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각진장졸성책 各陣將卒成冊
일러두기

양찬전여군수소봉전[糧饌錢與軍需所捧錢]

산상(山上)과 강두(江頭)에 유진(留陣)한 통위영(統衛營) 병정(兵丁) 양대(兩隊)의 밥을 짓는 양향(糧餉) 및 찬수(饌需)

25일(二十五日) 조(朝) 이미 본부(本府)로부터 지공(支供)되어 오후부터 저녁까지 양시(兩時) 동안 이러한 물종(物種)으로써 밥을 짓는 차(次)로부터 산상(山上)의 진(陣)

백미(白米) 2홉두(二拾斗) 시두(市斗) 입정미(入鼎米)

장(醬) 육종(肉種) 침채(沉菜)

청근(菁根) 및 잡채(雜菜) 등속(等屬) 탄(炭) 2석(貳石)

식수(食水)는 곧 4~5인(四五人)을 정(定)하여 이들로 하여금 급인(汲引)하여 사용하게 함

산상(山上)과 강두(江頭)에 유진(留陣)한 통위영(統衛營) 병정(兵丁) 양소대(兩小隊)가 밥을 짓는 영형 및 찬수(饌需)

15일(十五日) 조(朝) 이미 본부(本府)로부터 지공(支供)하여 오후부터 저녁까지 양시(兩時) 동안 이러한 물종(物種)으로써 밥을 짓는 차(次)로부터 강두(江頭)의 진(陣)

2(二) 백미(白米) 20두(貳拾斗) 시두(市斗) 입정미(入鼎米)

장(醬) 육종(肉種) 침채(沉菜)

청근(菁根) 및 잡채(雜菜) 탄(炭) 2석(貳石)

식수(食水)는 곧 4~5인(四五人)을 정(定)하여 이들로 하여금 급인(汲引)하여 사용하게 함

입정미(入鼎米) 이석(貳石) 시두(市斗) 40두(四十斗)

장(醬) 육종(肉種) 채(菜) 침채(沉菜)

청근(菁根) 탄(炭) 4석(肆石)

10월(十月) 25(廿五) 및 석료(夕料)

주석
지공(支供) 음식 따위를 대접하여 받듦.
시두(市斗) 시장에서 쓰이는 말의 용량 단위. 장말.
입정미(入鼎米) 아주먹이. 더 손댈 필요가 없을 만큼 깨끗하게 쓿은 쌀.
침채(沉菜) 딤채. 김치의 일종.
청근(菁根) 무.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등속(等屬) 붙이.
급인(汲引) 물을 길어 올리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