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무사
(廵撫使)신정희
(申正熙)정1품 졸서
(正一品 卒逝)중군
(中軍)허진
(許璡)종2품
(從二品)군부협판
(軍部協辦)권재형
(權在衡)종2품
(從二品)종사관
(從事官)정인표
(鄭寅杓)6품
(六品)호남초토사
(湖南招討使)민종렬
(閔種烈)종2품
(從二品)뜻을 세워 궁리하고 계획하여 외따로 고립된 성을 끝내 지켰다.[矢志運籌竟守孤城] 호연초토사
(湖沿招討使)이승우
(李勝宇)종2품
(從二品)백성들의 마음을 가라앉히고 용사를 모집하여 외따로 고립된 성을 끝내 지켰다.[鎭民募勇終守孤城] 충청감사
(忠淸監司)박제순
(朴齊純)종2품
(從二品)5개월 동안 위기를 맞이하여 마음을 다해 도적의 무리를 방어하였다.[五朔危機盡心禦寇] 전라감사
(全羅監司)이도재
(李道宰)종2품
(從二品)호남 1도가 그의 덕택에 다시 소생하였다.[湖南一省賴以復甦]
좌선봉
(左先鋒)이규태
(李圭泰)3품 졸서
(三品 卒逝)양호(兩湖)의 적도를 토벌하고 평정하여 군사와 백성 모두가 칭송하였다.[討平兩湖軍民咸頌] 청주병사
(淸州兵使)이장회
(李長會)종2품
(從二品)5개월 동안 도적의 무리를 방어하고 군사를 훈련하여 성을 지켰다.[五朔禦寇鍊武守城] 전경리영관 군수
(前經理領官 郡守)성하영
(成夏永)3품
(三品)우금치 전투에서 몸을 떨쳐 앞장서서 나아갔다.[牛金之役挺身先登] 전순무참모관 주서
(前廵撫參謀官 注書)박봉양
(朴鳳陽)9품 전주사
(九品 前主事)의병을 일으켜 성을 지키고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적도를 죽였다.[倡義守城殺賊無筭] 전현감
(前縣監)조원식
(趙元植)6품
(六品)의병을 규합하여 수천명의 비적을 죽였다.[糾聚民勇殺匪數千] 전소모관
(前召募官)정기봉
(鄭基鳳)6품 충주군수
(六品 忠州郡守)의로써 도적의 무리를 방어하고 지혜로써 능히 적을 다스렸다.[義以禦寇智能料敵] 전경리영관
(前經理領官)구상조
(具相祖)3품 참령
(三品 參領)송산과 우금치에서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다.[松山牛金屢著戰功] 전통위영관
(前統衛領官)장용진
(張容鎭)3품 참령
(三品 參領)우금치와 논산에서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다.[牛金論山屢著其功]
전장위영관
(前壯衛領官)원세록
(元世祿)3품 보성군수
(三品 寶城郡守)여러 차례 전공을 세워 (畿湖) 지역을 안정시켰다.[屢著戰功畿湖賴安] 전경리대관
(前經理隊官)이상덕
(李相德)4품 부위
(四品 副尉)공주와 서천에서 수백명의 적도를 모조리 죽였다.[公州舒川殲賊數百] 전장위영관
(前壯衛領官)윤희영
(尹喜永)3품
(三品)양호(兩湖)에서 잇따라 전투에 참가하여 수백명의 적도를 죽였다.[連戰兩湖殺賊數百] 전경리대관
(前經理隊官)윤영성
(尹泳成)4품 정위
(四品 正尉)공주와 서천에서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舒川屢著其功] 전경리청대관
(前經理廳隊官)김명환
(金命煥)4품 정위
(四品 正尉)호남의 고을에서 여러 차례 전투에 참가하여 적은 병력으로 많은 적을 상대하였다.[屢戰湖邑以寡敵衆] 전통위대관
(前統衛隊官)신창희
(申昌熙)4품 정위
(四品 正尉)우금치와 논산에서 여러 차례 전투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웠다.[牛金論山屢戰著功] 전통위대관
(前統衛隊官)오창성
(吳昌成)4품 정위
(四品 正尉)여러 차례 전투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웠는데 그 공이 신창희와 같았다.[功同申昌熙屢戰著功] 전경리대관
(前經理隊官)백낙완
(白樂浣)3품 참령
(三品 參領)효포와 우금치에서 힘껏 싸워 적도를 물리치고 이미 상을 받았다.[孝浦牛金力戰却賊已蒙賞典] 전경리대관
(前經理隊官)조병완
(曺秉完)4품 부위
(四品 副尉)부지런히 기호지역을 순찰하여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廵勦畿湖屢著其功] 전교도대관
(前敎導隊官)이겸제
(李謙濟)4품 참령
(四品 參領)양호(兩湖)에서 잇따라 전투에 참가하여 빛나는 전공을 세웠다.[連戰兩湖最著其功] 전장위대관
(前壯衛隊官)이규식
(李圭植)4품 정위
(四品 正尉)양호(兩湖)에서 잇따라 전투에 참가하여 위험을 무릅쓰고 적도를 격파하였다.[連戰兩湖涉險破賊]
전나주영장
(前羅州營將)이원우
(李源祐)3품
(三品)나주목사와 협심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성을 지켰다.[協心州牧終始守城] 호남소모관 전주사
(湖南召募官 前主事)백낙중
(白樂中)9품
(九品)운봉을 고수하고 기회를 틈타 적도를 격파하였다.[固守雲峰應機破賊] 전공주영장
(前公州營將)이기동
(李基東)3품 정위
(三品 正尉)계략과 결단력이 있어서 군사를 지원하는데 임기응변이 뛰어났다.[有謀能斷贊戎應變] 전거창부사 소모사
(前居昌府使 召募使)정관섭
(丁觀燮)3품
(三品)군사를 모아 고개를 지키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적도를 죽이거나 잡았다.[募旅守嶺勦捕無筭] 전운봉현감
(前雲峰縣監)이의경
(李義絅)6품
(六品)적은 병력으로 성을 지켜 반드시 승리를 계획하였다.[孤軍守城劃筭決勝] 전전라좌수사
(前全羅左水使)김철규
(金徹圭)3품
(三品)강한 적도를 방어하여 성벽을 보호하였다.[捍遏强寇保護城垣] 전영해부사
(前寧海府使)신태휴
(申泰休)3품 참령
(三品 參領)영남의 고을을 순찰하여 많은 비도들을 죽이거나 잡았다.[廵哨嶺邑勦捕群匪]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이지효
(李志孝)6품 부위
(六品 副尉)양호의 전투에서 네 차례 전공을 세웠다.[兩湖之役四次戰功] 옥과의려 전현감
(玉果義旅 前縣監)유정효
(劉正孝)6품
(六品)군사를 모으고 계획을 세워 많은 비류를 체포하였다.[募旅設計多捕匪類] 전경리교장
(前經理敎長)이봉춘
(李鳳春)공주와 서천에서 여섯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舒川六次戰功]
전경리교장
(前經理敎長)이장혁
(李章赫)부위
(副校)공주와 서천에서 여섯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舒川六次戰功] 신천의려장 진사
(信川義旅長 進士)안태훈
(安泰勳)죽음을 무릅쓰고 의를 위해 일어서서 재산을 나누어 주며 병사를 모집하였다.[冒死奮義散財募丁] 청주전영관
(淸州前領官)이용정
(李容正)3품 지평군수
(三品 砥平郡守)여러 차례 전투에 참가하여 그 공로가 더욱 드러났다.[屢次出戰尤著其勞] 전장위영관
(前壯衛領官)남만리
(南萬里)3품 정위
(三品 正尉)일본군대에서 종군하면서 부지런히 일을 주선하였다.[從行日陣周旋勤至] 전장위대관
(前壯衛隊官)박영호
(朴永祜)6품 정위
(六品 正尉)기호의 여러 고을에서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다.[畿湖諸邑屢次戰功] 순무참모사
(廵撫參謀士)이규백
(李圭白)9품 탁지주사
(九品 度支主事)천리 밖의 먼곳에 있는 부대를 좇아가서 부지런히 계책을 세웠다.[千里赴陣奔走贊畫] 우선봉진별군관
(右先鋒陣別軍官)윤지영
