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도교 남원군 종리원
본원의 연혁
최초 교(敎)의 대원(大源)이 본원(本院)에 유래할 때는 포덕 2년[1861] 신유 6월에 대신사(大神師)께서 호남으로 향하시어 산천풍토 인심풍속을 살펴보시고 본군에 이르러 광한루 아래 오작교(烏鵲橋) 옆 서형칠(徐亨七) 집(당시 약방)에 머물러 주인의 조카 공창윤(孔昌允) 집에서 유숙하시고 수 십일을 머물며 서형칠, 공창윤, 양형숙(梁亨淑), 양국삼(梁局三), 서공서(徐公瑞), 이경구(李敬九), 양득삼(梁得三) 제현(諸賢)의 동정(同情)으로 포덕하시다.
동년 가을에 대신사께서 은적암(隱跡庵)(은적암은 본군 읍의 서쪽 10리 쯤의 교룡산성(蛟龍山城) 덕밀암(德密庵) 내에 대신사가 거처하던 방호(房號))에 돌아오시어 연성(煉性)으로 가을 겨울을 지내시고 신구 해를 보내고 맞이하실 때 가사(歌詞)를 지으시어 각지 문도에게 보내서 천지조화에 대한 품은 뜻[조응(照應)의 회(懷)]을 서술하시다.
동 3년[1862] 임술 봄에 대신사께서 은적암으로부터 귀향하신 후에 서형칠, 양형숙, 공창윤 등이 용담정(龍潭亭)에 왕래하여 도맥(道脈)을 통하다가 동 5년[1864] 갑자 봄에 대신사의 참변 후에 은둔하였다.
동 30년[1889] 기축에 김홍기(金洪基)씨가 교의 대원을 다시 왕래하여 포덕의 선구가 된 바 김영기(金榮基), 김종우(金鍾友), 이기면(李起冕), 이기동(李起東), 김종황(金鍾黃), 유태홍(柳泰洪) 제현이 포덕의 기틀을 잡고 황내문(黃乃文), 이규순(李圭淳), 최진악(崔鎭岳), 변홍두(邊洪斗), 정동훈(鄭東勳) 제씨가 동정하여 포덕이 수천에 달하였다.
동 33년[1892] 임진 가을에 대신사의 신원(伸寃) 일로 각도 교인이 전주 삼례역(參禮驛)에 회집할 때에 본군 도인 수백이 참여하여 의송(義訟)할 무렵 관리의 압박 위험 때문에 소장(訴狀)을 올릴 인물이 없어서 의아(疑訝)하고 황공(惶恐)한 중에 좌도(左道)에 유태홍, 우도(右道)에 전봉준 씨가 자원 출두하여 관찰부에 소장을 올린 즉 관찰사가 영장(營將) 김시풍(金始豊)에게 명하여 출병 산회하였고 또
동 34년[1893] 계사 정월에 전봉준의 문필로 창의문을 지어서 각 군 아문에 게시할 때 남원에 김영기, 운봉에 김성기(金聖基), 구례에 유태홍, 곡성에 김재홍(金在泓) 제씨가 동 10일 인시(寅時)에 첨부한 후 대신사의 신원 일로 서울 광화문 앞에서 복합(伏閤)하고 또 보은(報恩) 장내(帳內)와 금구(金溝) 원평(院坪) 회집 때에 본군 교인 수천이 참석하였는데, 위무사 어윤중(魚允仲)이 윤음(綸音)을 받들어서 산회시켰는데 두 해 회집에 가산을 모두 소비하였다.
