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 기사명
    제3장 난을 당하여 은둔하다[第三章 遭難隱遁]

    원문보기 원문/국역

  • 날짜
    음력 1865년 01월 00일
일러두기

을축년(1865년) 정월에 처자식을 이끌고 울진군(蔚珍郡) 죽병리(竹屛里)로 이사하여 우거(寓居)하였고, 제세주의 가족들을 모시고 와서 한솥밥을 해먹으며 살았다. 당시에 제세주의 아들인 최세정과 최세청의 나이가 모두 어려서 집안 살림을 꾸려나가기가 어려웠는데 대신사가 힘을 다해 거들어 주었고, 매번 제세주의 부인을 찾아뵐 때마다 자기 어머니를 대하듯이 친절하게 대하여 무릇 말을 주고받는 때에 항상 ‘큰댁[大宅]’이라고 칭하였다.
병인년(1866년)에 남을 모함하고 몰래 살피어 뒤를 밟는 자들이 날로 더욱 많아지자 대신사는 마침내 영양군(英陽郡) 용화동(龍化洞)으로 이사하여 영원히 산을 나가지 않기로 마음속에 맹세하였다.
3월 10일은 곧 제세주가 재난을 당한 지 2주기(週期)가 되는 날이었는데, 대신사는 상주(尙州)의 도인(道人) 황문규(黃文奎)・한진우(韓振祐)・황여장(黃汝章)・전문여(全文汝) 등과 더불어 경건하게 예식(禮式)을 설행하였다. 7월에는 제세주의 부인이 그 아들과 딸을 데리고 뒤따라 용화동으로 오니 대신사는 자기 집을 제세주의 부인에게 드려 그곳에서 살게 하고 자기는 즉시 나가 다른 집에서 살았다. 〈대신사는〉 낮에는 땔나무를 하고 밤에는 새끼줄을 꼬아 어렵게 고생하면서 살아갔고 지성(至誠)으로 주문을 염송(念誦)하여 느긋하게 자부심을 가지고 조금도 외물(外物)에 이끌리거나 우울한 기색이 없었다.
이해 8월에 미국(美國)의 함선(艦船)이 강화도(江華島)에 들어와 전국이 소란하였는데, 각지의 도유(道儒)들이 대신사가 있는 곳을 수색하였으나 끝내 만날 수 없었다. 10월 28일에 제세주가 강생(降生)한 생일 다례(茶禮) 때 문하의 제자인 강수가 박춘서(朴春瑞)와 함께 와서 참석하였다. 대신사는 제세주의 생신이라는 이유로 각자 돈 40문(文)을 갹출(醵出)하여 다례와 향사(享祀)의 비용으로 쓰고, 계첩(契帖)을 만들어 각포(各包)에 보시(布示)하자고 제의하였다.
정묘년(1867년) 봄 2월에 대신사는 다시 가족을 이끌고 예천군(醴泉郡) 수산리(水山里)로 이사하였다. 제세주의 부인을 상주 동쪽의 관암(關巖)으로 보내드렸는데, 뒤를 쫒는 자들이 많은 까닭에 부인이 연루되는 것을 면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무진년(1868년) 봄 3월에 영양군 일월산(日月山)의 죽현(竹峴)으로 이거(移居)하였다.
기사년(1869년) 봄 2월에 양양군(襄陽郡)의 도유(道儒) 김희경(金喜慶)과 김경서(金慶瑞)가 대신사를 찾아와 뵙고 수도(修道)하는 절차를 듣고 싶다고 하였다. 대신사가 그들의 연원(淵源)을 묻자, 두 사람은 대답하였다. “공생에게 도를 받았는데 연원은 알지 못하고 주문(呪文) 13자(字)13자(字)만 외우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대신사가 자세하고 친절하게 그들을 일깨워 주자 두 사람은 크게 기뻐하여 자기들이 사는 곳에 찾아와 달라고 부탁하였다. 그리하여 3월에 대신사는 마침내 박춘서(朴春瑞)와 함께 먼저 양양군에 사는 최씨(崔氏)와 김씨(金氏) 두 사람의 집을 찾아갔다. 두 사람은 모두 공경하게 맞아주고 예를 다하였는데, 부근에서 입도(入道)한 자들이 30여가(家)나 되었다.

주석
13자(字) 초학문자(初學文者)의 주문(呪文)인 “시천주 조화정 영세불망 만사지(侍天主 造化定 永世不忘 萬事知)”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