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에 해산(海山) 이용구(李容九, 일명 萬植)는 송병준(宋秉畯) 씨와 처음으로 교제하였다. 앞서 송병준은 일찍 경국(經國)의 뜻을 품고 오랫동안 일본에 유학하였다. 송병준은 마침 이때 일본과 러시아가 전쟁을 시작하자 일본 제12사단 병참감(兵站監) 육군소장 오타니 키쿠조(大谷喜久藏)와 함께 출발하여 와서 몰래 서로 교제하였다. 해산(李容九)은 임진섭(林震爕)과 조동원(趙東元) 등을 보내 송병준에게 면회(面會)를 요구하기를 예닐곱 차례를 하여 비로소 만나게 되었다. 송병준이 만나고자 한 이유를 묻자 해산은 몸을 바르게 하고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나는 갑오년(1894년) 동학의 괴수입니다. 무릇 사물은 불평함이 있으면 울고, 사람은 지극한 원통함이 있으면 호소하니, 이것이 인지상정이고 상리(常理)입니다. 우리 두 분 선사께서는 하늘로부터 무극대도(无極大道)를 받아 무위화계(無爲化界)로 창생(蒼生)을 구제하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무도한 나라의 형벌을 입고 누명이 아직도 죄적(罪籍)에 걸려 있으니 이것이 하나의 큰 원통함입니다. 지금 백만의 도유(道儒)가 일본과 한국이 질시하는 사이에 끼어서 생명이 있으나 보전할 수 없고, 처자가 있으나 보호할 수 없으니 이것이 두 번째로 큰 원통함입니다. 나라의 정치는 날로 잘못되고, 세신(世臣)이 정권을 전단하니, 온 나라의 생령(生靈)이 도랑과 골짜기에 굴러도 건져줄 사람이 없으니 이것이 세 번째로 큰 원통함입니다. 하물며 우리나라는 구석인 동아시아의 온대(溫帶) 지역에 있어서 외적의 침입을 배태(胚胎)하고 있어 시국의 평화를 보전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시기(時機)에 옛 것을 바꾸고 새로운 것을 세우고 아울러 세계 문명이 있는 지역과 나란히 달려가는 것이 참으로 저의 커다란 소원입니다.
송병준(宋秉畯)이 묵묵히 바라보며 오래 있다가 말했다. “동학(東學)은 나라에서 금지하는 것이고 또 갑오년(1894년)의 난으로 일본을 배척하는 참 모습이 이미 드러났습니다. 지금 일본과 러시아가 전쟁을 하는 때에 또 함부로 움직이고자 하면 인명을 해치는 계책을 만들게 되니 누가 하겠습니까”라고 하니, 해산(海山, 이용구)이 정색을 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 도(道)의 목적에 어찌 일찍이 일본을 배척하는 이치가 있습니까. 지난날의 일은 참으로 조정의 잔학(殘虐)을 견디지 못하여서였습니다. 한편으로는 선사(先師)를 신원(伸冤)하고, 한편으로는 도유(道儒)들의 화를 면하게 하고, 한편으로는 나라의 백성들에게 화를 제거하기 위해서였는데 순하게 따르던 관민(官民)이 서로 충돌한 것입니다. 조정은 청(淸)에 구원을 청하고, 청의 조정은 천진조약(天津條約)을 위배하고 한국에 출병하여 일본과 청나라의 군대가 번갈아 이르렀습니다. 조정은 또 일본에게 구원을 청하여 동학을 섬멸하였습니다. 저희들의 생각은 갑오년(1894년)의 일은 동학이 일본을 배척했기 때문이 아니라 참으로 일본 군대가 동학을 배척했기 때문입니다. 또 일본의 군대가 동학을 배척했기 때문이 아니라 곧 조정이 동학을 멸망시키려고 하였기 때문입니다. 지금 위급한 존망(存亡)의 때를 당하여 도인(道人) 백만의 무리가 일어나 대국(大局)의 형세를 떠받치고자 해서입니다. 바라건대 그대와 함께 함께 큰일을 이루고자 합니다. 오직 바라건대 그대는 우리 백만의 생명을 사랑하여 특별히 알선(斡旋)하는 힘을 베풀어 주시기를 바랍니다.
