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현의 의병맹주 이기가 고하는 글
구례현(求禮縣)의 의병맹주(義兵盟主) 이기(李沂)는 삼가 본도(本道) 열읍(列邑) 여러 장보(章甫)들에게 고합니다. 삼가 생각하건대, 간사한 말을 종식시키고 음탕한 말을 추방하며 양주(楊朱), 묵적(墨翟)을 막자고 말하는 자도 또한 성인의 무리인 것입니다. 난신(亂臣)과 적자(賊子)는 누구나 모두 베어죽일 수 있는 권한을 가졌거늘, 어찌 꼭 사사(士師)의 직책을 가져야만 하겠습니까?
가만히 생각하건대, 이런 이치는 하늘과 땅에 있으므로 눈을 가지고 해와 별을 보는 일과 다를 것이 없습니다. 이런 때문에 ‘상(殤)으로 치르지 않는 것이 또한 옳지 않겠는가’라고 하신 것은 이보(尼父 : 孔子)께서 동자(童子) 왕기(汪渏)로 말미암아 예(禮)를 비로소 만드신 것입니다. ‘쇠세(衰世)를 족히 감동시킬 수 있다’고 하신 것은 자양(紫陽:朱子)께서 오대승(五臺僧)을 위하여 탄식을 자아내신 것입니다. 이것은 오히려 모두 고금에 빛이 나 우주(宇宙)를 떠받칠 버팀목이 될 수 있거늘, 하물며 삶도 나의 원하는 바지만, 어물(魚物)을 버리고 웅장(熊掌)을 취할 줄 약간 알기 때문에 임금에게 무례한 짓을 보인다는 말을 들으면, 마치 매가 새를 쫓는 듯한 기세는 귀머거리나 앉은뱅이에게도 기를 더해줄 수 있거니와 배속에 꽉 차있는 것들은 모두 절의와 문장이 아닙니까?
우리 국가는 성신(聖神)한 임금들이 서로 대를 이어 태평성세를 이루고, 산천이 험하지 않는 아름다운 나라요, 민중들의 마음이 성과 같은 역할을 하니, 무기가 필요 없으며, 오랫동안 국은(國恩)을 하해처럼 받아왔건만, 아! 슬픕니다. 흥쇠(興衰)에 운수가 있어 비색(否塞)과 태평(泰平)이 교대로 찾아옵니다. 천택(川澤)은 깊고 수림(樹林)은 우거졌으므로 어류(魚類)와 패류(貝類)가 어울려있고, 물류는 많고 땅은 크므로 그 사이에 얼간이가 나는 것을 어찌 면할 수 있겠습니까?
전번에 외국의 사학(邪學)이 넘봄으로 인하여 동학(東學)이 몰래 치성(熾盛)해지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부수(符水)로 병을 치료하였으므로 그들은 장각(張角)과 장도릉(張道陵)의 등속인가 의심하였는데, 끝내는 황지(潢池)에서 무기를 휘둘러 문득 방훈(龐勛)과 방납(方臘)의 일을 일으켰습니다. 열군(列郡)과 웅번(雄藩)에 이르기까지 온갖 소란을 겪고 있습니다. 도적을 가볍게 여기고 임금의 세력에만 의지하는데도 오히려 조정에 법이 있다고 이르며, 문을 열어 적을 받아들이니 한스러운 것은 봉강(封疆)에 사람다운 사람이 없는 것입니다.
산동(山東) 2백 주(州)와 1천 마을이 모두 가시덤불이 났으니, 하북(河北) 24군(郡)에 어떤 사람이 남아의 뜻을 저버리지 않았습니까? 개미처럼 미약한 것들이 결국은 벌의 독침을 마구 휘두를지 누가 알았겠습니까? 도적 떼가 침범하여 유명한 성들을 점거하였고, 닭과 개가 편히 잘 수 없게 기마(騎馬)가 민간을 들락거립니다. 사대부가 무슨 죄가 있기에 고문하는 형장에 피를 묻히는 것입니까? 사가나 나라가 함께 할 원수는 바로 문정(門庭)의 도적에 대해 이를 갈아야 합니다. 불우한 하사(下士)와 궁색한 수재(秀才)는 육식(肉食)하는 고관들의 무모함을 탄식하며 답답해 죽고 싶은 심정을 견딜 수 없습니다. 무딘 칼로도 벨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마음에 각오한 바가 있기 때문입니다. 모기가 산을 진다는 것은 헤아리지 않고 단지 개와 말이 주인을 생각하는 마음만 간절할 뿐입니다. 드디어 의병을 일으켜 요망한 잡기를 깨끗이 쓸어버리기를 맹세합니다. 밝게 굽어보는 황천(皇天)으로부터 타고난 천성을 가지고 어진 이를 대우하고 선비를 양성한 조종(祖宗)의 은혜를 갚으려고 합니다.
삼가 생각하건대, 여러 군자들은 절의를 숭상하는 호남 고장에서 생장하여 전현(前賢)의 시례(詩禮)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비장한 마음이 북두칠성을 꿰뚫은 것은 응당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과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기풍을 들었기 때문이고, 웅장한 기개가 무지개를 가를 수 있음에는 어찌 석저(石底)와 금남(錦南) 정충신(鄭忠信)의 의열(義烈)이 없겠습니까? 나라를 위해 용맹을 떨치려고 칼을 들고 먼저 산으로 오르고, 그대들과 짝이 되었는데, 어찌 서로 돕는 일이 어렵겠습니까?
아! 군사가 정직하는 것이 씩씩하는 것이고, 일이 순리적이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장부는 마땅히 시신이 말가죽에 싸여서 돌아와야 하니 죽어도 또한 충의(忠義)의 귀신이 되는 것입니다. 천자께서 바야흐로 기린각(麒麟閣)을 열어놓고 기다리시니, 이 때가 바로 공명을 떨칠 기회입니다.
갑오(甲午) 12월
박해우(朴海友)
전도사(前都事) 김홍식(金弘植)
전현령(前縣令) 남궁표(南宮杓)
진사(進士) 김용선(金龍善)
전감역(前監役) 박건양(朴健陽)
유학 유제양(柳濟陽)
박태현(朴泰鉉)
좌군(左軍) 김기문(金淇文)
후군(後軍) 안창섭(安昌燮)
전군(前軍) 고찬식(高昌寔)
의병중군(義兵中軍) 고희수(高熺洙)
이방(吏房) 안기섭(安冀燮)
호장(戶長) 김재현(金在炫)
좌수(座首) 전두경(全斗景)
진사(進士) 고광문(高光文)
우군(右軍) 윤자각(尹滋恪)
집사(執事) 김이호(金履浩)
김광벽(金光璧)
서기(書記) 윤상호(尹相浩)
김광두(金光斗)
권동욱(權東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