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창계실기 蒼溪實記
일러두기

4일

대구(大邱)의 사인(士人) 이하상(李夏祥)이 이번 의거를 듣고 도보로 고개를 넘어와서 말하기를,
 “아! 저 비류들은 윤리와 강상을 무너뜨리고 지나가는 곳마다 사람들을 잔인하게 해쳐서 스스로 하늘을 끊었습니다. 얼마나 다행스러운지, 오늘날 적수공권에 단심(丹心)으로 오직 ‘의(義)’ 한 글자만을 위국(衛國)과 안민(安民)의 사이에 기치로 세우셨습니다. 하상은 비록 그런 위인은 못 되나 마음은 똑같습니다. 그러므로 백열(栢悅)의 사사로운 마음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라고 하였다.
 당시 원근의 제현들도 누구나 갖고 있는 품성은 똑같았기 때문에 시사를 개탄하며 혹 방어책을 논의하기도 하고, 혹 적을 토벌한 일을 하례하니, 봉마(蓬麻)의 문에 수레가 잇달아 찾아와 빈 날이 없었다.
 군위의 이조영(李祚永)ㆍ이두영(李斗永)ㆍ최봉실(崔鳳實)ㆍ최정로(崔貞魯)ㆍ최봉소(崔鳳韶), 본 의흥군의 박연기(朴煉基)ㆍ박태한(朴泰漢)ㆍ박원식(朴元植)ㆍ노광호(盧光昊)ㆍ노용호(盧龍昊)ㆍ금석호(琴錫瑚)ㆍ홍만하(洪晩河)ㆍ이원재(李元在)ㆍ이진재(李鎭在)ㆍ홍경흠(洪暻欽)ㆍ이재극(李在極)ㆍ박우식(朴禹植)ㆍ김홍삼(金鴻彬)ㆍ박찬조(朴瓚祚)ㆍ홍만석(洪晩錫)ㆍ박태건(朴泰健)ㆍ박재선(朴載璇)ㆍ홍종원(洪鍾遠)ㆍ홍종택(洪鍾澤)ㆍ박태전(朴泰銓)ㆍ박재관(朴在寬)ㆍ최흥종(崔興鍾)ㆍ홍재욱(洪在郁)ㆍ박현인(朴顯垔)ㆍ박응식(朴膺植)ㆍ도현룡(覩見龍)ㆍ도오룡(都五龍)ㆍ손태영(孫泰永)ㆍ손선영(孫善永)ㆍ박종하(朴鍾夏)ㆍ박성찬(朴誠瓚)ㆍ장제구(蔣濟九)ㆍ진상련(陳尙鍊)ㆍ김규준(金泰準)ㆍ이만우(李萬宇)ㆍ이상의(李祥儀)ㆍ최대려(崔大呂)ㆍ최동태(崔東泰)ㆍ문현상(文現相)ㆍ이장복(李章福)ㆍ이장춘(李章春)ㆍ박현옥(朴顯玉)ㆍ박현구(朴顯玖)ㆍ이광춘(李光春)ㆍ이유구(李裕龜)ㆍ박원식(朴元植)ㆍ박태호(朴泰鎬)ㆍ박만송(朴晩松), 칠곡의 조병위(曺秉衛)ㆍ조병구(曺秉樞)ㆍ정치환(鄭致賢), 대구의 신숙균(申琡均)ㆍ이달상(李達祥)ㆍ서정곤(徐正坤)ㆍ채윤기(蔡尹基), 신녕의 장두영(張斗永)ㆍ장두길(張斗吉) 등이었다.

주석
백열(栢悅) 백열(栢悅):같은 무리끼리는 기운이 서로 통하기 때문에 상대가 잘되면 같이 기뻐하고 상대가 잘못되면 같이 슬퍼한다는 뜻이다.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하고, 지초(芝草)가 불에 타면 혜초(蕙草)가 탄식한다.’라는 말에서 유래하였다.
봉마(蓬麻) 봉마(蓬麻):봉생마중(蓬生麻中)의 준말로 “쑥이 삼대 속에 나면 붙잡아 주지 않아도 곧다.[蓬生麻中 不扶而直]”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훌륭한 벗을 둔 것을 말한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