송병준(宋秉畯)이 이에 개탄하며 일어나 말했다. “마땅히 깊이 생각하여 도모하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어서 며칠 후에 다시 만나기를 기약하였다. 해산(海山, 이용구)이 드디어 허락을 받고 돌아왔는데, 기한이 지나도 끝내 통지(通知)가 없었다.
계속해서 임진섭(林震爕)과 조동원 등을 보내 억지로 다시 만날 것을 강요하여 열흘 쯤 지난 후에 비로소 만날 수 있었다. 송병준이 말했다. “나는 백만의 생명을 위하여 어찌 한 몸을 희생하는 것을 사양하겠습니까. 그러나 다만 백만의 도인이 한 마음인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나쁜 관습은 단발(斷髮)을 단두(斷頭)와 같이 보는 것입니다. 그대는 반드시 백만 도인으로 하여금 일제히 단발하게 하여 삽혈(歃血)의 맹세를 대신한 후에 생명을 보호할 수 있고, 종교(宗敎)를 확립할 수 있고, 국세(局勢)를 유지할 수 있고, 정치를 개혁할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해산(海山, 이용구)이 흔쾌히 송병준과 속마음을 다 드러내어 문경(刎頸)의 사귐을 맺고 몰래 교화(敎會)를 창립할 약속을 정하였다.
이때는 독립협회(獨立協會)의 남아 있던 무리 중에 윤시병(尹始炳) 등이 유신회(維新會)를 발기하였는데, 또한 송병준에게 소개하니, 윤시병 등은 유신회의 이름을 일진회(一進會)로 고쳤다. 지방 관리의 압박으로 도인들이 이를 피해 서울에 와서 머무르는 사람 수천 명을 일진회로 끌어 들였다. 이에 해산(海山)은 이용구(李容九)로 이름을 고치고, 각 지방에 글을 보내 진보회(進步會)를 조직하여, 서울과 지방의 회원들이 일제히 단발을 하였다. 이때부터 동학이 일본을 배척한다는 의심은 얼음이 녹듯이 풀렸다.
이때 정부(政府)는 친러시아파가 주관하였는데, 민회(民會)를 가리켜 부일당(附日黨)이라 하고 동학이 다시 일어나는 것을 질시하였다. 군대와 경찰 두 기관이 일진회 회원들을 포박하고, 지방 진위대(鎭衛隊)에도 엄칙하여 진보회의 회원을 토벌하여 학살하는 동시에 일본군 사령부(使令部)는 헌병(憲兵)을 보내 조선의 병정(兵丁) 및 관리(官吏)를 폭행하고 강제로 압박하였지만 경성(京城)의 일진회는 크게 확장하여 건설하고, 지방의 진보회는 각 군(郡)에 크게 확립되어 나아갔다.
병오년(1906년, 광무 10) 2월에 이르러 일본에 여러 해 동안 체재하던 의암(義菴) 손병희(孫秉熙) 등이 본국으로 돌아와 동학은 비로소 천도교(天道敎)로 이름을 바꾸고 시내의 다옥정(茶屋町)에 천도교중앙총부(天道敎中央總部)로 문호(門戶)를 설립하고, 의암 손병희 등이 무슨 생각이 나서인지 일진회장(一進會長)이용구(李容九)에게 권고하여 일진회를 해산하라고 말을 하니 회장인 해산(海山, 이용구)은 답하기를 “이 말은 천부당, 만부당한 말이니 다시 거론하지 말고 본 회(會)로 돌아오시라”고 하였다.
