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무사에게 올리는 편지[上巡撫使書]
참모군관(參謀軍官)등의 일을 이처럼 반복하여 말씀을 하시니 더욱 황송스러움을 견딜 수가 없습니다. 군관의 《경우》에는 이 성(省, 같은 고향)안에 사는 사람으로 막역한 친구가 아니면 바로 가까운 인척입니다. 지금 동요(東擾)가 있을 때에 억지로 들어갔다가 바로 귀화하거나 피신하여 편안하지 못한 자들인데, 대진(大陣, 본진)이 경내에 들어오면 모두 《거기에》 의탁하여 형세를 빌리려고 군관첩(軍官帖)을 요청한 것입니다. 그 심정을 돌아보아 괄시할 수가 없기 때문에 수십 장을 준 곳이 있습니다. 어찌 그 사이에 혹시라도 폐단을 저지른 게 없는지 알겠습니까? 비록 현장에서 잡힌 《죄목은》 없더라도 경미할 때에 막기 위해 여러 번 미리 지시를 하였으나 잡기(雜技)와 몇몇 읍의 수령들의 일에 있어서도 이런 폐단이 있어 조치를 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몇 가지 사건에 대한 책임은 진실로 감수할 일이나 실제로 전혀 허튼 얘기가 아닙니다. 근래의 일은 비록 근거가 없는 말이라도 오히려 헛소문을 만드는데 하물며 이같이 단서가 있는 일이야 어떻겠습니까? 모두 일이 생기기 전에 엄중하게 규제하지 못하여 정중한 하교(下敎)를 받게 되니 나도 모르게 송구스러움과 근심을 느낍니다. 모든 일에 효과가 없어 단지 매우 걱정스럽습니다. 이 10여명은 단지 1차례의 폐단만 있었으니 오히려 다행스럽다고 할 수 있습니다.
탄환의 일은 지금 가부간에 말씀이 없으신데, 요청했으나 제대로 되지 않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것을 돌아보니 어찌 할 수가 없고 실제로 변통할 방도가 없습니다. 일관(日館, 일본 공사관)에 이러한 탄환이 없다면 말할 수가 없고, 지금 청나라 사람이 남긴 탄환으로 비록 구차하게 사용하지만 쓰임에 맞추기가 어려우니 이것을 어찌하겠습니까?
유구(維鳩)에 사는 전 진산군수(前珍山郡守) 오정선(吳鼎善)이 겪은 일은 난처합니다. 소인(小人, 자신을 지칭)이 비록 직접 듣지는 못했으나 벽옥(璧玉)을 품은 죄로 유독 비도들의 침탈을 겪었지만 여러 달 동안 병들어 누워있어 피신을 하지 못하고 제재를 받았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지금 이런 지경에 이르렀는데, 어찌 변명을 할 수 있겠습니까? 장위영의 진중에서 당초에 의거한 말은 진실로 잘못되었으니 《당신께서》 어떻게 처분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그래서 보장(報狀, 하급 관아에서 상급 관아에 올리는 공문)을 함께 봉함하여 올리니 헤아려 보시고 처분해주시는 것이 어떠하겠습니까? 장위영의 진중이 병력의 위엄으로 이르는 곳마다 《적을》 진압하여 진실로 다행스럽습니다. 사람들의 말이 많은 법입니다. 근래의 일이 반드시 이런 《경우와》 비슷하니 어찌 하겠습니까?
노성과 논산에 모인 비류는 지금 비록 흩어졌으나 호남의 어느 곳으로 도망을 갔으리라 여겨집니다. 그러나 우선 형세 때문에 전진하여 토벌을 하지 못했습니다. 비록 추격하더라도 모인 곳이 없다고 하면 잡을 수가 없을 듯하고, 이것은 소문이어서 그대로 믿을 수가 없습니다. 또한 한산(韓山)과 임천(林川) 등지에 모인 자도 토벌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지금 경리청의 2대(二隊)로 하여금 출발하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도착하는 날에 반드시 《적의》 형적을 보기 어려울 듯합니다. 대체로 적시에 흩어지기 때문에 잠시 탐문할 방도가 없기 때문입니다. 진잠(鎭岑) 등지에 보낸 경리청의 2대는 《적의》 형적을 보지 못했다고 했기 때문에 돌아오도록 하였습니다. 이르는 곳마다 이처럼 군대가 지나간 뒤에 다시 모인다는 얘기가 있어 근심스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