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동학당정토인록 東學黨征討人錄
일러두기

중출[重出]

전군수(前郡守) 박준빈(朴駿彬) 5품(五品) 김산군수(金山郡守) 영남조방장(嶺南助防將)

전참봉(前參奉) 유재기(柳載紀) 9품(九品) 안동인(安東人) 소모진(召募陣) 부임(赴任)

참위(參尉) 이동근(李東根) 6품(六品) 진남영대관(鎭南營隊官) 누차(屢次) 출진(出駐)

전주부(前主簿) 이두회(鄭斗會) 6품(六品) 운봉인(雲峰人) 소모진(召募陣) 부임(赴任)

참위(參尉) 조편(趙翩) 9품(九品) 별군관(別軍官) 출주양호(出駐兩湖)

참위(參尉) 김광수(金光洙) 9품(九品) 별군관(別軍官) 출주양호(出駐兩湖)

참위(參尉) 장대규(張大奎) 6품(六品) 경리교장(經理敎長) 장대규(張大奎)

전주사(前主事) 이시영(李時榮) 9품(九品) 참모관(參謀官)

부위(副尉) 이겸래(李謙來) 9품(九品) 별군관(別軍官)

전초관(前哨官) 이완근(李完根) 남영초관(南營哨官) 출주(出駐)

전초관(前哨官) 장경혁(張敬赫) 남영초관(南營哨官) 출주(出駐)

전초관(前哨官) 박승규(朴承奎) 심영초관(沁營哨官) 출주호남(出駐湖南)

전초관(前哨官) 임진형(林鎭瀅) 심영초관(沁營哨官) 출주호남(出駐湖南)

전초관(前哨官) 조상석(趙尙錫) 심영초관(沁營哨官) 출주호남(出駐湖南)

전초관(前哨官) 최호성(崔浩成) 심영초관(沁營哨官) 출주호남(出駐湖南)

전초관(前哨官) 조용문(曺用文) 심영초관(沁營哨官) 출주호남(出駐湖南)

전판관(前判官) 손창식(孫昌植) 이진만호(梨津萬戶) 방수영암(防守靈岩)

전초관(前哨官) 김경운(金景雲) 진남영대관(鎭南營隊官) 누차(屢次) 출주(出駐)

전대관(前隊官) 이태순(李泰淳) 진남영대관(鎭南營隊官) 누차(屢次) 출주(出駐)

전초관(前哨官) 곽경환(郭景煥) 진남영대관(鎭南營隊官) 초비(勦匪)

전대관(前隊官) 김기배(金起培) 진남영대관(鎭南營隊官) 초비(勦匪)

전대관(前隊官) 김영진(金榮振) 진남영대관(鎭南營隊官) 초비(勦匪)

전도사(前都事) 한응준(韓應俊) 홍주인(洪州人) 초토영(招討營) 부임(赴任)

전만호(前萬戶) 조헌묵(曺憲默)

출신(出身) 송흠국(宋欽國) 별군관(別軍官) 출주양호(出駐兩湖)

출신(出身) 최낙규(崔洛圭) 별군관(別軍官)

사용(司勇) 이석범(李錫範) 호연초토영군관(湖沿招討營軍官)

출신(出身) 문택규(文澤奎) 용담인(龍潭人)

출신(出身) 유상묵(柳相默) 호연초토영동관(湖沿招討營監蕫官)

유학(幼學) 신한휴(申漢休) 호연초토영별군관(湖沿招討營別軍官)

유학(幼學) 이두서(李斗緖)

유학(幼學) 황기정(黃基鼎)

유학(幼學) 한용보(韓用輔)

유학(幼學) 조종세(趙鍾世) 호연초토영별군관(湖沿招討營別軍官)

진사(進士) 송태회(宋泰會) 동복인(同福人)

유학(幼學) 박양준(朴良俊) 운봉인(雲峰人) 소모진(召募陣) 부임(赴任)

유학(幼學) 박봉주(朴奉珠) 운봉인(雲峰人) 소모진(召募陣) 부임(赴任)

유학(幼學) 유원무(柳遠茂) 목천인(木川人)

유학(幼學) 정기조(鄭耆朝) 목천인(木川人)

