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 기사명
    제6장 태백산에서 도를 강하다[第六章 太白講道]

    원문보기 원문/국역

  • 날짜
    음력 1873년 10월 00일
일러두기

이듬해인 계유년(1873년) 겨울 10월. 대신사가 강수(姜洙)와 유인상(劉寅常)과 전성문(全聖文)과 김해성(金海成) 등 수십 인을 거느리고 태백산 갈래사(葛來寺)의 적조암(寂照庵)으로 들어왔다. 그러자 주지승인 철수좌(哲首座, 중의 직위)가 예절을 다해 맞아들이고 토란을 불에 구워 내왔는데 향기롭고 담백해 먹을 만했다. 밤중에 대신사가 철수좌에게 이르기를 “산에 들어와 경건하게 기도함에 각자 발원(發願, 원을 냄)이 있어 도의 결과를 이룸은 스님이나 여느 사람이 같을 것이오. 나의 공부는 다만 칠칠의 신령스런 주문으로 하오”라고 하고 큰 소리로 장엄하게 염송하니 철수좌가 이루 말할 수 없이 기뻐하여 성심을 다해 공양해서 재계의 기간을 잘 마칠 수 있었다.
대신사가 이로 해서 점서를 붙들어 차례로 시구를 얻으니 거기에 이렇게 적었다.

태백산 공부 49일에 나는 봉팔(鳳八)을 받아 각각 주인을 정했도다. 천의봉(天宜峯) 위는 꽃이 핀 하늘이오. 오늘사 오현금(五絃琴)을 갈고 닦아서 적멸궁전(寂滅宮殿)에서 세속의 티끌을 벗어나네