동 35년[1894] 갑오년에 비정개혁(秕政改革)인 혁명운동에 김개남(金開男), 전봉준이 본군에 와서 5영(五營)(전영(前營), 후영(後營), 좌영(左營), 우영(右營), 중영(中營))을 설치하고 49일 진을 칠 때 매영(每營)에 일원장(一元將), 이원장(二元將), 군수장(軍守將), 영장(營將)을 두고 또 성찰(省察), 통찰(統察) 수십 인씩을 두었다. 그럼으로 각도 교인 수십만이 본군에 모여 4~5개월을 경과한 후 김개남, 전봉준은 공주로 행군하고 본군에 남은 타군 도인 유복만(劉福滿), 남응삼(南應三), 정창규(鄭昌奎), 김연구(金煉九), 이사명(李士明), 최준필(崔準弼) 등의 대접(大接)과 본군 도인 김홍기, 황내문, 이규순, 이기동, 박세춘(朴世春), 유태홍, 변홍두, 최진악, 심노환(沈魯煥), 조동섭(趙東燮), 김우측(金祐側) 등 대접이 각각 수천인씩 이끌고 동 11월에 군 동쪽 방애(砧峙)재에서 운봉 박봉양(朴鳳陽)과 접전하다가 패배하여 사상자가 매우 많았고, 그 후 본군을 수성하다가 운봉 민포(民包)가 본군 민포와 내응하여 동월 그믐 무렵 본군 성 사대문에 불을 지르고 성을 함락함에 동학군이 사방으로 흩어져 도주하니 유태홍은 남은 병사 5백여 명을 이끌고 순천으로 향하였더니 각군 민포가 봉기하여 순천도 민포에게 함락을 당하고 도인이 사방으로 흩어져 도주할 때에 유태홍은 산 넘고 물 건너 전전하며 목숨을 도모하였고 김홍기, 황내문, 이규순, 이사명 외 수백인이 남원 장터, 오수 장터 및 각 방면 도회지에서 총칼로 처참히 살해를 당하고 그 외 생존한 도인도 가산탕진하고 유리걸식자가 수백 인이었다.
동 36년[1895] 을미 가을에 장남선(張南善), 김종황, 유태홍, 김재홍(金在泓), 박진경(朴進暻) 제현이 구적(舊蹟)을 인승(引承)하여 포덕을 속행하다.
동 41년[1900] 경자에 성사(聖師)의 설법명교(說法命敎)로써 전라남북도 교인이 본군 성 남쪽의 수정리(水晶里)에 회집하여 설법식을 거행하다.
동 43년[1902] 임인에 춘암(春菴)선생께서 순회 차로 본군에 오실 때 장남선, 김종황, 김종웅(金鍾雄), 이기동, 박진경 외 제현이 환영하다.
동 45년[1904] 갑진 8월에 성사께서 한정(韓廷)의 비정(秕政)을 개혁하고자 진보회(進步會)를 조직하고 신도는 일체 단발(斷髮)할 때에 장남선, 김종황, 이기동 제씨가 지회의 회무를 잡고 그 지휘 아래 본군 회원이 일체 단발하다. 동년 11월에 진보회를 일진회(一進會)로 전환할 때에 집무한 사람은 김종황, 박진경, 박희영(朴喜泳), 권춘수(權春洙), 김진용(金鎭容) 제씨다.
동 47년[1906] 병오에 성사가 일본으로부터 귀국하시어 경성에 중앙총부를 창립 후 퇴회귀교(退會歸敎)의 종령(宗令)에 의하여 장남선, 김종황, 박진경, 유태홍, 박세춘, 김준식(金準植) 제씨의 성의로 동년 6월 19일에 본군 읍 고도정리(古道井里)에 집을 구입하여 교구를 창립하였다가, 동 48년[1907] 1월에 교구 사무를 유지하기 곤란하여 둔덕면 관동리(館洞里) 이기동씨의 사제에 딸린 방으로 이전하였다가 위치가 불편하여 동년 12월 12일에 오수 서촌리(西村里) 김진용씨의 집에 딸린 방으로 이전하다. 동 49년[1908] 무신 5월 7일에 오수상고(獒樹商賈)의 상무소(商務所)를 빌려서 교무를 겨우 보다가 동년 8월 11일에 오수 같은 마을 박영환(朴永煥) 집 4칸을 월세로 구입하여 교구실을 이전하고 장남선, 이기동, 김종황 3씨의 성의로 교구실을 건축하자는 발기에 하영석(河永錫), 박진경, 유태홍 3씨의 찬조로 박희영, 유태홍, 김성재(金性在) 3씨가 주동하여 장마와 더위 그리고 굶주림과 목마름을 견디면서[潦暑饑渴을 喫하면서] 의연금을 거두어 모으다.