(尹摯榮)호남우도의 여러 고을에서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다.[湖右諸邑屢著戰功] 우선봉진별군관
(右先鋒陣別軍官)김광수
(金光洙)6품 참위
(九品 參尉)호남우도의 여러 고을에서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다.[湖右諸邑屢著戰功] 순무참모관
(廵撫參謀官)권종석
(權鍾奭)4품 참령
(四品 參領)공주와 서천에서 네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舒川四次戰功] 순무참모관
(廵撫參謀官)신효식
(申孝湜)공주와 서천에서 다섯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舒川五次戰功]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류석용
(柳錫用)6품 부위
(六品 副尉)공주와 서천에서 네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舒川四次戰功] 순무참모관
(廵撫參謀官)이상덕
(李相德)3품
(三品)공주 전투에서 세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之役三次戰功] 순무참모관
(廵撫參謀官)황승억
(黃昇億)공주 전투에서 세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之役三次戰功]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이재화
(李在華)6품 홍산군수
(六品 鴻山郡守)효포와 우금치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孝浦牛金再有戰功] 순무참모관
(廵撫參謀官)이구영
(李龜榮)9품 삼척군수
(九品 三陟郡守)군량을 조달하고 탄환을 운반하며 일을 계획하고 알선하였다.[調餉運丸幹旋籌劃] 순무참모관
(廵撫參謀官)정도영
(鄭道永)9품 군부주사
(九品 軍部主事)모든 일에 일일이 계획에 참여하였으며 몸소 화살과 돌을 무릅쓰고 싸웠다.[隨事參畫親冒矢石]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이달영
(李達榮)효포와 우금치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孝浦牛金再次戰功] 순무별군관 전군수
(廵撫別軍官 前郡守)이종진
(李宗珍)3품 체임무산군수
(三品 遞茂山郡守)납교와 우금치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蠟橋牛金再次戰功] 순무별군관 유학
(廵撫別軍官 幼學)이주서
(李周瑞)공주와 담양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潭陽再次戰功]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이필영
(李弼榮)3품 횡성군수
(三品 橫城郡守)납교와 우금치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納橋牛金再次戰功] 순무별군관 전군수
(廵撫別軍官 前郡守)이흥교
(李興敎)3품
(三品)납교와 우금치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納橋牛金再次戰功]
순무별군관 출신
(廵撫別軍官 出身)송흠국
(宋欽國)납교와 우금치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納橋牛金再次戰功]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박정환
(朴晶煥)6품 정위
(六品 正尉)납교와 우금치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納橋牛金再次戰功] 좌선봉진별군관 출신
(左先鋒陣別軍官 出身)이선
(李璿)납교와 우금치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納橋牛金再次戰功]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이겸래
(李謙來)6품 부위
(六品 副尉)기호의 여러 고을에서 세 차례 전공을 세웠다.[畿湖諸邑三次戰功]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조편
(趙翩)9품 참위
(九品 參尉)기호지역에 종군하여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從軍畿湖頗有戰功] 안동전영장
(安東前營將)김호준
(金好駿)3품
(三品)수만명의 적도를 물리쳐 온 경내가 안정되었다.[却賊數萬闔境賴安] 전하동부사 조방장
(前河東府使 助防將)홍택후
(洪澤厚)4품
(四品) 한 고을의 적도들을 모두 진압하여 온 경내가 안정되었다.[勦盡一邑闔境賴安] 전교도대관
(前敎導隊官)이민굉
(李敏宏)3품 부령
(三品 副領)양호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다.[兩湖之役屢次戰功] 전천안군수
(前天安郡守)김병숙
(金炳塾)졸서
(卒逝)병사를 모아 병기조작 훈련을 시켰으며 비도를 진압하고 양민을 위로하였다.[募兵鍊械勦匪撫良] 심영병방
(沁營兵房)황헌주
(黃憲周)졸서
(卒逝)위험을 무릅쓰고 힘을 내어 김개남을 체포하였다.[冒險出力捉金介男] 영남소모사
(嶺南召募使)정의묵
(鄭宜默)3품
(三品)의병을 모집하여 보내어 적도와 싸우거나 체포하였다.[募義派兵或戰或捕]
관동소모관
(關東召募官)김태진
(金太鎭)6품 인제군수
(六品 獜蹄郡守)적을 죽이거나 체포하고 위로하며 구제하는 일이 모두 다 적절하였다.[勦捕存恤各得其宜] 전부장
(前部將)안승렬
(安承烈)6품
(六品)사나운 비도들을 섬멸하고 남은 무리들을 소탕하였다.[破殲劇匪掃蕩餘藪] 홍주전학관
(洪州前學官)이규응
(李奎應)9품
(九品)유회에서 농보를 쌓고 바깥에서 홍주성을 지원하였다.[儒會農堡外援洪城] 천안의병장
(天安義兵將)윤영렬
(尹英烈)3품 안성군수
(三品 安城郡守)재산을 다 털어서 의병을 모집하였으며 적도를 죽이거나 붙잡는 일에도 깊이 관여하였다.[傾財倡義廣行勦捕] 전홍주영장
(前洪州營將)홍건
(洪楗)3품
(三品)홍주의 전투에서 승리한 것은 상당부분 그의 활약 덕분이었다.[洪州之捷多賴其力] 경리영관 전군수
(經理領官 前郡守)홍운섭
(洪運燮)3품
(三品)금강의 남북에서 세 차례 전공을 세웠다.[錦江南北三次戰功] 옥천의병장 전군수
(沃川義兵將 前郡守)박정빈
(朴正彬)5품
(五品)의병으로서 경병을 지원하여 비류를 죽이거나 붙잡아 이미 청산군수로 제수되는 상을 받았다.[義援京兵勦捕匪類已蒙賞典靑山郡守]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육상필
(陸相弼)6품 부위
(六品 副尉)의병을 모집하여 적도의 우두머리들을 많이 붙잡았다.[召募義旅多捉巨魁]
호남소모관 전현감
(湖南召募官 前縣監)임두학
(林斗鶴)3품
(三品)의병을 모으기를 주창하여 적도의 우두머리들을 많이 붙잡았다.[倡募義旅多獲巨魁] 호남소모관 진사
(湖南召募官 進士)이장규
(李章珪)창의하여 병사를 모집하고 비도의 우두머리들을 붙잡아 바쳤다.[倡義募兵捉納匪魁] 제천유학
(堤川幼學)서상무
(徐相懋)창의하여 군대를 모아 비류를 생포하였다.[倡義募旅生擒匪類] 장연유학
(長淵幼學)정량
(鄭樑)의병 1,000여명을 모아 본부를 두 차례 지원하였다.[募義千餘再援本府] 부안유학
(扶安幼學)이장하
