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째 군부에 올림[三度呈軍部]
경상도 유생 이정기 등은 삼가 아룁니다. 외사(外史)에 드러나 있기를, “대개 비상한 공이 있으려면 반드시 비상한 사람을 기다려야 한다.”라고 하였으니, 공이 스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반드시 이루며, 사람이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하늘이 반드시 드러내는 것입니다. 지금 의흥 사인 신석찬은 본관이 평산으로, 충성과 절개, 효도와 우애로서 향당에서 추앙받고 있는데, 항상 말하기를 “마음은 어두운 곳에서 스스로를 속여서는 안 되며, 의로운 일은 사지(死地)라 해도 구차히 벗어나려고 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으니, 그 입지(立志)의 굳셈이 대개 이와 같습니다.
갑오년 때 어리석은 저 동도(東徒)들이 감히 임금의 교화를 거역하여 임금께서 밤낮없이 근심하였고, 화란에 빠진 백성들이 많아서 호남에서부터 영남에 이르기까지 막아내지 못하였습니다. 적의 기세는 마치 거대한 고래가 그물에 걸린 듯 창졸간에 다스리기 어려웠고, 인심은 마치 머리를 내밀고 적의 동향을 살피는 쥐처럼 머뭇거리며 앞으로 진격하지 않았으니, 모든 영남이 함락되는 것도 머지않았었습니다. 아, 저 신석찬은 이에 의흥, 군위, 칠곡 세 고을의 여러 선비들과 더불어 개탄하여 도적을 초멸(剿滅)하자고 창의하며 말하기를 “아, 저 동학의 무리들이 그릇된 법을 전파하고 부르짖으며 날마다 약탈을 일삼으니 이는 용서하지 못할 도적이다.”라고 하고서 이어 세 지역에 통문을 발송하여 무리 수천 명을 얻었습니다.
이해 8월 21일에는 적들을 고을 남쪽 30리 떨어진 신원에서 포위하여 27명을 잡아 죽였고, 22일에는 동쪽으로 신녕의 적들을 격파하여 그 무리를 잡았으며, 23일에는 서쪽으로 효령의 소굴을 격파하여 그 괴수를 사로잡아 모두 죽였습니다. 이 이후부터는 도적 떼들이 자취를 감추고 인심이 바르게 되돌아와서 다시는 완악함을 부리지 못하게 되었으니, 갑령의 상하와 낙동강의 동서가 이에 힘입어 온전할 수 있었습니다.
이때에 소모영과 토포사가 신석찬이 앞장서서 창의하였음을 알고서, 바야흐로 호남을 근심으로 삼아 더불어 힘을 합쳐 토벌하고자 하였습니다. 직사(直使)가 원군(援軍)을 청하자, 신석찬이 말하기를 “국사로서 부르니 가지 않을 수 없습니다만, 내가 지난날 적들을 사로잡은 것은 우리 여러 사람들의 힘에 의지해서였습니다. 지금 멀리 싸우러 가는 것은 형세가 어려운데, 다만 유생들의 병력뿐입니다.”라고 하고서, 이어 관군 2백 명을 청하였습니다. 6일분의 식량을 갖고 행진하여 30리 경계 지역에 이르렀는데, 때마침 소모영이 적을 패퇴시켰다는 관문을 받고 이내 회군하여 돌아오게 되었으니, 제군(諸軍)들이 서로 경하하여 말하기를 “싸우지 않고 진영을 혁파하니 우리 장수의 복입니다.”라고 하였습니다.
대저 전쟁이란 사지(死地)인데, 백면서생으로 1여(旅, 500명의 군사)의 무리를 거느리고 나아가기를 그치지 않는 마음이 있었으니, 진실로 충의(忠義)가 마음속에 쌓이지 않고서 이와 같이 할 수 있겠습니까. 이겼다는 소식을 듣고 돌아와서는 몸을 거두어 공이 없는 것처럼 임하(林下)에 자취를 감추었으니, 그의 지조를 더욱 알 수 있습니다.
지금 군공에 대한 작위와 상이 비록 신석찬이 지켜 온 바에 이익이 되거나 손해가 될 것은 없으나, 세상에 없는 이러한 공적이 있는데도 아직도 포상의 은전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저희들이 같은 도에 거주하면서 침묵할 수 없기에 신석찬의 전후의 공적과 본 군수의 질품 초안, 관찰사가 군부에 올린 제교(題敎)를 이에 감히 점련하여 저번 대신께 호소하였더니, 데김의 내용에 “대개 그 사람이 장부에 누락된 것이 실로 흠이 되는 일임이 증험된다. 공론이 없어지지 않는다면 반드시 그날이 있을 것이니, 물러나서 기다리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하였기 때문에 저희들이 삼가 처분을 기다린 지가 이미 1달이 넘었습니다. 조급함을 이기지 못하고 이에 다시 엄명하신 대신께 우러러 올리오니, 특별히 살펴 주시고 속히 임금께 계달하여 신석찬의 높고 장한 공적을 포상해 주셔서 후인들이 다투어 사모하고 충의를 다할 수 있게 해 주시기를 천만 바랍니다.
군부대신 합하
건양 2년(1897) 4월 일
데김에,
“이미 전에 지시하였으니, 우선 물러나서 기다리도록 하라.”
라고 하였다.
4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