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창계실기 蒼溪實記
일러두기

창계실기(蒼溪實記)

창계 신공 실기서(蒼溪申公實記序)

천지(天地)의 굳세고 넓은 기운은 움직이면 바람과 번개가 되고, 엉기면 서리와 눈이 되며, 높이 쌓이면 산악이 되고, 흐르면 강과 바다가 되며, 정기가 모이면 쾌장부(快丈夫)나 기남자(奇男子)가 된다. 근세의 창계(蒼溪) 신공(申公) 같은 분은 이 기운이 모아져서 태어나신 분인가. 공은 암혈(巖穴)에서 독서하던 선비이며 초야에서 콩잎 먹고 지낸 어진 분으로서, 종이에 붓 놀리고[鉛槧], 글을 짓는 것[翰墨]이 평소 익힌 것이요, 창과 같은 무기나 육도삼략(六韜三略)과 같은 병서는 본래 익힌 바가 아니었다.
 고종(高宗) 갑오년(1894)의 난리를 당하여 영남 이남에는 벌떼와 개미들처럼 모여든 무리들이 날로 불어나 백만 명이나 되었다. 혹 승냥이처럼 어금니를 갈아 대고, 혹 살무사처럼 독을 뿜어내니, 위로는 사직(社稷)이 누란(累卵)의 위태로움이 있게 되었고 아래로는 생령(生靈)들이 어육(魚肉)이 되는 참혹함이 있었다. 그런데도 곤외(閫外, 왕성 밖)를 호령하는 장수들은 겁을 먹고 두려워하여 전진하지 못하고, 지방을 지키는 관원은 머뭇거리며 뒷걸음치고 있었다. 공이 이에 분한 마음으로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격문을 보내 의병을 모집하고, 백면서생으로 단(壇)에 올라가 한 자 되는 칼로 대중에게 맹세하였다. 첫 번째 싸움에 신원(薪院)에 둔취한 적을 베어 죽이고, 두 번째 싸움에 신녕(新寧)의 진을 깨부수고, 세 번째 싸움에 효령(孝令)의 소굴을 짓이겨 괴수는 죽이고 무리들은 풀어 주었으니, 누가 범노자(范老子, 범중엄)처럼 흉중에 수만 명의 갑병(甲兵)이 감추어진 것을 알았으리오.
 몸에는 태산(泰山)처럼 우뚝한 공을 지녔으나, 마음속으로는 모토(茅土)의 상을 끊고, 갈건(葛巾)과 야복(野服)으로 쑥대밭과 정자 위를 소요하면서 지냈다. 죽을 때까지 세 번 이긴 공로를 말하지 않았으니, 앞선 말한바 쾌장부나, 기남자가 공이 아니면 누구이겠는가. 한 편의 실기(實記)가 세상에 퍼지게 된다면 공의 위대한 이름은 높은 관작이 주어지는 것보다 빛날 것이다. 내가 이를 위하여 부처 머리를 똥으로 더럽히는 혐의를 피하지 않고 감히 위와 같이 서문을 써서 책을 내는 사람에게 주며, 내세에도 오래도록 전해지도록 부탁하노라.

흥양(興陽) 이상교(李相敎) 삼가 서문을 쓴다.

주석
신공(申公) 신공(申公):신석찬(申錫燦). 1851년(철종 신해년) 3월 16일 의흥현 창리(昌里)에서 태어나 1921년(신유) 12월 20일 고향에서 죽었다. 나이 71세였다.
[鉛槧] 연참(鉛槧):글씨를 쓰는 납 가루와 나무판자라는 뜻으로, 붓과 종이를 말한다.
[翰墨] 한묵(翰墨):문한과 필묵이란 뜻으로, 글씨를 쓰거나 글을 짓는 것을 말한다.
범노자(范老子, 범중엄) 범노자(范老子):범노(范老) 즉 소범노자(小范老子)의 준말로서, 송(宋)나라 범중엄(范仲淹)을 가리킨다. 그가 용도각 직학사(龍圖閣直學士)로 있다가 섬서 경략사(陝西經略使)로 나가 수년 동안 변방을 지킬 때에 강족(羌族)들이 그를 용도노자(龍圖老子), 소범노자(小范老子)로 부르면서 ‘그의 흉중에는 수만 갑병이 들어 있다.’고 두려워하여 감히 침범하지 못했다는 고사가 있다. 여기서는 창계 신석찬이 전쟁터에서 범중엄과 같은 재략이 있었음을 비유한 말이다.
모토(茅土) 모토(茅土):천자가 제후를 봉할 때 띠(茅)에다 쌓아 주는 흙을 말한다.
부처 머리를 똥으로 더럽히는 부처……더럽히는:훌륭한 글의 첫머리에 변변찮은 서문을 써서 그 글을 욕되게 할 수 없다는 겸사이다. 송(宋)나라 구양수(歐陽脩)가 『오대사(五代史)』를 지었는데, 어떤 사람이 서문을 지어 앞머리에 붙이려 하자 왕안석(王安石)이 말하기를 “부처의 머리 위에 어찌 똥을 바른단 말인가.” 한 데서 유래하였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