(李璋夏)창의하여 병사를 모아 많은 비도를 죽이거나 붙잡았다.[倡義募兵勦捕群匪] 부안진사
(扶安進士)이병로
(李秉老)창의하여 비도를 죽이고 거액을 출연하여 군량을 넉넉히 조달하였다.[倡義勦匪巨款贍餉] 홍주순초영관
(洪州廵哨領官)이석범
(李錫範)약한 무리를 이끌고 홀로 강한 적도에게 항전하였다.[指揮弱衆獨抗强敵] 한산수성장
(韓山守城將)김연
(金鍊)3품 정읍군수
(三品 井邑郡守)힘껏 한산성을방어하여 인근 경내가 안정되었다.[力守韓城隣境賴安] 남원참봉
(南原參奉)황영
(黃瑛)창의하여 군사를 모아 비도를 죽이거나 붙잡았다.[倡義募軍勦捕匪徒] 청주별군관
(淸州別軍官)신장선
(申長善)상인 출신 병정을 모집하여 13 차례나 전투에 참가하였다.[募領商丁十三出戰]
경리교장
(經理敎長)장대규
(張大奎)3품 참위
(三品 參尉)공주와 서천에서 네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舒川四次戰功] 경리교장
(經理敎長)김홍엽
(金弘燁)공주 전투에서 세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之役三次戰功] 통위교장
(統衛敎長)박상길
(朴相吉)참교
(參校)공주와 은진에서 세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恩津三次戰功] 장위교장
(壯衛敎長)양기영
(梁基英)기호의 전투에서 세 차례 전공을 세웠다.[畿湖之役三次戰功] 경리교장
(經理敎長)우기준
(禹基俊)공주 전투에서 세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之役三次戰功] 장위교장
(壯衛敎長)이경진
(李景振)호서의 전투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湖西之役再次戰功] 경리교장
(經理敎長)정인갑
(鄭仁甲)공주와 서천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舒川再次戰功] 경리교장
(經理敎長)정재원
(鄭在元)공주와 서천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舒川再次戰功] 통위교장
(統衛敎長)김상운
(金相雲)공주와 은진에서 두 차례 전공을 세웠다.[公州恩津再次戰功] 해주포군영장
(海州砲軍領將)기인덕
(奇仁德)해서의 여러 고을에서 여러 차례 전공을 세웠다.[海西諸郡屢有戰功] 심영초관
(沁營哨官)박승규
(朴承奎)대둔산 전투에서 적도를 소탕하였다.[大芚之役掃蕩賊藪] 순천의려
(順天義旅)윤성섭
(尹成涉)창의하여 관문을 지키는 자를 칼로 베고 부성을 되찾았다.[倡義斬關克復府城]
순천의려
(順天義旅)이종갑
(李宗甲)창의하여 관문을 지키는 자를 칼로 베고 부성을 되찾았다.[倡義斬關克復府城] 순천의려
(順天義旅)천사성
(千士成)창의하여 관문을 지키는 자를 칼로 베고 부성을 되찾았다.[倡義斬關克復府城] 순천의려
(順天義旅)김성록
(金聖祿)창의하여 관문을 지키는 자를 칼로 베고 부성을 되찾았다.[倡義斬關克復府城] 순천의려
(順天義旅)이영주
(李榮柱)창의하여 관문을 지키는 자를 칼로 베고 부성을 되찾았다.[倡義斬關克復府城] 순천의려
(順天義旅)성용희
(成庸熙)창의하여 관문을 지키는 자를 칼로 베고 부성을 되찾았다.[倡義斬關克復府城] 나주호장
(羅州戶長)정태완
(鄭台完)8개월 동안 싸워 지키면서 여러 차례 뛰어난 공적을 세웠다.[八朔戰守屢立奇功] 홍주토중군
(洪州土中軍)박봉진
(朴鳳鎭)여러 달 동안 성을 지켜 뛰어난 공을 세웠다.[屢朔守城優有著功] 전주퇴교
(全州退校)한신현
(韓信賢)이미 김천군수로 제수되는 상을 받았다.[已蒙賞典金川郡守] 순창유학
(淳昌幼學)김영철
(金永轍)민정을 은밀하게 이끌고 전봉준을 생포하였다.[潛率民丁生擒全奉準] 순창민
(淳昌民)정창욱
(丁昌昱)민정을 은밀하게 이끌고 전봉준을 생포하였다.[潛率民丁生擒全奉準]
홍주호장
(洪州戶長)김관섭
(金寬燮)30일 동안에 걸친 전투에서 몸소 앞장섰다.[三旬戰陣身以先之] 진주전만호
(晉州前萬戶)윤순백
(尹順伯)스스로 상인 출신 병정을 모집하여 연이어 보를 쌓고 적도를 사로잡거나 죽였다.[自募商丁連壘擒勦] 예천이방
(醴泉吏房)정대일
(鄭戴一)대책을 마련하여 적도를 회유하였으며 셀 수 없이 많은 적들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設法諭賊殺獲無筭] 이천장교
(伊川將校)이언묵
(李彦默)신계와 수안에서 세 차례 적을 쳐부수었다.[新溪遂安三次破賊] 이천장교
(伊川將校)이시점
(李時漸)신계와 수안에서 세 차례 적을 쳐부수었다.[新溪遂安三次破賊] 통위병
(統衛兵)이원근
(李元根)서산 전투에서 용맹을 과시하며 선두에 나섰다.[瑞山之役賈勇先登] 경리병
(經理兵)남창오
(南昌五)우금치 전투에서 선두에 나섰다가 총탄에 맞았다.[牛金之役先登中丸] 동복전오위장
(同福前五衛將)오윤술
(吳潤述)3품
(三品)의병을 모집하여 모든 경내를 방어하였다.[倡義募丁保禦全境] 홍주부호군
(洪州副護軍)정헌조
(鄭憲朝)종2품
(從二品)온고을의 사람들을 불러 모아 사기를 진작시키고 적도들의 기세를 꺾었다.[倡會一鄕士振賊挫] 곤양전장령
(昆陽前掌令)황보연
(黃輔淵)의기를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가서 하동을 지켰다.[奮義冒險往守河東]
순천영장
(順天營將)이풍희
(李豊熙)3품
(三品)배 한척을 타고 구원을 요청하여 수영을 되찾았다.[單舸乞援克復水營] 영암군수
(靈巖郡守)남기원
(南起元)4품
(四品)뜻을 가다듬어 적도를 막고 온 고을을 굳게 지켰다.[勵志捍寇嬰城全邑] 예산전현감
(禮山前縣監)이시우
(李時宇)4품
(四品)군대를 모아 비도를 죽이고 재산을 다 털어서 군량을 공급하였다.[募旅勦匪傾財給餉] 전황주병우후
(前黃州兵虞候)이상로
(李相魯)봉산 전투에서 비도 수십명을 죽였다.[鳳山之役殺匪數十] 전심영영관
(前沁營領官)황시중
(黃時中)3품 부위
(三品 副尉)황헌주와 함께 김개남을 체포하였다.[同黃憲周捉金介男] 장위대관
(壯衛隊官)김진풍
(金振豊)논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공적을 세웠다.[論山之役頗有其功] 청영대관
(淸營隊官)김영진
(金榮振)청산 전투와 보은 전투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靑報之役頗有戰功] 청영대관
(淸營隊官)김기배
(金起培)청산 전투와 보은 전투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靑報之役頗有戰功] 교도대관
(敎導隊官)최영학
(崔永學)원평 전투에서 적도를 쳐부수고 무기를 빼앗았다.[院坪之役破賊奪械] 전대관
(前隊官)오건영
(吳建泳)완산 전투에서 한번 죽음을 각오하고 싸웠다.[完山之役決一死戰] 해서소모관
(海西召募官)이규진
(李奎鎭)해주 전투에서 적도를 죽이고 무기를 획득하였다.[海州之役勦賊獲械]
순무참모사
(廵撫參謀士)이속의
(李涑儀)남원과 장수를 순찰하고 적도를 죽이는 데 공적을 세웠다.[南原長水巡勦有功] 순무참모관
(廵撫參謀官)이동현
(李東鉉)소모사로 파견되어 계책을 세우는 데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派赴召募參畫過人] 순무참모관
(廵撫參謀官)구완희
(具完喜)6품 대흥군수
(六品 大興郡守)공산 전투에서 많은 공을 세웠다.[公山之役效勞頗多] 순무참모관
(廵撫參謀官)오학수
(吳鶴秀)장흥 전투에서 매우 많은 전공을 세웠다.[長興之役戰功頗多] 홍주별군관
(洪州別軍官)정기황
