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선봉진상순무사서(부잡기)
일러두기

순무사에게 올리는 편지[上巡撫使書]

9일에 중과부적(衆寡不敵, 적은 수로 많은 상대를 대적할 수 없다)의 형세로 작은 승리를 거둔 것은 왕령(王靈)에 힘입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 비록 물러갔으나 여전히 노성(魯城)과 논산 등지에 모여 그 수를 셀 수 없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지금 진잠(鎭岑) 공형(公兄)의 보고를 보니, “청주 일대에서 다시 창궐한다”고 하였습니다. 비록 연기(燕岐) 등지에 2개 부대를 뽑아 보냈으나 병력이 이처럼 넉넉하지 않고 그 탄환이 아직도 오지 않아 경리청(經理廳)의 각 부대에는 남아있는 것이 없습니다. 일본군 사관(士官)에게 어제 서울에서 탄환이 내려왔다고 했기 때문에 1만개를 요청해서 얻어 우선 나누어 주었으나, 이 탄환이 본래 모양에 적합하지 않아 구차하게 총소리만 내는 것을 면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전구(戰具)에 적합하지 않고 한번 싸워 쓰는 데에 불과하여 마음이 조급하고 울적합니다. 금영에 와서 머문 지가 수십일이 지났으나 아직도 전진하지 못하는 것은 곧 탄환이 떨어져 가기 때문입니다. 모든 일에 마음대로 하지 못하고 이처럼 체류하고 있어 송구스럽고 한탄스럽습니다. 장위영(壯衛營)의 전체 부대는 내포에서 바로 이인(利仁) 등지로 가도록 해당 영관(領官)에게 지시를 하였으나 교도병(敎導兵)은 어디에 있는지 몰라 합세해서 함께 나가도록 하는 것은 뜻대로 하기 어려 울 듯하여 매우 한탄스럽습니다. 교도소에서 보낸 북어(北魚)와 탄환은 그 사이에 탐문할 방도가 없었으나, 비로소 5~6일 전에 옥천(沃川)의 보고를 들었습니다. 그러나 실어 보낸 지가 지금까지 며칠이 되었으나 아직도 제대로 도착했다는 기별을 듣지 못해 울적합니다. 각 마을에서 잡아서 바친 비괴(匪魁)는 진영(鎭營)에서 조처하거나 잡은 곳에서 처치했으나 만약 혹시라도 잡아오면 일본인에게 통보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런 뒤에야 따지는 일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 사이에 곤란을 당한 일을 어찌 다 말할 수 있겠습니까? 일본군 함대가 내포에 와서 정박한 일을 일본인에게 물었더니, “도착했으나 소식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이 사람의 말이 늘 이런 경우가 많고, 명색이 대위라는 자도 다른 사람에게 관할을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것들을 그대로 믿기는 어려울 듯하나 250명이 아직도 홍주에 머무르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홍주에서 승리한 일은 저번에 적어 보고를 하였으나 해미(海美)와 서산(瑞山)등의 읍에 모여 있는 나머지 무리는 다시 이두황(李斗璜)에게 토벌되어 비로소 서산의 길이 열렸습니다. 그래서 공형(公兄)의 문장(文狀)이 왔는데, 전임 관장(官長, 수령)의 시신이 비로소 출발을 했다고 하였습니다. 그의 형 박감찰(朴監察)은 4~5일 전에 여기서 떠났을 뿐입니다.
일본인이 순영(巡營)을 핍박한 일은 이미 봉장(封章, 상소)를 했고 또한 적어서 의정부에 보냈으므로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아직도 사무를 그만두고 모든 일에 갈등을 빚으니 한탄스럽습니다. 일본인이 이처럼 거리낌 없는데 소인(小人, 자신을 지칭)에게 있어서는 어찌 말할 게 있겠습니까? 하하!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