유학(幼學) 정기황(鄭基璜) 호연초토영별군관(湖沿招討營別軍官)

유학(幼學) 박노순(朴魯純)

유학(幼學) 김낙환(金洛煥) 향도관(鄕導官) 출주양호(出駐兩湖)

유학(幼學) 채상규(蔡相奎) 소모진참모사(召募陣參謀士)

유학(幼學) 이명상(李明翔) 소모진참모사(召募陣參謀士)

부교(副校) 홍선경(洪善敬) 장위영교장(壯衛營敎長)

부교(副校) 이장혁(李章爀) 경리청교장(經理廳敎長)

교장(敎長) 황수옥(黃水玉) 통위영교장(統衛營敎長)

교장(敎長) 이봉춘(李鳳春) 경리청교장(經理廳敎長)

부교(副校) 추광엽(秋光燁) 장위영교장(壯衛營敎長)

교장(敎長) 양기영(梁基英) 장위영교장(壯衛營敎長)

교장(敎長) 오순영(吳順永) 장위영교장(壯衛營敎長)

교장(敎長) 박성희(朴聖熙) 장위영교장(壯衛營敎長)

교장(敎長) 김대유(金大有) 장위영교장(壯衛營敎長)

참교(參校) 이경진(李景振) 공병대참교(工兵隊參校)

교장(敎長) 우기준(禹基俊) 경리청교장(經理廳敎長)

교장(敎長) 고학석(高學錫) 통위영교장(統衛營敎長)

참교(參校) 장세복(張世福) 장위영교장(壯衛營敎長)

교장(敎長) 박상길(朴尙吉) 통위영교장(統衛營敎長)

참교(參校) 정재원(鄭在元) 경리청교장(經理廳校長)

참교(參校) 최기성(崔基成) 장위영교장(壯衛營校長)

교장(敎長) 김명산(金命山) 장위영교장(壯衛營敎長)

교장(敎長) 송치응(宋致應) 장위영교장(壯衛營敎長)

부교(副校) 고용진(高龍振) 경리청교장(經理廳校長)

교장(敎長) 김상운(金相雲) 통위영교장(統衛營敎長)

참교(參校) 정인갑(鄭仁甲) 경리청교장(經理廳敎長)

참교(參校) 정태완(鄭台完) 나주초토영도통장(羅州招討營都統將)

참교(參校) 손상문(孫商文) 나주군수성도통장(羅州郡守城都衛將)

참교(參校) 김재환(金在煥) 나주부통장(羅州副統將)

참교(參校) 주중채(朱中采) 능주군수성장(綾州郡守城將)

참교(參校) 오수현(吳壽玹) 능주수성총검(綾州守城摠檢)

참교(參校) 윤자경(尹滋慶) 능주군방수장(綾州郡防守將)

유학(幼學) 문재덕(文載德) 능주군방수장(綾州郡防守將)

유학(幼學) 장교혁(張敎赫) 전남영초관(前南營哨官)

유학(幼學) 이완근(李完根) 전남영초관(前南營哨官)

장교(將校) 김학수(金鶴壽) 금영행도관(錦營行導官)

장교(將校) 이상현(李相鉉) 충청병영전별찬군관(忠淸兵營前別撰軍官)

장교(將校) 노광수(盧光洙) 충청병영별군관(忠淸兵營別軍官)

장교(將校) 임진형(林鎭瀅) 전심영초관(前沁營哨官)

장교(將校) 엄태영(嚴泰永) 전화영집사(前華營執事)

장교(將校) 손창식(孫昌植) 전(前)

출신(出身) 신철회(申徹會) 통영장교(統營將校)

출신(出身) 정인식(鄭仁植)

출신(出身) 문재덕(文在悳) 금영군관(錦營軍官)

출신(出身) 정창권(鄭昌權) 완영장교(完營將校)

출신(出身) 이종갑(李宗甲) 순천장교(順天將校)

출신(出身) 김언찬(金彦燦) 순천장교(順天將校)

출신(出身) 손치홍(孫致洪) 나주하리(羅州下吏)

출신(出身) 천항균(千恒均) 청영교장(淸營敎長)

출신(出身) 엄하영(嚴河永) 담양하리(潭陽下吏)

출신(出身) 고덕봉(高德鳳) 나주집사(羅州執事)