(鄭基璜)불안한 민심을 진압하고 마침내 여러번 전공을 세웠다.[克鎭胥動終建屢捷] 홍주별군관
(洪州別軍官)정한조
(鄭翰朝)유생군을 모집하여 이끌고 밖에서 홍주성을 지원하였다.[倡率儒軍外援洪城] 홍주초토군관
(洪州招討軍官)박홍양
(朴鴻陽)3품 정산군수
(三品 定山郡守)몸소 적도들을 염탐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공로가 적지 않았다.[躬行詗賊始終效勞] 홍주초토군관 유학
(洪州招討軍官 幼學)이종원
(李鍾遠)군대를 모아 배를 동강 내어 인근의 적도들이 건너오는 것을 막았다.[募旅斷船鄰賊莫渡] 홍주초토군관
(洪州招討軍官)이두종
(李斗鍾)소집에 응하여 지혜를 내었으며 항상 만전을 기하였다.[應募運智常出萬全]
호남소모진군관
(湖南召募陣軍官)이봉규
(李鳳奎)소모진의 참모로 적도들을 죽이고 붙잡는 데 공을 세웠다.[參謀召募勦捕有功] 목천소모진군관 출신
(木川召募陣軍官 出身)이병식
(李秉植)작성과 칠장에서 탄환을 무릅쓰고 선두에 나섰다.[鵲城七長冒丸先登] 목천소모진군관
(木川召募陣軍官)정기조
(鄭耆朝)소모진에서 군량미를 조달하는데 그의 노력에 많이 의지하였다.[召募籌餉多賴其力] 순무별군관 전군수
(廵撫別軍官 前郡守)유일환
(兪一煥)3품
(三品)우금치 전투에서 적지 않은 공로가 있었다.[牛金之役頗有其勞] 청주별군관
(淸州別軍官)박기래
(朴麒來)군사에 꽤 밝아 적도들을 막는데 공을 세웠다.[頗知兵事禦賊有功] 홍주별군관
(洪州別軍官)이주승
(李周承)군사들을 불러 모아 적도들을 막고 재물을 내어 군량미에 보탰다.[倡會禦賊出財助餉]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조중석
(趙重錫)9품 부위
(九品 副尉)창의하여 군대를 모으고 비류들을 죽이거나 생포하였다.[倡義募旅勦捕匪類] 좌선봉별군관
(左先鋒別軍官)황범수
(黃凡秀)양호의 전투에서 적도들을 죽이는데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兩湖之役頗有勦功] 홍주초토군관
(洪州招討軍官)김상범
(金商範)반년 동안병사들을교습시키는 바람에 침소를 마련할 겨를이 없었다.[半年敎習不遑寢處]
홍주초토군관
(洪州招討軍官)김종헌
(金鍾憲)반년 동안병사들을교습시키는 바람에 침소를 마련할 겨를이 없었다.[半年敎習不遑寢處] 홍주초토군관
(洪州招討軍官)이능연
(李能淵)반년 동안병사들을교습시키는 바람에 침소를 마련할 겨를이 없었다.[半年敎習不遑寢處] 홍주초토군관
(洪州招討軍官)김주현
(金周鉉)반년 동안병사들을교습시키는 바람에 침소를 마련할 겨를이 없었다.[半年敎習不遑寢處] 목천소모진군관
(木川召募陣軍官)박종화
(朴宗化)작성과 칠장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비도들을 토벌하였다.[鵲城七長冒危討匪] 관동소모진군관 전주사
(關東召募陣軍官 前主事)이시영
(李時榮)의로운 마음으로 진영을 따라가 스스로 군량을 마련하였다.[出義隨陣自辦軍糧] 관동소모진군관 유학
(關東召募陣軍官 幼學)황기정
(黃基鼎)의로운 마음으로 진영을 따라가 스스로 군량을 마련하였다.[出義隨陣自辦軍糧]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임형준
(任炯準)3품 정위
(三品 正尉)일본군 진영에서 종군하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隨從日陣始終效勞] 순무별군관
(廵撫別軍官)임병효
(林炳孝)9품 참위
(九品 參尉)일본군 진영에서 종군하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隨從日陣始終效勞] 은진유학
(恩津幼學)서재우
(徐載雨)9품 금산군수
(九品 錦山郡守)일본군 진영에서 종군하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隨從日陣功效頗多]
전주사
(前主事)현영운
(玄映運)9품
(九品)몸소 화살과 바위를 무릅쓰고 힘껏 일본군을 지원하였다.[躬冒矢石效力日陣] 예산전부장
(禮山前部將)이민직
(李敏稷)의로운 마음으로 군대를 모아 위험한 곳에 가서 비도들을 죽였다.[出義募旅赴險勦匪] 안동전참봉
(安東前參奉)권재기
(權載紀)9품
(九品)창의하여 군대를 모아 급난에 열심히 대비하였다.[倡義募旅奔走急難] 양근진사
(楊根進士)서병승
(徐丙升)의병을 통솔하고 거괴를 염탐하여 붙잡았다.[統率義兵詗捉巨魁] 예산전오위장
(禮山前五衛將)권종하
(權鍾夏)3품
(三品)의로운 마음으로 무리를 모아 위험을 무릅쓰고 여러 차례 전투에 참가하였다.[出義募衆冒險屢戰] 원주진사
(原州進士)이철화
(李哲和)9품 참위
(九品 參尉)의로운 무리들을 불러 모아 많은 비괴를 붙잡았다.[倡募義衆多捉匪魁] 홍산유회장 전사과
(鴻山儒會長 前司果)최학래
(崔鶴來)6품
(六品)홍산성을 온전히 보존하였으며 서천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能全鴻城效勞舒役] 안동전오위장
(安東前五衛將)김익장
(金翼張)3품
(三品)적도들의 소굴을 소탕하고 이웃 고을을 힘써 구했다.[掃蕩群窩力救隣境] 담양의병통령
(潭陽義兵統領)구상순
(具相淳)의병을 모아 힘을 합쳐 비류를 쫓아 붙잡았다.[募義合力逐捕匪類] 남포유학
(藍浦幼學)임의준
(任義准)유생들의 모임을 먼저 발의하고 비당들을 순찰하여 죽였다.[先倡儒會巡勦匪黨]
고창전현감
(高敞前縣監)은덕중
(殷德中)6품
(六品)비괴 손여옥 등 3명을 체포하였다.[捉匪魁孫汝玉等三名] 고창유학
(高敞幼學)서동식
(徐東植)비괴 홍낙관 등을 염탐하여 체포하였다.[詗捉匪魁洪洛寬等] 능주유학
(綾州幼學)양주묵
(梁周默)창의하여 규칙을 세우고 비도 300명을 체포하였다.[倡義立規捕匪三百] 능주유학
(綾州幼學)윤자경
(尹滋慶)창의하여 규칙을 세우고 비도 300명을 체포하였다.[倡義立規捕匪三百] 구례유학
(求禮幼學)이기
(李沂)군대를 모아 성을 지키고 비괴를 염탐하여 붙잡았다.[募旅守城詗捉匪魁] 평창출신
(平昌出身)김충근
(金忠根)비괴 성문환을 염탐하여 붙잡았다.[詗捉匪魁之成文煥] 무장유학
(茂長幼學)박선채
(朴旋采)창의하여 무리를 규합하고 비도 100명을 체포하였다.[倡義糾衆捕匪百名] 양양유학
(襄陽幼學)이석범
(李錫範)의기를 떨쳐 군대를 모아 영동을 안정시켰다.[奮義募旅嶺東賴安] 양양유학
(襄陽幼學)이국범
(李國範)의기를 떨쳐 군대를 모아 영동을 안정시켰다.[奮義募旅嶺東賴安] 고창유학
(高敞幼學)이봉우
(李鳳宇)민병을 통솔하여 손화중을 체포하였으며, 이미 증산군수로 제수되는 상을 받았다.[統率民兵捉孫化中 已蒙賞典甑山]
강릉민보장
(江陵民堡長)이수해
(李守海)의병과 협력하여 사나운 적도들을 격파하였다.[協同義旅擊破劇賊] 양근유학
(楊根幼學)유덕준
(兪德濬)의병을 통솔하여 괴수를 붙잡고 그 무리들을 해산시켰다.[統率義兵捉魁散黨] 양근유학
(楊根幼學)이덕래
(李德來)의병을 통솔하여 괴수를 붙잡고 그 무리들을 해산시켰다.[統率義兵捉魁散黨] 남포유학
(藍浦幼學)채상오
(蔡相五)비인과 판교에서 비도 수십 명을 붙잡았다.[庇仁板橋捉匪數十] 고창유학
(高敞幼學)강수중
(姜守重)의기를 떨쳐 군대를 모아 괴수 3명을 체포하였다.[奮義募旅捉魁三名] 영남유학
(嶺南幼學)김제홍
(金濟洪)청산과 보은 사이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비도들을 죽였다.[靑報之間冒危勦匪] 남포유학
(藍浦幼學)이종윤
(李鍾崙)재산을 털어 내어 무리들을 모으고 사나운 비도들을 격퇴하였다.[捐財募衆擊退劇匪] 홍주유학
