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일러두기

임신년(1872년) 정월 3일. 대신사가 직접 참회문(懺悔文)을 지어서 제사를 지내면서 하늘에 고했다. 강수(姜洙)와 함께 제세주의 부인을 상주(尙州) 동관암(東關巖) 거처하는 곳에 가서 뵈웠다. 제세주의 부인은 병환이 깊어 자리에 누워있었으며 양식과 땔나무가 바닥이 나있었는데 대신사가 이리저리 주선해 마련해 드렸다.
마침 제세주의 맏아들 세정(世貞)이 양양군(襄陽郡) 관아에 체포되어 있어서 온 식구들이 두려워 부인을 돌볼 수 없었다. 제세주의 부인이 말하기를 “화가 장차 급박하다. 어찌할꼬”라고 탄식했다. 대신사가 강수와 함께 약간의 가구를 수습해서 각자 짐을 지고 머리에 이어 제세주의 부인과 두 아이는 남자의 옷으로 갈아 입혀서 어둠을 틈타 박용걸(朴龍傑)의 집으로 향했다. 그 뒤 살 곳에 대한 대책은 홍석범(洪錫範)・유인상(劉寅常)・안시묵(安時默)・김경순(金敬淳) 등에게 부탁을 하여, 겨우겨우 생계를 이었다.
3월 10일. 향사(享祀)의 예식을 거행할 적에 대신사가 또 참회문을 지어서 하늘에 경건하게 고했다. 영월군(寧越郡)의 행수(行首) 포교인 박아무개는(이름을 잊었다) 평소에 음흉하고 모진 성품을 가진 무리인데, 대신사가 박용걸 집에 계신다는 소문을 듣고 기어코 체포해 공을 세우려고 했다. 영월군 아전의 우두머리인 지달중(池達中)이 힘써 그만두게 해서 다행히 그 화를 벗어날 수 있었다. 이날 밤 본군(영월군) 소밀원(蘇密院)에 사는 도인(道人) 장기서(張基瑞)가 꿈을 꾸었는데, 제세주가 잠시 왔다가 곧바로 가면서 말하기를 “부탁할 일이 있다. 지금 지달중의 집으로 가라”고 하였다. 꿈을 깨고 나서 그 꿈 얘기를 대신사에게 고했더니 대신사가 강수와 함께 가서 달중에게 사례하셨다. 달중이 그 신명(神明)에 놀라서 이로부터 가르침을 받아 더욱 믿고 우러러 받들었다.
대신사가 제세주의 작은 아들 세청(世淸) 및 강수와 함께 양양군으로 가서 아무도 몰래 세정의 감옥 사정을 염탐했더니 지금 바야흐로 연달아 고문을 해대서 다른 교도들이 연루될 화가 염려되었다. 드디어 세청과 강수를 거느리고 밤을 새워 달려가서 인제군(獜蹄郡) 남면(南面) 무의매리(舞依梅里) 김병내(金秉鼐)의 집에 의탁했다.
제세주의 부인은 동관암에서 영춘군(永春郡) 장건지(長建地) 마을로 옮겨 살았다.
이달에 김연국(金演局)이 처음으로 대신사를 만나고 곧바로 몸소 집지(執贄, 간단한 선물을 드리며 제자가 되는 의식)해 제자의 예를 바쳤다. 대신사가 사흘 밤을 잔 뒤에 드디어 김연국, 세청과 함께 충청도 영춘군 남면 의풍리(儀豊里)에 옮겨가서 살았다.
4월. 대신사가 강수와 함께 정선군 무은담리 유인상(劉寅常)의 집에 이르렀다. 유인상이 기쁘게 맞이하니 이틀을 머문 뒤, 대신사가 생각지 않은 재앙이 미칠 것을 염려하여 떠나려고 했다. 그러자 유인상이 애써 만류하면서 말하기를 “행적이 만약 드러난다면 두 어른은 죽음을 맞겠지만, 저는 비록 연루가 되더라도 귀양살이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습니다. 제가 무엇을 염려하겠습니까”라고 하였다. 대신사가 그 두터운 돌봄에 감격해 그대로 강수 및 전성문(全聖文)과 함께 원사(院舍) 뒤 그윽하고 후미진 한 칸 방에 살면서 칠칠(七七, 곧 49일)의 재계를 베풀었다.
5월 12일. 제세주의 맏아들인 세정(世貞)이 양양군 감옥에서 곤장을 맞아 죽었다. 그 나머지 김덕중(金德仲)・이일여(李逸如)・최경선(崔慶善) 등은 멀리 귀양을 갔다. 제세주의 둘째 딸과 세정의 아내는 모두 인제군 감옥에 갇히었다. 지금 세정의 옥사는 교인 김덕중이 포졸을 사주해서 장춘보(張春甫)의 집에 갑자기 들이닥쳐 앞잡이가 되어 잡아간 것이다. 둥지가 엎어진 상황에서 알이 온전치 못할 테지만, 같은 방에서 창을 쥐고 싸우는 것과 같으니 어찌 이를 참을 수 있으랴!
이때에 대신사가 의풍(儀豊)에 우거하였다. 대신사는 정선 교인 신정언(辛定彦)・신치서(辛致瑞)・홍문여(洪文汝)・유계홍(劉啓弘)・최영하(崔永夏)・김해성(金海成)・방자일(房子一)・안순일(安順一)・박용걸(朴龍傑)과 인제 교인 김병내(金秉鼐), 영월 교인 장기서(張基瑞)와 그밖에 최중섭(崔重燮)・박봉한(朴鳳漢) 등이 모두 힘을 내 도우니 정성이 끝이 없었다.

주석
군현 단위로 배치된 포교(捕校)는 일정한 수의 포졸을 거느리고 있는데 행수 포교는 그 총 우두머리이다.
이 시기부터 김연국은 최시형의 제자가 되어 수행을 하면서 수제자 노릇을 했다. 그런 관계로 훗날 손병희(孫秉熙)와 함께 교권을 잡으려고 갈등을 빚었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