전사과(前司果) 전학권(錢鶴權) 나주난후별장(羅州攔後別將)

전사과(前司果) 전공서(錢公瑞) 나주공무군관(羅州公務軍官)

전사과(前司果) 승용규(昇龍奎) 나주수교(羅州首校)

전사과(前司果) 오득제(吳得濟) 나주하리(羅州下吏)

전사과(前司果) 오득환(吳得煥)

전사과(前司果) 오화준(吳華準)

유학(幼學) 신한휴(申漢休) 별군관(別軍官)

유학(幼學) 이두서(李斗緖) 소모사(召募士)

유학(幼學) 서연권(徐然權)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곽인엽(郭仁燁) 청영수교(淸營首校)

유학(幼學) 전응진(全應振) 고창장교(高敞將校)

유학(幼學) 양화영(梁華永)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양인환(梁仁煥)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양남중(梁南中)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양길원(梁元吉) 공주집사(公州執事)

유학(幼學) 박준식(朴準植) 공주진수교(公州鎭首校)

유학(幼學) 박춘식(朴春植) 공주진병교(公州鎭兵校)

유학(幼學) 박순달(朴順達) 공주진천총(公州鎭千摠)

유학(幼學) 심은서(沈恩瑞) 홍주감동관(洪州監蕫官)

유학(幼學) 박춘명(朴春明) 공주좌별장(公州左別將)

유학(幼學) 박윤칠(朴允七) 나주우별장(羅州右別將)

유학(幼學) 박근욱(朴根郁)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박관욱(朴寬郁)

유학(幼學) 박윤홍(朴允洪)

유학(幼學) 박성로(朴成老)

유학(幼學) 박경욱(朴景郁)

유학(幼學) 박상욱(朴尙郁)

유학(幼學) 박연규(朴年珪)

유학(幼學) 박두영(朴斗英)

유학(幼學) 박시홍(朴時泓) 이상(以上)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박상수(朴祥壽) 나주좌수(羅州座首)

유학(幼學) 박일화(朴日華) 운봉호장(雲峰戶長)

유학(幼學) 박광식(朴光植) 운봉이방(雲峰吏房)

유학(幼學) 박길룡(朴吉龍) 운봉통인(雲峰通引)

유학(幼學) 박기래(朴麒來) 청영별군관(淸營別軍官)

유학(幼學) 박경수(朴敬秀) 청주한량(淸州閑良)

유학(幼學) 박재후(朴在厚) 남원하리(南原下吏)

유학(幼學) 박진홍(朴震洪) 남원운량색(南原運糧色)

유학(幼學) 박재풍(朴在豊) 광주퇴교(光州退校)

유학(幼學) 박봉의(朴鳳儀) 남원자초색(南原煮硝)(色)

유학(幼學) 윤치근(尹致根) 심영포교(沁營捕校)

유학(幼學) 윤기홍(尹基弘) 심영기패관(沁營旗牌官)

유학(幼學) 장길한(張佶翰)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유장춘(柳長春) 청영교장(淸營敎長)

유학(幼學) 정남주(鄭南柱) 광주퇴교(光州退校)

유학(幼學) 장윤국(張允國) 금영군관(錦營軍官)

유학(幼學) 최윤용(崔允龍)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최일봉(崔一鳳)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최문섭(崔文燮)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최용환(崔鎔煥)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최성순(崔聖純) 나주천총(羅州千摠)

유학(幼學) 박동훈(崔東薰) 홍주감동관(洪州監蕫官)

유학(幼學) 최응순(崔應淳) 홍주감동관(洪州監蕫官)

유학(幼學) 최학연(崔學淵) 홍주수형리(洪州首刑吏)

유학(幼學) 최재철(崔在哲) 용인장교(龍仁將校)

유학(幼學) 홍규섭(洪圭燮)

유학(幼學) 최점동(崔點同) 청영교장(淸營敎長)

유학(幼學) 강만준(姜萬俊) 청영교장(淸營敎長)

유학(幼學) 원영환(元英煥) 장위영집사(壯衛營執事)

유학(幼學) 김병호(金炳浩) 장연좌영장(長淵左領將)

유학(幼學) 한영윤(韓永崙) 홍주감동관(洪州監蕫官)