(洪州幼學)김복래
(金福來)늙음을 잊고 충성심을 떨쳐 유생들을 불러 모아 어려움을 구하였다.[忘老奮忠倡儒救難] 전첨사
(前僉使)이국신
(李國信)탄환을 무릅쓰고 선두에 나서서 생사를 돌보지 않았다.[冒丸當先不顧死生]
전수문장
(前守門將)함은준
(咸殷俊)4품 참위
(四品 參尉)탄환을 무릅쓰고 선두에 나서서 생사를 돌보지 않았다.[冒丸當先不顧死生] 태인유학
(泰仁幼學)송치홍
(宋致弘)충성심을 떨쳐 계책을 내어 김괴를 체포하였다.[奮忠出計搜捕金魁] 울산유학
(蔚山幼學)지문백
(池文伯)종군하여 괴수를 베었으며 어깨에 탄환 1발을 맞았다.[從軍斬魁肩中一丸] 거창유학
(居昌幼學)이준학
(李竣學)방략을 내어 참된 마음으로 방어하였다.[贊劃方略實心防禦] 거창유학
(居昌幼學)강달주
(姜達周)힘껏 군사를 모아 이끌면서 부대를 나누어 뒤를 추적하여 체포하였다.[倡率出力分隊跟捉] 함양유학
(咸陽幼學)노봉현
(盧奉鉉)힘껏 군사를 모아 이끌면서 유장에 이름을 올렸다.[倡率出力至登儒狀] 장위교장
(壯衛敎長)장세복
(張世福)양호에서 연거푸 싸워 여러번 전공을 세웠다.[連戰兩湖屢獲全功) *(全功은 戰功의 誤記)인 듯.] 통위군교
(統衛軍校)신철회
(申徹會)종군을 자원하여 비도들을 격파하고 해산시켰다.[自願從軍破散匪徒] 통위교장
(統衛敎長)황수옥
(黃水玉)논산 전투에서 여러 차례 싸워 여러 차례 이겼다.[論山之役屢戰屢勝] 장위교장
(壯衛敎長)홍선경(洪善敬)홍선경
(洪善敬)양호에서 연거푸 싸워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連戰兩湖頗有著功]
장위교장
(壯衛敎長)추광협
(秋光恊)서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瑞山之役頗有著功] 장위교장
(壯衛敎長)박성희
(朴聖熙)서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瑞山之役頗有著功] 장위교장
(壯衛敎長)김대유
(金大有)해서 전투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海瑞之役頗有戰功] 장위교장
(壯衛敎長)김인길
(金仁吉)해서 전투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海瑞之役頗有戰功] 심영포교
(沁營捕校)김경석
(金景錫)황헌주를 수행하여 김개남을 체포하였다.[從黃憲周捉金介男] 심영포교
(沁營捕校)김시형
(金時享)황헌주를 수행하여 김개남을 체포하였다.[從黃憲周捉金介男] 청영대관
(淸營隊長)이태순
(李泰淳)청산 전투와 영동 전투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靑永之役頗有戰功] 청영대장
(淸營隊長)이동근
(李東根)6품 참위
(六品 參尉)청산 전투와 영동 전투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靑永之役頗有戰功] 고창퇴리
(高敞退吏)윤행권
(尹行權)의병을 따라가 거괴를 붙잡았다.[赴從義旅捉得巨魁] 나주좌수
(羅州座首)박상수
(朴祥壽)한 차례 출전하여 많은 공을 세웠다.[一次出戰多有效勞] 나주별장
(羅州別將)전학권
(錢鶴權)다섯 차례 출전하여 많은 공을 세웠다.[五次出戰多有效勞] 영암군관
(靈巖軍官)손창식
(孫昌植)성을 지켜 비도들과 싸우며 처음부터 끝까지 큰 공을 세웠다.[守城戰匪始終效勞]
심영포교
(沁營捕校)윤치근
(尹致根)황헌주를 수행하여 김개남을 체포하였다.[從黃憲周捉金介男] 나주리
(羅州吏)이돈기
(李敦祺)전후의 싸움에서 방어하여 많은 공을 세웠다.[前後戰守多有效勞] 함평수성장
(咸平守城將)이재순
(李載淳)4개월 동안 성을 지켜 주위 환경을 안정시켰다.[四朔守城環境戢淸] 청영수교
(淸營首校)김형대
(金瀅大)문의 전투와 청주 전투에서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文淸之役頗有著功] 장연영관
(長淵領官)김병호
(金炳浩)구월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九月山戰頗有著功] 심영초관
(沁營哨官)임진형
(林鎭瀅)대둔산 전투에서 힘을 내어 공적을 세웠다.[大屯之役出力成功] 청영수교
(淸營首校)곽인엽
(郭仁燁)문의 전투와 청주 전투에서 참모로서 공적을 세웠다.[文淸之役劃謀有功] 평양통변
(平壤通辯)박치운
(朴致雲)천리를 종군하여 때로는 화살과 바위를 무릅쓰고 싸웠다.[千里從軍時冒矢石] 나주퇴교
(羅州退校)김창균
(金蒼均)적과 싸워 지킬 때 많은 공로가 있었다.[戰守之際多有勤勞] 전라좌수영초관
(全羅左水營哨官)곽경환
(郭景煥)일본군을 주선하여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周旋日陣頗有功勞] 홍주좌수
(洪州座首)이규승
(李奎承)군량을 관리하여 군대의 굶주림을 없앴다.[專掌糧餉一軍無飢] 홍주유리
(洪州由吏)이종응
(李鍾應)임기응변으로 군사를 도와 실로 많은 공을 세웠다.[贊戎應變實多效勞]
장연영장
(長淵領將)이명선
(李鳴善)구월산 전투에서 탄환을 무릅쓰고 적도를 죽였다.[九月之役冒丸殺賊] 능주전만호
(綾州前萬戶)조헌묵
(曺憲默)창의하여 규칙을 세우고 비도 300명을 체포하였다.[倡義立規捉匪三百] 나주이방
(羅州吏房)손상문
(孫商文)전후의 싸움에서 방어하여 많은 공을 세웠다.[前後戰守多有效勞] 고군산첨사
(古群山僉使)양성록
(梁成祿)대책을 마련하고 남모르게 염탐하여 거괴를 쫓아 붙잡았다.[設法譏詗追捕巨魁) ] 곡산수교
(谷山首校)노준길
(盧俊吉)이천과 수안에서 적도를 포살하였다.[伊川遂安砲殺賊徒] 강릉수교
(江陵首校)이진석
(李震錫)북쪽으로 적도를 추적하여 많은 무리를 죽이고 붙잡았다.[追賊逐北殺獲甚衆] 금산퇴교
(錦山退校)김재희
(金在禧)민병을 모집하여 이끌고 많이 비류들을 붙잡았다.[募率民兵多捉匪類] 태안수성장
(泰安守城將)손상초
(孫相楚)창의하여 병사를 모아 비당들을 붙잡았다.[倡義募兵跟捕匪黨] 상리소임
(商理所任)이완배
(李完培)양호에서 척후병을 세워 비도들을 염탐하는 데 공을 세웠다.[立塘兩湖詗匪效勞] 상리소임
(商理所任)송성운
(宋成雲)양호에서 척후병을 세워 비도들을 염탐하는 데 공을 세웠다.[立塘兩湖詗匪效勞] 금산퇴교
(錦山退校)이병상
(李秉相)민병을 모아 이끌고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募率民兵頗有功勞]
수안퇴교
(遂安退校)권성돈
(權成敦)군대를 모아 출격하여 비도 9명을 붙잡았다.[募旅出擊捉匪九名] 해영영장
(海營領將)김인석
(金人碩)병정을 모아 배치하여 매우 큰 공적을 세웠다.[募設兵丁其功尤著] 총어별무사
(摠禦別武士)안성관
(安聖寬)정교
(正校)부산하게 이곳저곳 다니면서 정탐하고 싸움할 때마다 반드시 앞장섰다.[馳聘偵探每戰必先] 용호별무사
(龍虎別武士)김태형
(金台衡)부교
(副校)부산하게 이곳저곳 다니면서 정탐하고 싸움할 때마다 반드시 앞장섰다.[馳聘偵探每戰必先] 장위교장
(壯衛敎長)홍종식
(洪鍾植)전장에 나아가 힘을 다하여 적들을 매우 많이 죽였다.[臨陣勦膽頗多廝殺] 장위규칙
(壯衛糾飭)김명산
(金命山)용맹을 떨치며 곧장 앞으로 나아가 적괴의 깃발을 빼앗았다.[奮勇直前奪賊魁旗] 장위규칙
(壯衛糾飭)김흥식
(金興植)대포를 잘 발사하여 많은 적도를 죽였다.[善放大砲多殺賊徒] 출신
(出身)한규방
(韓奎邦)탄환을 무릅쓰고 선두에 나서서 생사를 돌보지 않았다.[冒丸當先不顧死生) ] 출신
(出身)이봉환
(李鳳煥)탄환을 무릅쓰고 선두에 나서서 생사를 돌보지 않았다.[冒丸當先不顧死生] 안의퇴교