동 50년[1909] 기유 2월에 최병현(崔炳鉉), 성용락(成龍樂), 홍규섭(洪圭燮) 3씨를 선발하여 중앙총부 사범학교에 입학하다. 동년 9월에 오수 차후리(次后里) 김현대(金顯大)씨의 초가 7칸을 매입하여 동 24일에 교구실을 이전하고 동 11월 6일에 교리 및 보통강습소를 설립하다.
동 51년[1910] 8월 2일에 중앙총부 사범학교에서 지방강습소 우등생을 뽑아 보내라는 공함(公函)에 의하여 본 강습소 최우등생 박기영(朴琪永)을 선발하여 입학하다. 동년 12월 27일에 강습생의 수료식을 거행하다.
동 53년[1912] 임자 4월에 운봉교구를 본 교구로 합병하다.
동년 12월부터 동 54년[1913]을 전후하여 장남선, 김종황, 이기동 제씨가 성사의 발탁으로 봉황각(鳳凰閣) 연성(煉性)을 마치고 또 성사의 명교(命敎)로써 박진경은 임실 조치(朝峙)에서, 유태홍, 박영기, 최병현은 장수 팔공산 팔성암(八聖庵)에서, 김성재는 전주 소양(所陽) 미륵암(彌勒庵)에서, 강동일(姜東一), 김경연(金景淵), 신창우(申昌雨), 홍위일(洪魏一), 양해성(梁海成), 하영석(河永錫), 하영서(河榮瑞) 외 제씨가 남원교구에서 차례로 49일 연성을 마치다.
동 54년[1913] 계축에 군면리(郡面里) 분합(分合)에 의하여 본 교구실 위치가 임실군이 된 까닭으로 본군 덕과면 율천리(栗川里) 초가 5칸을 매입하여 동년 11월 27일에 이전하다.
동 58년[1917] 정사 11월 17일에 각 군 교구실을 각 읍내에 설립하신다는 장실명교(丈室命敎)에 의하여 교구 이전을 경영하나 아무런 방침이 없음으로써 유태홍, 김성재 양씨가 3개월간 비바람을 피하지 않고 신앙의 힘을 발휘하여 성조(誠助)를 받아 본읍 금리(錦里) 가옥 12칸과 대지 3백여 평을 매입하여 동 59년[1918] 2월 3일에 교구실을 이전 시무하다.
동 59년[1918] 4월에 구례군 교구실을 본구로 합병하다.
동 60년[1919] 기미(이하 생략) 동 61년[1920] 경신 12월에 중앙총부 청년회에서 연례강습회를 열고 지방 교구 내 학식있는 청년을 뽑아 보내라는 공함에 의하여 최병현, 이강전(李康全), 유종석(柳宗錫), 김영운(金永運), 정봉기(丁鳳奇), 강재득(姜在得) 제씨를 선발하여 강습회에 강습을 마치다.
동 62년[1921] 7월 26일 종령 제122호로 발포된 의정회(議正會) 규정에 의하여 남원, 곡성, 광양, 순천, 순창, 담양, 장성 7교구가 연합하여 본구에서 의정원을 선발했는데 최다점 최규섭(崔圭燮), 차점 최병현씨더라.
동 64년[1923] 5월 27일 신규제(新規制)에 의하여 교구실이 종리원의 명의로 변경됨에 따라 직원의 명의도 종리사로 되다.