앞서 이해 12월 13일에 의암(義菴) 손병희(孫秉熙)는 ‘발문 제1회 종령’[發文第一回宗令]에 이르기를 “천도교의 두령(頭領)이 된 사람이 만약 사회에 나가면 마땅히 천도교 두령의 자격을 없앤다. 다만 개인 자격으로 천도교를 믿는 것은 인정하니 사람들은 모두 따르라”는 일이었다. ‘제2회 종령 발문’[第二回宗令發文]에 이르기를 “천도교의 교도는 비록 개인의 자격이라도 사회에 나갈 수가 없다. 사람들 중에 불복(不服)하는 교인(敎人)은 교인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제3회 종령’[第三回宗令]에 이르기를 “만약 종령(宗令)을 따르지 않는 교인은 곧바로 마땅히 출교(黜敎)하라”고 하였다. 이때 해산(海山)이용구(李容九)는 천도교전제관장(天道敎典制觀長) 겸임이고, 일진회(一進會)의 지방국장(地方局長) 송병준(宋秉畯)은 천도교에서 금융관장(金融觀長)을 겸임하였다.
이때에 두세 번의 종령(宗令) 발포에 일진회(一進會) 두령(頭領)이용구(李容九)와 송병준(宋秉畯) 두 사람 이하 대두령(大頭領) 백여 명을 천도교(天道敎)에서 출교(黜敎)하기를 아래와 같이 한다.
해산(海山) 선생 이용구(李容九)・제암(濟菴) 선생 송병준(宋秉畯)이하 최영구(崔榮九)・염창순(廉昌淳)・김철제(金喆濟)・박형채(朴衡采)・최종후(崔鍾厚)・김영학(金永學)・김학수(金學水)・한화석(韓華錫)・윤경순(尹敬順)・강필도(康弼道)・정종욱(鄭宗郁)・김사영(金士永)・정영로(鄭泳路)・이용한(李容漢)・강익주(康翼周)・김익하(金益河)・배한귤(裵漢橘)・김영걸(金永杰)・정영수(鄭璟洙)・김택현(金澤鉉)・유지훈(柳志薰)・안태준(安泰俊)・박영구(朴永九)・정용태(鄭容泰)・김유영(金裕泳)・최봉관(崔鳳官)・김몽필(金夢弼)・오성룡(吳成龍)・김기찬(金基燦)・석문룡(石文龍)・김기주(金基周)・최진현(崔鎭見)・김두선(金斗善)・고용종(高用宗)・김홍진(金弘鎭)・손은석(孫殷錫)・김석구(金錫龜)・전석환(全錫煥)・최태진(崔泰鎭)・김경하(金敬河)・정재하(鄭在河)・이두수(李斗秀)・양정묵(梁正默)・유계헌(劉桂憲)・박치준(朴致俊)・편상영(片尙永)・김지련(金知煉)・여계보(呂桂甫)・최문상(崔文祥)・김영흡(金泳洽)・김성부(金成富)・유석우(劉錫禹)・유정빈(劉禎彬)・이영모(李永模)・양사홍(梁士弘)・김종락(金鍾洛)・이진교(李鎭校)・양순덕(梁順德)・강사준(康士俊)・양영종(梁永種)・김기현(金琦鉉)・김영실(金英實)・이진형(李鎭瀅)・강영희(康永希)・이선학(李善學)・방하일(方河一)・김사걸(金士傑)・홍우상(洪佑相)・양준명(梁峻命)・한찬수(韓贊洙)・최학렴(崔學濂)・손대성(孫大成)・양세준(梁世準)・송병천(宋炳天)・조광휘(趙光彙)・김하성(金河聲)・조환(趙煥)・조형식(趙亨植)・정석우(鄭錫禹)・방순필(方淳弼)・이겸수(李謙洙)・김원명(金元明)・이덕수(李德洙)・김인화(金仁化)・이응태(李膺泰)・이상진(李相瑨)・한선지(韓善智)・김병익(金炳翊)・조명형(趙明衡)・주인화(朱寅化)・최봉희(崔鳳熙)・이경하(李景河)・이응종(金應鍾)・임중호(林仲浩)・이석신(李錫信)・황명중(黃命仲)・최찬혁(崔贊赫)・여주현(呂周鉉)・심영석(申永錫)・이우현(李雨鉉)・김인하(金仁河)・박주율(朴周嵂)・홍정원(洪正源)・정도승(鄭道承)・박용원(朴容源)・문천수(文天洙)・이상호(李尙鎬)・이치실(李致實)・안이정(安履貞)・변승익(邊承益)・오면규(吳冕奎) 등이다.
