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창계실기 蒼溪實記
일러두기

조약 절목(條約節目)

    1. 선비가 이 세상에 태어나서 밝은 곳을 등지고 어두운 곳에 뛰어들며, 정도를 버리고 이단을 좇는 것은 실로 개탄스러운 일이다. 방금 임금께서 임어(臨御)하셔서 문무의 덕을 겸하시고 백성들에게 거듭 윤음을 내리셨을 뿐만 아니라, 감영의 관문(關文)과 고을에서의 신칙(申飭)도 이와 같이 엄중하니, 무릇 우리 고을의 많은 선비들은 떳떳한 충정(衷情)이 격동되는 바에 누가 마음을 다해 준행하려 하지 않겠는가. 이에 약중(約中)에서 적을 방어하는 계책과 강(講)을 받는 절차를 각별히 정돈한다.
    1. 강에 응하는 절차를 늦출 수 없으니, 이번 달 15일부터 시작하여 각 면(面)의 강장이 유생들을 거느리고 와서 강에 응하는 것이 올바른 일이다. 『통감(通鑑)』『사략(史略)』으로부터 위로 사서삼경까지를 각기 읽은 정도에 따라서 사실대로 계획(計劃)하여 관에 보고한다.
    1. 비류(非類)들은 근거지가 없는 무리들이다. 모였다가 흩어지는 것이 무상하고, 인민들을 약탈하며 잔인하게 해치는 짓을 남김없이 하고 있다. 이쪽 면에 변괴가 생기면 저쪽 면에서 호응하고, 이쪽 마을에서 변괴가 생기면 저쪽 마을에서 호응하는 것이 옳다. 만약 고을과 부(府)에 변괴가 생기면 우리 지역의 12개 면(面) 모두 황급히 군정(軍丁)을 징발하고, 각 면의 면장이 군정을 이끌고 가서 위급함을 구원한다.
    1. 이와 같이 함께 약조한 뒤 만일 조약을 어기는 면이 생기면 회중(會中)에서 관에 아뢰어 벌칙을 시행한다.
주석
강(講)을 받는 절차 강(講)을 받는 절차:서당 등에서 배운 글을 스승이나 윗사람 앞에서 외우는 것을 말한다.
『통감(通鑑)』 통감(通鑑):강지(江贄)가 지은 『소미통감절요(少微通鑑節要)』
『사략(史略)』 사략(史略):증선지(曾先之)가 지은 『십팔사략(十八史略)』
계획(計劃) 계획(計劃):유생의 성적을 따져서 시험의 등급을 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