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오년(1870년) 겨울 10월. 대신사가 죽현에 있었다. 이보다 앞서 유적(流賊)인 이필제(李弼濟)가 성명을 바꾸고 영해(寧海) 지방에 도망쳐 와서 숨었다. 그는 몰래 시세를 타서 이익을 낚고 화를 즐겁게 여겨 난리를 꾸미려는 음모를 품고서 교인이라 가탁하고 선사(先師, 최제우를 가리킴)를 신원(伸寃, 원통함을 씻어줌)하겠다고 하면서 몰래 영해군 사람 이인언(李仁彦)을 보냈다. 이인언이 고하기를 “지난 계해년에 일찍이 용담장석(龍潭丈席, 최제우를 가리킴)에게서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대신사가 마음속으로, 용담의 문도에는 애초 그런 사람이 없었다고 생각하고 마음에 매우 의아스러워서 거절하고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신미년(1871년) 정월에 이르러 필적(弼賊)이 또 영해(寧海)・영덕(盈德)・상주(尙州)・문경(聞慶) 등지의 교인을 선동하고 유혹해서 큰 소리 치길 “용담의 문도가 된 자는 하루도 갑자년 선사께서 조난(遭難)을 당한 원통함을 잊어서는 안된다”라고 하였다. 여러 번 대신사를 만나자고 요청했지만 대신사는 더욱 굳게 거절했다.
2월. 이필제가 또 교인 권일원(權一元)을 보내 다리를 놓아서, 대신사에게 한번 만나기를 강하게 요청하니 앞뒤로 무릇 다섯 차례였다. 대신사가 비록 아직 신원의 시기가 이르지 않았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고 있었지만 이필제에게 마음을 돌려 심복시키려고 가서 만나보니, 이필제가 기뻐서 말하였다.
제가 선생과는 평소에 아름다운 친분은 없으나 정의로는 동문에 해당하니 선사를 위해 받들어 모시고 억울함을 풀려는 마음은 간절히 생각하건대, 똑같을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병인양요(丙寅洋擾)를 겪고 나서 백성들의 마음이 위태로워져서 안정되지 못하고 있으며 법령이 가혹해서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습니다. 제가 견식이 비록 천박하지만 대략 천시(天時)의 변천을 살피어 도운(道運)의 성쇠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제가 동지와 더불어 계획한 바가 있으니 지금 만약 한번 거사를 한다면 스승의 원통함을 씻을 수 있고 백성의 삶을 구제할 수 있습니다. 또 선사(先師)의 유훈에 이르기를, “동방에 태어나서 동방의 운을 받았기 때문에 동학(東學)이라 했다”라고 하셨습니다. 제가 거처하는 영해(寧海)는 곧 우리 동방의 동쪽이니 그 숨겨놓은 부적과 비밀스런 증험이 시기(時機, 때의 기미)와 정확하게 부합됩니다. 3월 10일은 선사께서 조난(遭難)한 날입니다. 이 날을 맞아 기일을 정해 의거를 하려고 합니다. 원컨대 선생께서는 다시는 다른 마음을 갖지 말아주시기를 바랍니다.