(安義退校)최춘근
(崔春根)용맹을 떨쳐 제일 먼저 나아가 여러 차례 위급한 이웃을 구하였다.[奮勇首先屢救隣急]
영영영관
(嶺營領官)최처규
(崔處圭)여러 차례 비류들을 죽여 참으로 많은 공을 세웠다.[屢勦匪類效勞實多] 영영초관
(嶺營哨官)장교혁
(張敎赫)여러 차례 비류들을 죽여 참으로 많은 공을 세웠다.[屢勦匪類效勞實多] 영영초관
(嶺營哨官)이완근
(李完根)여러 차례 비류들을 죽여 참으로 많은 공을 세웠다.[屢勦匪類效勞實多] 영영초관
(嶺營哨官)노규남
(盧奎南)여러 차례 비류들을 죽여 참으로 많은 공을 세웠다.[屢勦匪類效勞實多] 문경전영장
(聞慶前營將)임중상
(林重相)군사를 모아 이끌면서 지키고 거괴를 염탐하여 붙잡았다.[倡率防守詗捉巨魁] 통위병정
(統衛兵丁)김계운
(金啓云)논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論山之役效勞頗有] 통위병정
(統衛兵丁)조윤이
(趙用伊)논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論山之役效勞頗有] 통위병정
(統衛兵丁)김의준
(金宜俊)논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論山之役效勞頗有] 공주포병
(公州砲兵)이윤모
(李允模)몸소 총탄을 무릅쓰고 앞장서 나아가 적도를 격파하였다.[身冒銃丸當先破賊] 고부민
(古阜民)조인상
(趙仁尙)몸을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손화중을 체포하였다.[挺身冒險捉孫化中] 순창민
(淳昌民)이경우
(李京佑)몸을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손화중을 체포하였다.[挺身冒險捉孫化中]
순창민
(淳昌民)오의선
(吳義善)몸을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손화중을 체포하였다.[挺身冒險捉孫化中] 순창민
(淳昌民)신기오
(申基五)몸을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손화중을 체포하였다.[挺身冒險捉孫化中] 순창민
(淳昌民)홍명근
(洪命根)몸을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손화중을 체포하였다.[挺身冒險捉孫化中] 순창민
(淳昌民)배동환
(裵東煥)몸을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손화중을 체포하였다.[挺身冒險捉孫化中] 순창민
(淳昌民)노성칠
(盧性七)몸을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손화중을 체포하였다.[挺身冒險捉孫化中] 순창민
(淳昌民)황일권
(黃一權)몸을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손화중을 체포하였다.[挺身冒險捉孫化中] 순창민
(淳昌民)박성대
(朴成大)몸을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손화중을 체포하였다.[挺身冒險捉孫化中] 순창민
(淳昌民)임화경
(林化京)몸을 떨쳐 위험을 무릅쓰고 손화중을 체포하였다.[挺身冒險捉孫化中] 경리병정
(經理兵丁)김관일
(金寬一)적도와 싸우다가 탄환을 맞고 거의 죽을 뻔 했다.[臨敵中丸幾乎損軀] 경리병정
(經理兵丁)김명수
(金明洙)적도와 싸우다가 탄환을 맞고 거의 죽을 뻔 했다.[臨敵中丸幾乎損軀] 인천포수
(仁川砲手)노제석
(盧濟石)무리를 이끌고 비도들을 섬멸하여 한 고을이 안정되었다.[率黨殲匪一邑賴安] 장위병정
(壯衛兵丁)김치순
(金致順)논산 전투에서 탄환을 맞고 거의 위독한 지경에 빠졌다.[論山之役中丸幾危]
지평포군
(砥平砲軍)이기원
(李基元)비도를 토벌하고 소탕하여 한 고을의 칭송을 받았다.[討匪掃平一境嘆誦] 예천민
(醴泉民)장문건
(張文建)몸을 떨치고 일어나 병사를 모아 이끌고 비당을 소탕하여 평정하였다.[奮身倡率勦平匪黨] 예천민
(醴泉民)황송해
(黃松海)몸을 떨치고 일어나 병사를 모아 이끌고 비당을 소탕하여 평정하였다.[奮身倡率勦平匪黨] 장위십장
(壯衛什長)이장옥
(李章玉)힘껏 앞장서 나아가 많은 적도들을 죽였다.[齊力當先多殺賊徒] 장위병정
(壯衛兵丁)지창연
(池昌淵)어진을 위봉산성에 봉안하였다.[御眞奉安威鳳山城] 장위병정
(壯衛兵丁)장화실
(張化實)탄환을 맞아 팔다리에 상처를 입어 목숨을 잃을 뻔 했다.[中丸傷肢幾至傷命] 무안유학
(務安幼學)오한수
(吳漢洙)거괴 배상옥 등을 체포하였다.[捉得巨魁裵尙玉等] 영남소모사
(嶺南召募使)조시영
(曺始永)창의하여 군대를 모아 고개를 지켰다.[倡義募旅遮截嶺隘] 순무영참모사
(廵撫營參謀士)고현주
(高顯柱)호남의 여러 읍에서 비도를 소탕하는데 많은 공을 세웠다.[湖南諸邑勦匪多勞] 장위별군관
(壯衛別軍官)강원로
(姜元魯)재무관
(財務官)일본군을 따라가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隨從日陣頗有效勞] 순무영참모관
(廵撫營參謀官)홍영훈
(洪永勳)보은 전투에서 적도를 소탕하는데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報恩之役頗有勦功]
공주전주사
(公州前主事)이희준
(李羲俊)친히 화살과 바위를 무릅쓰고 병사들 사이에서 열심히 싸웠다.[親冒矢石效力兵間] 청주군관
(淸州軍官)이상현
(李相鉉)싸워 지킬 때 참으로 많은 공로가 있었다.[戰守之際效勞實多] 순무영별군관
(廵撫營別軍官)허완
(許岏)기호지역에 종군하여 참으로 많은 공로가 있었다.[從軍畿湖效勞實多] 순무영별군관
(廵撫營別軍官)구연흡
(具然洽)기호지역에 종군하여 참으로 많은 공로가 있었다.[從軍畿湖效勞實多] 좌선봉진별군관
진사
(左先鋒陣別軍官 進士)권승규
(權升圭)탄환을 운반하기 위하여 산을 넘고 물을 건너는 등 공을 세웠다.[領運彈丸跋涉效勞] 좌선봉진별군관
(左先鋒陣別軍官)박윤현
(朴允鉉)위험을 무릅쓰고 정탐하여 종군에 노고가 많았다.[冒危偵探從軍勞苦] 금영별군관
(錦營別軍官)고창규
(高昌奎)비괴를 생포하고 군수물자를 많이 지원하였다.[捕捉匪魁多助軍需] 하동전주부
(河東前主簿)김진옥
(金振玉)죽음
(身死)민포를 불러 궐기하도록 하였으며 의병장으로 전투에 나아갔다.[倡起民砲出爲義將] 공주전부사
(公州前府使)이종헌
(李鍾憲)토병을 통솔하여 요해처를 지켰다.[統率土兵防守鎭隘] 해주소모진군관
(海州召募陣軍官)정환윤
(鄭煥允)해주 전투에 종군하여 공을 세웠다.[海州之役從軍有效] 해주고모진군관
(海州召募陣軍官)정석규
(鄭錫圭)해주 전투에 종군하여 공을 세웠다.[海州之役從軍有效] 홍주별군관
(洪州別軍官)장정식
(張定植)재물을 털어 군량을 보태고 군대를 모아 병력을 보충하였다.[捐財助餉募旅充丁]
홍주군관
(洪州軍官)표구석
(表龜錫)의기를 떨치며 군량을 지원하고 몸소 화살과 바위를 무릅쓰고 싸웠다.[出義助餉躬冒矢石] 목천소모진군관
(木川召募陣軍官)조병훈
(曺秉勳)6품 사과
(六品 司果)비도를 염탐하고 군량을 마련하였으며 전투에서 선두에 나섰다.[詗匪籌餉臨陣先登] 전심영초관
(前沁營哨官)강대흠
(姜大欽)시부위
(時副尉)황헌주를 수행하여 김개남을 체포하였다.[從黃憲周捉金開男] 태인전현감
(泰仁前監役)김종하
(金鍾廈)힘껏 선두에 나서서 거괴를 붙잡았다.[奮力當先捉納巨魁] 홍주진사
(洪州進士)표학수
(表鶴洙)보를 쌓아 험한 곳을 근거지로 삼고 밖에서 성원하였다.[築堡據險外爲聲援] 순무영군관
(廵撫營軍官)조병욱
(曺秉郁)임두학과 함께 비류를 방어하였다.[同林斗鶴防禦匪類] 목천소모진군관
