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일러두기

초9일

영백(嶺伯)이 보내온 전보에, “각처의 소모사(召募使)는 정말로 조용히 지내고 있으나 상주(尙州)의 소모사만 행동거지가 매우 크고 읍을 돌며 폐단을 끼치는 것도 많습니다. 더욱이 각 읍에 통지하여 포군(砲軍)을 뽑고 군량으로 호(戶)마다 몇 되의 쌀을 마련하게 하는데, 무슨 일로 많은 포군을 뽑고 쌀을 백성에게 거두는 지는 말할만한 것이 아닙니다. 도내에는 지금 변고가 없는데, 이런 일 때문에 읍마다 시끄러워 매우 근심스럽습니다. 백성에게 쌀을 거두는 것은 지금 감결(甘結)을 보내 금지하였으나, 서로 간에 의지하는 부분이 없지 않으니 미리 헤아려주시기 바랍니다. 소모사와 조방장(助防將) 및 토포사(討捕使)를 임명하는 공문을 주고받는 형식이 어떠하면 정당(停當, 사리에 맞다)하겠습니까? 휴이(攜貳, 서로 어그러져 믿지 아니하거나 딴 마음을 가짐)와 갈등이 있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지적해서 가르쳐주시기를 바랍니다”라고 하였다.
다시 보내온 전보에, “전보로 하교하신 뜻은 잘 알았습니다. 상주 소모사의 일은 지금 전보로 말씀을 드렸으나 유격장(遊擊將, 金奭中)이 청산의 평민을 침탈한 것은 매우 놀랍습니다. 지금 당장 소모사에게 공문을 보내고 상주 목사에게도 지시하여 바로 조사를 해서 정부에 보고하도록 하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주석
상주 소모사 상주의 유림인 정의묵(鄭宜黙)을 말한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