布德 年代
敎區長
理文員
典制員
金融員
庶應員
講道員
巡廻敎師
동 47년 6월 19일
장남선
박진경
윤상수
김종황
김준식
동 48년 12월 12일
이기동
이기원
박진경
김종주
박희영
김종황
황남현
동 49년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김성재
동 50년 1월 10일
상동
상동
상동
박진경
공선 상동
유태홍
상동
동 51년 4월 28일
박진경
상동
김종황
배광조
상동
김성재
상동
동년 12월 12일
상동
상동
상동
김현대
상동
상동
상동
동 52년 4월 6일
상동
상동
유태홍
상동
유태홍
김종황
상동
동 53년 5월 24일
김종황
서기 김경연
상동
정기준
강동일
이기동
동 54년 6월 일
하영석
이기원
상동
배광조
김현대
상동
동 55년 7월 1일
박진경
상동
김성재
유태홍
김종황
상동
동 56년 월 일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김현대, 신창우
동 57년 7월 12일
상동
최병현
상동
상동
상동
배영기, 이규대
동 58년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동 59년 2월 12일
유태홍
상동
신창우
최병현
정기준
김성재
박진경
동년 8월 7일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김성재
동 60년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상동
동 61년
상동
유종석
강동일
박용래
김경연
상동
상동, 상동
동 62년 월 일
상동
상동
신창우
김봉연
상동
강동일
동년 12월 20일
이강전
정봉기
상동
상동
최병현
상동
동 63년 8월 일
종무사
포덕원
서무원
평리원
상동
이강전
강동일
최병현
정기준
동 64년 5월 27일
포덕과주임종리사
서무과종리사
경리과종리사
이강전
최병현
정기준
동 64년 7월 9일
상동
상동
신용우
동 65년 8월 20일
최병현
상동
면직원 경질표
면직원 경질표
둔덕면
포덕 연대
직명
씨명
동 47년6월 19일부터
전교사
김종웅
동 49년까지
상동
상동
동 50년부터
상동
양재영
동 51년까지
상동
상동
동년12월20일
상동
김병규
동 52년 5월 3일
상동
김경연
동 53년 1월 10일
전교사
하영서
동년 9월 3일
상동
이강전
동 54년 1월 3일부터
상동
하영서
동 61년1월까지
상동
상동
동년 2월
상동
김봉재
동 62년 12월 일
상동
하영서
동63년 12월 27일
종무원
상동
동 64년8월 24일
종리사
하영서
동년 9월 10일
상동
김경연
대산면
동 47년 6월 19일
전교사
박기영
동 49년 4월
상동
김영선
동 51년 4월 12일
상동
김재훈
동년 12월 29일
상동
김영근
동 52년 10월 30일
상동
양해교
동 53년 4월 15일
부인전교사
윤세화
동년 7월 17일
남 전교사
박정순
동 55년 10월 7일
상동
안민섭
동 56년 6월 9일
상동
김영근
동 58년 7월 14일부터
상동
김종기
동 61년 11월까지
상동
상동
동년 12월 23일
상동
박봉안
동 63년 10월 12월 27일
종무사
상동
동 64년 8월 24일
종리사
김계원
동 65년 1월 23일
상동
박정순
주생면
동 50년 1월 10일
전교사
강동일
동 52년 6월 2일부터
상동
신창우
동 59년 4월까지
상동
상동
동년 5월 1일
상동
신용우
동 62년 6월 20일
상동
강재득
동 63년 11월 17일
종무원
상동
동 64년 6월 29일
종리사
상동
동년 7월 7일
상동
신창우
동 65년
덕과면(德果 德古)
동 47년 6월 19일
전교사
황종택
동 48년 9월
덕고전교사
허종섭