(木川召募陣軍官)이병두
(李秉斗)종군하여 비도들을 토벌하는 데 많은 공을 세웠다.[從軍討匪效勞實多] 목천소모진군관
(木川召募陣軍官)이병식
(李秉植)종군하여 비도들을 토벌하는 데 많은 공을 세웠다.[從軍討匪效勞實多] 목천소모진군관
오위장
(木川召募陣軍官 五衛將)서필수
(徐弼壽)종군하여 비도들을 토벌하고 거괴를 붙잡아 바쳤다.[從軍討匪捉納巨魁] 목천소모진군관
유학
(木川召募陣軍官 幼學)박노수
(朴魯洙)군량을 마련하고 병사를 징발하여 진중에서 공로가 적지 않았다.[籌餉調兵積勞陣中] 목천소모진군관
유학
(木川召募陣軍官 幼學)박종현
(朴宗鉉)군량을 마련하고 병사를 징발하여 진중에서 공로가 적지 않았다.[籌餉調兵積勞陣中]
목천소모진군관
유학
(木川召募陣軍官 幼學)안효상
(安孝祥)군량을 마련하고 병사를 징발하여 진중에서 공로가 적지 않았다.[籌餉調兵積勞陣中] 목천소모진군관
유학
(木川召募陣軍官 幼學)정규흥
(丁奎興)군량을 마련하고 병사를 징발하여 진중에서 공로가 적지 않았다.[籌餉調兵積勞陣中] 비인유학
(庇仁幼學)신태환
(申泰煥)병사들과 맹서하며 적도들을 막으니 한 고을이 안정되었다.[誓衆禦寇一邑賴安] 보성유학
(寶城幼學)안종목
(安宗穆)힘을 떨쳐 사악함을 물리치고 거괴를 붙잡아 바쳤다.[奮力斥邪捉納巨魁] 공주유학
(公州幼學)정창조
(鄭昌朝)친히 화살과 바위를 무릅쓰고 병사들 사이에서 열심히 싸웠다.[親冒矢石效力兵間) ] 나주유학
(羅州幼學)김경환
(金景煥)의기를 떨쳐 무리를 거느리고 적도들을 막는 데 공을 세웠다.[出義領衆禦寇有功] 의성유학
(義城幼學)신면형
(申冕瀅)맨먼저 계책을 내어 비도들의 소굴을 소탕하였다.[首先出謀掃蕩匪窟] 진주출신
(晉州出身)김석필
(金碩弼)쇠약한 몸을 이끌고 적도들에게 나아가 사나운 칼날을 피하지 않았다.[曳衰赴敵不避狂鋒] 의성유학
(義城幼學)이장회
(李章繪)참모를 불러 인솔하여 병정을 단속하였다.[倡率參謀團束兵丁] 홍주유학
(洪州幼學)황수영
(黃秀英)보를 쌓아 험한 곳을 근거지로 삼고 밖에서 성원하였다.[築堡據險外爲聲援]
나주유학
(羅州幼學)염유진
(廉有鎭)무리를 거느리고 고을 서쪽으로 출전하여 공을 세웠다.[領衆州西出戰有勞] 나주유학
(羅州幼學)홍우현
(洪佑鉉)의기를 떨쳐 무리를 거느리고 고을 북쪽에서 적도들을 막았다.[出義領衆禦寇州北] 나주유학
(羅州幼學)류기연
(柳紀淵)500명의 사람들을 모아 괴수 수십 명을 붙잡았다.[募民五百捉魁數十] 지평출신
(砥平出身)신재정
(申在政)맹영재를 수행하며 많은 비류를 죽였다.[從孟英在多勦匪類] 한산유학
(韓山幼學)김낙환
(金洛煥)서호에서 향도가 되어 공로가 적지 않았다.[西湖鄕導優有其勞] 순천군교
(順天軍校)김경운
(金景雲)순천과 보성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順天寶城頗有著功] 운봉유학
(雲峰幼學)박양준
(朴良俊)서로 협력하여 방어하였으며 마음을 모아 성을 구축하였다.[協力防堵衆心成城] 교도교장
(敎導敎長)장천쇠
(張千釗)일본군 진영에서 종군하면서 접주를 붙잡았다.[隨從日陣捉得接主]
통위규칙
(統衛糾飭)김원석
(金元錫)논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論山之役頗有戰功] 장위교장
(壯衛敎長)최기성
(崔基成)서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瑞山之役頗有效勞] 통위규칙
(統衛糾飭)홍복영
(洪卜英)논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論山之役頗有戰功] 교도교장
(敎導敎長)임충국
(林忠國)일본군 진영에서 수고를 아끼지 않았으며 접주를 붙잡았다.[效勞日陣捉得接主] 교도교장
(敎導敎長)인응선
(印應善)죽산 전투에서 용맹하게 나아가 적도들을 죽였다.[竹山之役勇進殺賊] 전주사
(前主事)정준시
(鄭駿時)9품
(九品)병졸과 포군을 모집하여 주둔 중인 비도들을 순찰하여 죽였다.[募卒砲軍廵勦屯匪] 총어영서자적
(摠禦營書字的)안세현
(安世鉉)진중에서 장부를 맡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공로가 적지 않았다.[掌簿陣中始終效勞] 전교도교장 참위
(前敎導敎長 參尉)유성원
(劉聖元)노고를 마다하지 않고 적도들을 만나 용맹을 떨쳤다.[不辭勞苦遇賊勇進] 교도십장
(敎導什長)김명순
(金明順)일본군을 좇아 다니면서 접주를 붙잡았다.[隨從日軍捉得接主] 통위십장
(統衛什長)김봉두
(金奉斗)논산 전투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論山之役頗有戰功] 통위십장
(壯衛什長)문응락
(文應洛)세 차례 출전하여 참으로 많은 전공을 세웠다.[三次出戰實有積功] 통위십장
(統衛什長)김순일
(金順一)논산 전투에서 공로가 적지 않았다.[論山之役頗有效勞] 공주진교
(公州鎭校)김백현
(金伯鉉)우금치 전투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牛金之役頗有戰勞] 나주리
(羅州吏)김근환
(金根煥)두 차례 출전하여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二次出戰頗有效勞]
나주대장
(羅州隊長)김기옥
(金基玉)두 차례 출전하여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二次出戰頗有效勞] 공주진교
(公州鎭校)박준식
(朴準植)우금치와 이인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牛金利仁頗有戰功] 공주진교
(公州鎭校)박춘식
(朴春植)우금치와 이인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牛金利仁頗有戰功] 공주천총
(公州千摠)박순달
(朴順達)우금치와 이인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牛金利仁頗有戰功] 공주별장
(公州別將)박춘명
(朴春明)우금치와 이인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牛金利仁頗有戰功] 운봉운량리
(雲峰運糧吏)박진홍
(朴震洪)성을 지킬 때 군량을 조달하는 데 공을 세웠다.[城守之際籌餉效勞] 나주리
(羅州吏)장길한
(張吉翰)두 차례 종군하여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二次從軍頗有戰勞] 나주리
(羅州吏)최윤룡
(崔允龍)두 차례 종군하여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二次從軍頗有戰勞] 나주리
(羅州吏)최문섭
(崔文燮)세 차례 종군하여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三次從軍頗有戰勞] 나주리
(羅州吏)최일봉
(崔一鳳)세 차례 종군하여 적지 않은 공을 세웠다.[三次從軍頗有效勞] 함평리
(咸平吏)이영관
(李永琯)위험을 무릅쓰고 험난한 곳을 건너며 많은 비류를 붙잡았다.[冒危涉險多捉匪類] 나주천총
(羅州千摠)최성순
(崔聖純)적과 싸워 지키면서 많은 전공을 세웠다.[戰守之際多有效勞] 심영초관
(沁營哨官)최호성
(崔浩成)위험을 피하지 않고 많은 전공을 세웠다.[不避危險多有戰勞]
동래통변
(東萊通辯)최한백
(崔翰帛)일본군을 따라 종군하면서 공로가 적지 않았다.[隨從日軍勞苦不些) ] 해영집사
(海營執事)최남표
(崔南杓)성을 지켜 비도들을 막는데 철저하게 대비하였다.[守城禦匪周旋備至] 나주집사