같은 해 15일에 이상 두령(頭領)에서 갈라선 일진회장 이용구 선생의 아래 있는 동학당파(東學黨派)는 본 주문(呪文)에 의하여 교명(敎名)을 시천교(侍天敎)라 명칭하고 각각 문호를 세우다.
이로부터 정당사회(政黨社會)는 양(陽)이고, 도덕사회(道德社會)는 음(陰)이다. 음양(陰陽)으로 두 어깨와 두 날개와 같이 두 바퀴로 함께 굴러 정당(政黨)과 도덕(道德) 두 개의 사회가 나란히 나아가는 동시에 정미년(1907년, 융희 1) 7월 11일에 전(前) 한국정부법부대신(韓國政府法部大臣) 조병응(趙重應)에게 우리 두 선생의 신원(伸冤)을 상주(上奏)해서 호소하였다. 그 죄안(罪案)을 각의(閣議)를 경유하여 상주하여 재가(裁可)하시어 죄적(罪籍)을 말끔히 씻고 스승의 행장(行狀) 전문을 연보의 뒤에 자세히 싣는다. 상세한 상황은 하권 제3편에 기재하니 하권 제3편 8장을 상세히 살펴보시오.
소화(昭和)□□년 6월 17일.
제세주(濟世主) 강생(降生) 121년 갑신(甲申) 동학도종역사(東學道宗繹史)
편집인 양암(良菴) 옛 이름 강필도(康弼道)
동학도종역사 상권 제12편 끝.
천도교(天道敎)로 분열된 두령(頭領)의 성씨와 이름은 아래와 같다.
의암(義菴) 손병희(孫秉熙) 씨 이하 박인호(朴寅浩)・홍병기(洪秉箕)・이종훈(李鍾勳)・김낙철(金洛喆)・김훤배(金暄培)・오영창(吳永昌)・정광조(鄭廣朝)・나용환(羅龍煥)・홍기조(洪基兆)・나인협(羅仁協)・오지영(吳智泳)・권병덕(權秉悳)・권동진(權東鎭)・오세창(吳世昌)・양한묵(梁漢默)・이인숙(李仁淑)・방찬두(方贊斗)・최린(崔麟)・정규환(鄭奎煥)・이종린(李鍾麟)・이병춘(李炳春)・이종석(李鍾奭)・정영두(鄭永斗)・홍기억(洪基億)・이상우(李祥宇)・정두현(鄭斗鉉)・최준모(崔俊模)・안처흠(安處欽)・김안실(金安實)・김영실(金永實)・최주옥(崔周玉)・손필규(孫弼奎)・오응선(吳膺善)・김도빈(金道彬)・이태윤(李泰潤)・지동섭(池東爕)・배성천(裵成天)・최동희(崔東羲)・임예환(林禮煥)・김창수(金昌洙)・이돈화(李敦化)・오상준(吳尙俊)・전기준(田起俊)・조기풍(趙基豊)・백낙현(白樂賢)・오봉오(吳鳳梧)・김광수(金光洙)・김성진(金聖鎭)・이필규(李弼揆)・김적홍(金迪弘) 등이다.
〈번역 : 심영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