동 52년 5월 2일
적과전교사
김덕봉
동 55년 8월
덕고전교사
김현옥
동년 8월 15일
적과전교사
이기원
동 61년 10월 16일
상동
김창길
동 63년 10월
兩面會務
성해룡
동년 11월 7일
종무원
박용래
동 64년 8월 24일
종리사
박용래
동 65년
상동
보절면(寶玄, 高節)
동 47년 6월 19일
전교사
장영기
동 48년 12월 3일
상동
황현주
동 49년 12월
보현전교사
상동
상동
고절전교사
강영귀
동 50년 6월 7일
보현전교사
황현주
상동
고절상동
강성종
동 53년 1월 10일
보현고절전교사
장만선
동 55년 9월 7일
상동
전창권
동 58년 5월 8일
상동
장경년
동 59년 4월 13일
상동
장영수
동 61년 10월 26일
상동
장경일
동 63년 11월 17일
종무원
상동
동 64년 6월 29일
종리사
상동
동 65년
상동
상동
상동
사동리
동 48년
전교사
조규열
동 50년 1월 28일
상동
이종기
동 57년 4월 4일
상동
문경록
동 59년 4월 13일
상동
문경신
동 63년 11월 17일
종무원
상동
동년 12월
상동
이영옥
동 64년 6월 29일
종리사
상동
동 65년
상동
사매면
동 51년 5월 16일
전교사
박용래
동년 12월 29일
상동
정기준
동 54년 4월 11일
상동
박용래
동 62년 6월 18일
상동
정봉기
동 63년 11월 17일
종무원
상동
동년 12월 2일
상동
박용래
동 64년 6월 29일
종리사
상동
동 65년
상동
이백면(白岩 白波)
동 47년 6월 19일
전교사
박희영
동 50년
백파전교사
유태홍
동년
백암전교사
김용두
동 50년
下백암전교사
김봉신
동 51년 12월 29일
상동
박준욱
동 53년 5월 6일
백파전교사
유종석
동 58년 5월 8일
백암전교사
박래호
동 63년 11월 17일
二白 종무원
유종석
동 64년 9월 4일
종리사
상동
동 65년
상동
산동면
동 47년 6월 19일
전교사
박세춘
동 51년 12월 29일
상동
장선장
동 52년 4월 6일
상동
박영기
동 63년 11월 17일
종무원
상동
동 64년 6월 19일
종리사
상동
동 65년 8월
상동
양재봉
남원면(時山, 西奉)
동 51년 12월 29일
시산전교사
박성회
동 52년 4월 6일
서봉전교사
양해성
동 53년 4월 15일
서봉 부인전교사
김용화
동 55년
상동
우학로
동 56년 4월 4일
시산전교사
박권영
상동
서봉부인전교사
신권화
동 61년 6월 20일
합무상동
형태룡
동 63년 11월 17일
종무원
상동
동 64년 8월 24일
종리사
상동
동 65년
상동
주천면
동 56년 6월 9일부터
전교사
홍위일
동 59년 11월까지
상동
상동
차후로는 남원면으로 합무(合務)하다
지사면
동 48년
전교사
최한수
동 51년
상동
정순옥
동 52년 4월 6일
상동
엄군선
동 9월 5일
부인전교사
이한화
동 55년 10월 7일
상동
김봉기
동 59년
상동
최상학
동년 11월부터 동 61년 6월까지
상동
김봉재
차후로는 임실군종리원으로 종무(從務)하다
산내면
포덕 53년 6월부터
전교사
김희준
동 61년까지
상동
상동
차후로는 이백면(二白面)으로 합무하다
산동면(구례)
동 48년부터
전교사
허탁
동 50년까지
상동
상동
동 50년 3월부터
상동
우공정
동 54년까지
상동
상동
동년 4월부터 구례교구로 합무하다가 동 59년 4월에 구례교구실을 남원군교구실로 합병하다
구례군
동 59년 4월
전교사
박성래
동 61년 10월 5일
상동
서정덕
동년 4월
상동
이기홍
동년 6월
상동
조기일
동 63년 11월 17일
종무원
이기홍
동 64년 8월 24일
종리사
상동
동 65년 1월
상동
조기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