유학(幼學) 한덕용(韓德鏞) 홍주감동관(洪州監蕫官)

유학(幼學) 이규승(李奎承) 홍주좌수(洪州座首)

유학(幼學) 이언묵(李彦默) 이천부영솔군관(伊川府領率軍官)

유학(幼學) 이시점(李時漸) 이천부영솔군관(伊川府領率軍官)

유학(幼學) 이능연(李能淵) 홍주오진영군관(洪州五陣領軍官)

유학(幼學) 이종응(李鍾應) 홍주유리(洪州由吏)

유학(幼學) 최남표(崔南杓) 해영집사(海營執事)

유학(幼學) 이명선(李鳴善) 장연도원장(長淵都領長)

유학(幼學) 이계하(李啓夏) 나주퇴교(羅州退校)

유학(幼學) 김하은(金夏殷) 서산호장(瑞山戶長)

유학(幼學) 김완태(金完泰) 청영교장(淸營敎長)

유학(幼學) 김장권(金長權)

유학(幼學) 김제필(金濟弼)

유학(幼學) 김기종(金基宗) 이상(以上) 청영교장(淸營敎長)

유학(幼學) 김도환(金道煥) 이천부영솔군관(伊川府領率軍官)

유학(幼學) 김홍엽(金弘燁) 경리청교장(經理廳敎長)

유학(幼學) 김인길(金仁吉) 장위영교장(壯衛營敎長)

유학(幼學) 김백현(金伯鉉) 공주진영집사(公州鎭營執事)

유학(幼學) 김돌적(金乭迪) 목천군교(木川軍校)

유학(幼學) 김경석(金京錫) 심영포교(沁營捕校)

유학(幼學) 김시형(金時亨) 심영포교(沁營捕校)

유학(幼學) 김상범(金商範) 홍주군관(洪州軍官)

유학(幼學) 김종헌(金鍾憲) 홍주군관(洪州軍官)

유학(幼學) 김주현(金周鉉) 홍주군관(洪州軍官)

유학(幼學) 김석교(金錫敎) 홍주기교(洪州譏校)

유학(幼學) 김관섭(金寬燮) 홍주호장(洪州戶長)

유학(幼學) 김형대(金瀅大) 청영수교(淸營首校)

유학(幼學) 이진협(李鎭協) 청주진교(淸州鎭校)

유학(幼學) 김창균(金蒼均) 나주퇴교(羅州退校)

유학(幼學) 김학술(金學述)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김근환(金根煥)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김기옥(金基玉)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김석균(金錫均)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김종하(金鍾廈) 태인군관(泰仁軍官)

유학(幼學) 한응수(韓應洙) 목천군교(木川軍校)

유학(幼學) 구유술(具有述) 나주하리(羅州下吏)

유학(幼學) 조광승(曺光承) 공주진우별장(公州鎭右別將)

유학(幼學) 조용문(曺龍文) 심영초장(沁營哨長)

유학(幼學) 조맹균(曺孟均) 심영퇴리(沁營退吏)

유학(幼學) 우동선(禹東善) 장연우영장(長淵右領長)

유학(幼學) 문영로(文永老) 나주수교(羅州首校)

유학(幼學) 문관후(文寬厚) 나주남별장(羅州南別將)

유학(幼學) 나현구(羅鉉九) 서천수성장(舒川守城將)

유학(幼學) 안재후(安在厚) 공주진병교(公州鎭兵校)

주석
출신(出身) 조선시대 문과(文科):(大科)・무과(武科)・잡과(雜科) 등의 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일컫는 말.
남원자초색(南原煮硝) 자초 : 화약의 일종.
심영기패관(沁營旗牌官) 기패관 : 선 후기에, 여러 군영에서 지방 출신 군사들의 훈련을 맡아보던 무관 벼슬. 20개월 또는 24개월 뒤에 육품관으로 진급하였다.
홍주유리(洪州由吏) 지방(地方) 관아(官衙)에 딸린 이방(吏房)의 아전(衙前).
홍주기교(洪州譏校) 조선 시대에, 포도청에 속하여 죄인의 탐정 수사를 맡아보던 벼슬. 기교(譏校)・기찰포교(譏察捕校).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