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셋 12월 17일 [其百三 十七日]
보고하는 일입니다. 무안읍으로부터 목포를 향하여 출발한 사유는 이미 보고하였거니와, 13일 유시 경에 목포진(木浦鎭)에 도착하였습니다. 그런데 밤에 비가 내린 뒤에 바람과 파도가 크게 일더니 16일에 이르러서도 밤낮으로 그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후퇴하자니 200리를 돌아서 가야하고, 전진하자니 30리 험한 나루를 건너야 하겠기에 별다른 방법이 없어 나흘을 체류하였습니다. 군사의 행군을 생각해보건대 극히 송구하고 민망스럽습니다.
상민(商民)에게는 이미 해당 소임(所任)에게 철수하라는 지시가 내려진 바, 상리국(商理局)의 소임(所任) 이완배(李完培)·송성은(宋成雲)은 여기서 올려 보냈으나 올라가는 길가의 마을이 아직도 안정되지 않아 공사(公私)의 전령을 번갈아 보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을 듯합니다. 그리고 경포교(京捕校) 또한 긴하게 관련된 일이 없기 때문에 내려온 두 사람의 포교도 함께 출발하게 하였습니다. 상리국의 소임 두 사람은 천리종군하면서 보초를 설 때나 정탐할 때에 처음부터 끝까지 수고를 다하였으며, 포교 정태식(鄭台植)·이성근(李成根)도 역시 비류들을 뒤쫓아 체포하고 문초하는 일에 애를 많이 썼으니 모두 매우 가상합니다. 또한 각 읍의 상민(商民)들로 말하면, 비류들이 창궐할 즈음에 각기 화를 피하면 감히 몸둘 바가 없다가 군대가 행군한 뒤로 차차 모여들어 얼른 임방(任房)을 만드는가 하면 종군하여 일보는 자도 있습니다.
그리고 보초를 설 때에 부지런히 노고를 다하고 조금도 실수가 없었는바, 의당 각 읍으로부터 그들을 권장(勸獎)함이 있어야 하는데 감히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장흥·강진·영암·해남 등의 읍으로 각 진영을 골라 파송한 뒤로 비류들의 상황은 아직 정탐하지 못하고 또한 보고된 바도 없으니 군무(軍務)에 있어서 극히 민망스럽고 답답한 연유의 일입니다.
제(題): 도착하였거니와 상황을 연속해서 급히 보고할 것이고 상민들이 정탐한 일과 경포교(京捕校)가 부지런히 애쓴 것은 가상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