 명의 백성이 분발하여 의병을 일으킨 것은 어찌 가상하지 않겠습니까? 그들을 권장하는 도리에 있어 우선 본소(本所)로부터 솔선하여 1,000냥을 상으로 지급하려하고, 위 죄인 전봉준은 격식을 갖추어 본도의 순영문으로 압송하려고 하였더니, 일본의 주력부대가 마침 마을로 들어와 말하기를 ‘우리들이 남쪽으로 내려온 것은 오로지 이 한 놈 때문이니 서로 같이 가두고 감시하여 경사로 압송하여 추국하는 것이 당연하다’라고 하고 끌고 가려 함에 막지 못하고 부득이하게 죄인 전봉준을 일본군에게 내 주었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지금 역적 김개남과 전봉준은 바로 비류의 거괴로 만 번 죽여도 오히려 가벼운 자들입니다. 나라의 법[王章]이 지엄하고 천리가 크게 밝아서 스스로 사형을 당하게 되었으니 대단히 통쾌합니다. 김개남을 잡은 심영의 병사들에게는 반드시 완영으로부터 크게 격려가 있을 것입니다. 전봉준을 잡은 순창의 선비인 한신현과 김영철·정창욱 3사람은 비록 소모소에서 시상을 한다고 하나 본 선봉진에서도 역시 별도로 격려하고 권장하는 도리가 없을 수가 없기 때문에 순창읍(淳昌邑)에 명령하여 아무 공납중에서나 1,000냥을 떼어내어 지급한 뒤에 보고하도록 공문을 발송하였습니다.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는 여전히 도망친 거괴가 많아서 뒤를 좇아 잡는 방법은 오직 각 지방의 백성들이 의기를 떨치고 좇아가 붙잡는 데에 달려있습니다. 그러니 앞서 말한 순창의 선비 한신현에게는 임금에게 아뢰어 후한 포상을 내리게 하고, 김영철·정창욱 2사람에게도 합당하게 별도로 포상하여 백성을 격려하는 것이 편의에 합당할 것입니다. 이러한 사정을 보고 드립니다.

군무아문 제(題): 잘 알았거니와 포상하는 은전은 마땅히 조정에서 처분이 있을 것이니 이로써 격려하고 권장하라. 16일에 발송.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