재계를 마치는 날 대신사가 전성문을 시켜 예서(隸書)로 궁을(弓乙)의 부적 그림을 그리게 했다. 철수좌가 곁에서 그윽이 바라보다가 기뻐서 뛰었다. 그는 합장을 하고 말하기를 “빈도(貧道)는 일찍이 계룡산(鷄龍山) 동학사(東鶴寺)에 살았는데 가부좌를 틀고 수도를 하다 밤에 꿈을 꾸니 여래(如來) 세존(世尊)이 나타나 이르기를, ‘너는 소백산(小白山)으로 가라’고 하셨습니다. 꿈을 깨고 나서 이상하게 여겨 금년 4월에 소백산 부석사(浮石寺, 순흥군에 있다)로 옮겨 주석(住錫, 중이 주장자를 놓고 머무는 곳)하였습니다. 세존께서 다시 꿈에 나타나서 ‘너는 다시 태백산(太白山)으로 가라’고 하시었습니다. 빈도가 다시 여기 와서 머물면서 지난 꿈에 두 손님을 만났습니다. 여래 부처 앞에 땅에 엎드려 절할 적에 지금 두 존객(尊客)을 뵈었는데 뚜렷하게 꿈속에 보인 사람과 같습니다. 어찌 숙세(宿世)의 맑은 인연이 아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대신사가 말하기를 “나도 또한 처음 산에 들어왔을 적에 꿈에 여덟 상서로운 봉새가 하늘에서 내려오더니 차례로 내 앞에 모여드는 걸 보았다. 매우 기이하고 사랑스러워 손으로 잡아 세 마리를 안았고 곁에 있는 사람이 각기 한 마리씩을 안았다. 갑자기 공중에서 말이 내리기를 ‘이 다섯 봉새는 각기 주인이 있다. 너는 깊이 간수했다가 그 주인을 기다려서 주어야 한다’라고 하였다. 과연 무슨 징조(徵兆)인지 알지 못하겠노라”고 하였다. 강수가 또 말하기를 “지난 밤 꿈에 하늘 신선이 위 청천(淸天)으로부터 아래로 내려와서 벽을 등지고 앉아 있는 걸 보고 공경을 다해서 머리를 조아리면서 예를 올렸다. 지금 불상에 예불하니 마치 지난 번 본 하늘의 신선과 흡사하다”라고 하였다.
철수좌가 이 말을 듣고 더더욱 기이하게 여겨서 말하기를 “뒤에 반드시 신선과 부처가 함께 일어나서 널리 그 가르침을 펼 것입니다!”라 했고 또 이르기를 “존객께서는 동쪽 서쪽을 표류하면서 머물며 정해진 곳이 없으니 모습이 더욱 안타깝습니다. 단양군(丹陽郡) 도솔봉(兜率峯) 아래에 잠시 쉬어갈 곳이 있으니 힘써 깨우쳐 살피시고 생각을 가다듬으십시오. 이 늙은 납자(衲子)의 말을 저버리지 마십시오”라고 하였다.
12월 9일, 대신사가 정선군 유인상의 집에 있을 적에 제세주의 부인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서 곧바로 김계악(金啓岳)과 함께 가서 애도를 표하였다. 무릇 함옥(含玉)과 염습(殮襲) 등의 상사를 예식대로 유감없이 치르고 각 포의 교인들에게 부고를 했다. 그 때에 제세주의 부인이 장건(建地) 땅에서 같은 고을 미천리(米川里)에 옮겼는데 그대로 이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이때에 대신사가 영춘군(永春郡) 장항리 박용걸(朴龍傑)의 집에 이르러 그 해를 마쳤다.
이듬해 갑술년(1874년) 2월. 대신사가 철수좌의 납의(衲衣, 중의 옷) 한 벌을 지어서 적조암(寂照庵)에 가지고 갔다. 그때 철수좌가 바야흐로 병이 깊어서 열흘 넘게 병상에 있었는데 대신사의 보살핌에 감격해서 희비(喜悲)가 서로 교차되었다. 그 이튿날 그대로 입적(入寂, 중의 죽음)했다. 대신사가 중들과 함께 다비(茶毗, 중의 시체를 화장하는 장례식)의 예식을 거행했다.
다시 미천의 돌아가신 제세주 부인의 집에 와서, 이달 19일 미천의 거처하던 곳에서 가까운 언덕에 제세주의 부인을 장사지냈다. 그때 장례에 모인 사람들은 홍순일(洪舜一)・전성문(全聖文)・유인상(劉寅常)・최진섭(崔振爕)・신석현(辛錫鉉)・박봉한(朴鳳漢)・홍석도(洪錫道)・유택진(劉澤鎭) 등 여러 사람이다.
대신사가 문도인 김연국(金演局)과 김병내(金秉鼐,) (김연국의 숙부), 김연순(金演淳,) (김연국의 맏형), 홍순일(洪舜一) 등과 단양군 남면 도솔봉 아래 사동(寺洞)에 우거했다. 대개 철수좌와 이별할 적에 권한 것을 따른 것이다.
3월. 대신사가 측실(側室) 안동김씨를 맞이했다. 대개 부인 손씨가 난을 만나 그녀가 살았는지 죽었는지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대신사가 김연국, 홍순일에게 특별히 집뒤 고요한 곳을 골라 한 모정(茅亭)을 짓게 하고 77재(齋)를 베풀게 했다.
을해년(1875년) 정월. 대신사의 맏아들 양봉(陽鳳)이 태어났다. 김씨 소생이다.
2월. 또 다시 같은 면의 송고동(松臯洞)에 옮겨가서 살았다.
8월 15일. 정선군의 여러 교인들이 특별히 치성을 베풀면서 어육(魚肉)을 번갈아 가면서 진설해 놓았는데, 예식을 올릴 즈음에 대신사가 강화(降話, 하늘이 내린 말씀)의 가르침을 받들어서 어육을 쓰지 말라고 경계하였기 때문에 무릇 어육 물품을 모조리 철거하고 다만 청수(淸水)한 그릇만을 봉헌(奉獻)하였다. 그 뒤 향사와 다례에 어육의 진설을 절대 금지했다.

주석
봉팔(鳳八) 팔서봉(八瑞鳳)의 뜻인 듯함. 상서로운 봉새 여덟 마리. 곧 상서로운 운수이다.
오현금(五絃琴)은 다섯 줄로 된 현악기, 적멸궁전(寂滅宮殿)은 부처가 설법한 보리수 아래이다.
숙세(宿世) 생의 세상이다.
유교식 제사에는 제수로 물고기와 육고기를 고루 차리는데 이를 금지하고 청수로 간소하게 제자 지내는 의식. 동학의 이 제사 의식은 계속 이어졌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