대신사가 그 언사가 바르지 못함을 듣고, 그 행동이 불궤(不軌, 법을 지키지 않고 모반을 꾀하는 것)함을 살피고서 부드러운 말로 타이르기를 “그대가 스승을 위해 원통함을 씻으려는 것은 감격하지 않을 수 없으나 우리 도는 무위이화(無爲而化)이다. 또 하늘을 모시고 스승을 받드는 도리는 성경신(誠敬信)과 수심정기(守心正氣)로써 종지(宗旨)를 삼는다. 비색(否塞)하고 간둔(艱屯)
이후 3월 10일에 이필제가 도당 500여 명을 유인해 불러 모아서 제단(祭壇)을 설치해 군례를 갖추고
이에 순찰사 김공현(金公鉉)과 안핵사(按覈使)인 안동부사(安東府使) 박제관(朴齊寬) 및 영덕현령(盈德縣令) 정세우(鄭世愚)가 각각 군영의 군사와 고을의 관노를 내서 사방으로 탐색해 잡으니, 그가 있던 곳에서 연루되어 갑자기 참사를 입은 교인들은, 울진(蔚珍)의 남기상(南基祥)・김동규(金東奎, 아울러 그의 가까운 일가 3-4인) 영해(寧海)의 박사헌(朴士憲) 형제・권일원(權一元) 부자・박양언(朴良彦)・박지동(朴知東)・권덕일(權德一), 영덕(盈德)의 임만조(林晩祚)・구일선(具日善)・강문(姜汶)・김기호(金基浩), 청하(淸河)의 이국필(李國弼) 형제, 흥해(興海)의 박황언(朴璜彦), 경주(慶州)의 이사인(李士仁)・김만춘(金萬春)・정치선(鄭致先), 영양(英陽)의 장성진(張星進)・김용운(金龍雲) (형제)・최준이(崔俊伊) 등 100여 인이었다. 그 밖에 유배를 가거나 도망쳐 살아남은 자들은 이루 다 기록할 수 없다. 이때 대신사는 낮에는 숨고 밤에는 길을 가서 겨우 단양군(丹陽郡) 정석현(鄭錫鉉) 집에 이르러 성명을 바꾸고 머슴살이를 했다.
5월. 강수(姜洙)가 영춘(永春)에서 와서 대신사의 곤궁함을 안타깝게 여겨 대신사를 모시고 영월군(寧越郡) 정진일(鄭進一)의 집으로 가서 의탁했다. 대신사가 드디어 강수와 보파(譜派, 연원의 계보로 맺은 것)를 따져 형제를 맺었다.
8월. 이필제가 다시 정기현(鄭基鉉)과 더불어 흩어져 있는 남은 무리를 모아들여서 문경의 소란을 일으켰다가 끝내 주살되고 말았다.
대신사와 강수는 소백산(小白山)에 피해 들어갔는데 숲을 헤치면서 걷고 이슬을 맞으면서 잠을 잤다. 어느 바위굴에 들어가 살았는데 무릇 13일 동안 굶으면서 다만 나무 잎에 소금을 타서 씹어 먹고 겨우 겨우 잔명을 보존했다. 큰 호랑이 한 마리가 그 때 늘 와서 보호해 주었다. 대신사가 호랑이에게 말하기를 “너는 산군(山君, 호랑이를 가리키는 말)으로써 어찌 와서 나를 보호하느냐?”라고 말하자 호랑이가 머리를 주억거리면서 기뻐하는 뜻을 보였다. 진실로 기이할진저!
어느 날 어떤 나무꾼이 와서 고하기를 “존객(尊客, 손님을 높이는 말)은 어디에서 오셨습니까?”라고 하니 대신사가 “나는 본디 영남 사람인데 양백(兩白, 태백산과 소백산을 일컫는 말)을 유람하다가 돌아가는 길을 잃어서 여기에서 곤란을 겪고 있소”라고 대답하였다. 나뭇꾼이 도시락에서 잡곡밥 몇 숟가락을 떠서 먹여주었고 그 다음날에도 이처럼 밥을 가져다 주었다. 대신사가 그의 성명과 사는 곳을 물으니 나무꾼이 대답하기를, “변변치 못한 저는 영월군(寧越郡) 직곡리(直谷里)에 사는 박용걸(朴龍傑)이라 합니다”라고 하였다.
대신사가 며칠이 지난 뒤 산을 내려가 그를 찾아갔더니 박용걸은 마침 바깥에 나갔고 한 노인이 흔연히 맞이해 접대를 잘했다. 정성스레 저녁밥을 지어 내왔는데 향기롭고 정결했다. 노인이 안으로 들어갔다가 조금 있다 나와서는 그의 아내의 말이라고 전하고는 아뢰기를 “돌아가신 시아버지가 일러주셨답니다. ‘내가 죽은 뒤 몇 년에 과객(過客)이 찾아올 것이다. 정성을 다해 공양한다면 길이 후손을 보존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답니다. 지금 존객의 행색을 보니 여느 사람보다 훌륭한데 곧 불우한 군자임이 틀림이 없을 것입니다. 의형제가 되어 죽고 살기를 함께 하기를 청하옵니다”라고 했다. 대신사가 기뻐서 이를 허락하고 49일의 재계를 그의 집에서 베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