(羅州執事)고덕봉
(高德鳳)두 차례 출전하여 많은 공로가 있었다.[二次出戰勞苦多有] 나주집사
(羅州執事)손치홍
(孫致洪)두 차례 출전하여 많은 공로가 있었다.[二次出戰勞苦多有] 나주군관
(羅州軍官)전공서
(錢公瑞)두 차례 출전하여 많은 공로가 있었다.[二次出戰勞苦多有] 고창군교
(高敞軍校)전응진
(全應振)용맹하게 나아가 종군하여 많은 비류를 붙잡았다.[勇進從軍多捉匪類] 공주출신
(公州出身)윤노선
(尹魯善)친히 화살과 바위를 무릅쓰고 병사들 사이에서 열심히 싸웠다.[親冒矢石效力兵間親冒矢石效力兵間] 한산호장
(韓山戶長)김하은
(金夏殷)성을 지키는 데 공로가 있었으며 경군을 선도하였다.[守城效勞前導京軍] 청주부상
(淸州褓商)인호근
(印鎬謹)상인들을 통솔하여 제방에 서서 적진을 정탐하는 데 공로를 세웠다.[率商立塘偵探效勞] 나주리
(羅州吏)양인환
(梁仁煥)세 차례 종군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三次從軍多有戰勞]
공주진교
(公州鎭校)양원길
(梁元吉)우금치와 이인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牛金利仁頗有戰勞] 나주리
(羅州吏)구유술
(具有述)세 차례 종군하여 많은 전공을 세웠다.[三次從軍多有戰勞] 공주진교
(公州鎭校)조광승
(曺光承)우금치와 이인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牛金利仁頗有戰勞] 장연군교
(長淵軍校)우동선
(禹東善)장연 전투에서 공로가 적지 않았다.[長淵之役戰勞不些] 나주군교
(羅州軍校)문후관
(文寬厚)두 차례 출전하여 그 공로가 매우 많았다.[二次出戰勞苦多有] 공주진교
(公州鎭校)주시원
(朱始元)우금치와 이인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牛金利仁頗有戰功] 나주리
(羅州吏)기학연
(奇鶴衍)두 차례 종군하여 그 공로가 적지 않았다.[二次從軍效勞可尙] 공주진교
(公州鎭校)정평오
(丁平吾)우금치와 이인의 전투에서 공로가 적지 않았다.[牛金利仁頗有效勞] 함양대장
(咸陽隊長)박주행
(朴珠幸)힘을 다해 군사를 불러 모아 이끌면서 부대를 나누어 뒤를 추적하여 적들을 붙잡았다.[倡率出力分隊跟捉] 공주출신
(公州出身)박대유
(朴大有)힘을 다해 비도들을 죽이고 군수물자를 넉넉히 바쳤다.[效力勦匪優納軍需] 부산통변
(釜山通辯)박계수
(朴桂守)일본군 진영에서 종군하면서 공로가 적지 않았다.[隨從日陣勞苦不些] 홍주장교
(洪州將校)장영식
(張永植)군사와 백성을 넉넉히 지원하여 1성이 모두 그에게 의지했다.[助贍軍民一城咸賴] 영암수성장
(靈巖守城將)하태명
(河泰命)성을 지켜 비도들을 죽이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공로가 적지 않았다.[守城勦匪始終效勞]
서천수성장
(舒川守城將)나현구
(羅鉉九)적은 수로 많은 적들을 막으면서 있는 힘을 다해 성을 지켰다.[以寡禦衆殫力守城] 나주수성부통장
(羅州守城副統長)김재환
(金在煥)8개월 동안 성을 지키면서 여러 차례 적도들의 공격을 막았다.[八朔守城屢挫敵鋒] 경기교
(京譏校)정태식
(鄭台植)비도들을 추적하여 붙잡는데 멀리까지 가서 수고가 적지 않았다.[跟捕匪徒遠行積勞] 경기교
(京譏校)이성근
(李性根)비도들을 추적하여 붙잡는데 멀리까지 가서 수고가 적지 않았다.[跟捕匪徒遠行積勞] 수안퇴교
(遂安退校)권성돈
(權成敦)의로운 마음으로 무리를 모아 비류를 많이 붙잡았다.[出義募衆多捉匪類] 곡산퇴교
(谷山退校)박명응
(朴命膺)이천과 수안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伊川遂安頗多戰勞] 곡산리
(谷山吏)이상민
(李相敏)이천과 수안에서 적지 않은 전공을 세웠다.[伊川遂安頗有戰勞] 평창군교
(平昌軍校)문도순
(文道淳)김충근을 수행하여 성문환을 붙잡았다.[從金忠根捉成文漢] 목천소모진수종
경교
(木川召募陣隨從京校)송창식
(宋昌植)비류를 염탐하여 붙잡았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공로가 많았다.[詗捉匪類始從效勞] 공주군관전첨사
(公州軍官前僉使)노정현
(盧貞鉉)좁은 입구를 파수하면서 밤낮으로 떠나지 않았다.[把守隘口晝夜不離] 공주군관 한량
(公州軍官 閑良)박대춘
(朴大春)좁은 입구를 파수하면서 밤낮으로 떠나지 않았다.[把守隘口晝夜不離]
공주군관
(公州軍官)안영우
(安永佑)좁은 입구를 파수하면서 밤낮으로 떠나지 않았다.[把守隘口晝夜不離] 공주군관
(公州軍官)한창업
(韓昌業)좁은 입구를 파수하면서 밤낮으로 떠나지 않았다.[把守隘口晝夜不離] 공주군관전첨사
(公州軍官前僉使)신영지
(申永志)좁은 입구를 파수하면서 밤낮으로 떠나지 않았다.[把守隘口晝夜不離] 완영집사
(完營執事)정창권
(鄭昌權)몸을 버리고 용맹을 떨쳐 끝내 싸움에서 패배하지 않았다.[舍身奮勇終不敗衄] 부산통변
(釜山通辯)이택규
(李澤圭)통역을 자원하여 공로가 적지 않았다.[自願通譯效勞不些] 부산통변
(釜山通辯)이선재
(李善在)일본군 진영에서 공로가 적지 않았으며 큰 비류를 붙잡았다.[效勞日陣捉得紳匪] 초량통변
(草梁通辯)김윤기
(金允基)일본군 진영에서 공로가 적지 않았으며 큰 비류를 붙잡았다.[效勞日陣捉得紳匪] 통위화병
(統衛火兵)최점동
(崔點同)논산 전투에서 적진에 쳐들어가 적의 머리를 베었다.[論山之役犯陣奪腦] 공주한량
(公州閑良)최덕규
(崔德圭)친히 화살과 바위를 무릅쓰고 병사들 사이에서 공로가 적지 않았다.[親冒矢石效勞兵間] 안의민
(安義民)박무걸
(朴茂杰)창의하여 힘껏 비류를 죽이고 붙잡았다.[倡義出力勦捕匪類] 안의민
(安義民)김홍권
(金洪權)창의하여 힘껏 비류를 죽이고 붙잡았다.[倡義出力勦捕匪類] 해남민
(海南民)박휘헌
(朴徽憲)거괴 김춘두 등을 체포하였다.[捉得巨魁金春斗等]
해남민
(海南民)윤규용
(尹奎龍)거괴 배규인 등을 체포하여 바쳤다.[捉納巨魁裵奎磷等] 해남민
(海南民)김만국
(金萬國)거괴 김춘두 등을 체포하여 바쳤다.[捉納巨魁金春斗等] 운봉한량
(雲峰閑良)이태권
(李奉權)서로 협력하여 방어하였으며 마음을 모아 성을 구축하였다.[協力防堵衆心成城] 해천한량
(海州閑良)김응률
(金應律)죽음을 무릅쓰고 적도들에게 대항하고 군량을 넉넉히 지원하였다.[冒死抗賊優助軍餉] 서천민
(舒川民)심경칠
(沈敬七)앞장서 적진에 깊이 들어가 거괴를 붙잡아 바쳤다.[挺身深入捉納巨魁] 영광민
(靈光民)이현숙
(李賢淑)의기를 떨쳐 수고를 아끼지 않았으며 거괴를 붙잡아 바쳤다.[出義戶勞捉納巨魁] 공주군관
(公州軍官)서치운
(徐致雲)좁은 입구를 파수하면서 밤낮으로 떠나지 않았다.[把守隘口晝夜不離] 부안유학
(扶安幼學)이현기
(李鉉璣)의병을 모아 비도들을 죽이고 군량을 넉넉히 지원하였다.[募義勦匪優助軍餉] 상리국소임
(商理局所任)이경석
(李敬錫)상리국소임
(商理局所任)전수룡
(全壽龍)외도소임
(外道所任)안경묵
(安景默)외도소임
(外道所任)하운기
(河雲起)
외도소임
(外道所任)안경안
(安景晏)위 5명은 제방에 서서 운반을 담당하였다.[右五人立塘搬運] 장위병정
(壯衛兵丁)박주봉
(朴周奉)장위병정
(壯衛兵丁)김복용
(金福用)장위병정
(壯衛兵丁)조준갑
(趙俊甲)장위병정
(壯衛兵丁)윤문창
(尹文昌)장위병정
(壯衛兵丁)조순석
(曺順石)장위병정
(壯衛兵丁)류일성
(柳日成)장위병정
(壯衛兵丁)장만기
(張萬基)위 7명은 탄환을 맞았으나 겨우 소생하였다.[右七人中丸僅甦]
(번역 : 유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