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미나미 고시로 문서 南小四郞文書
일러두기

미나미 고시로 이력서(1861~1870)

이력서

미나미 고시로
구명(舊名) 도시타네(敏胤)
1842년 6월 15일생

    1. 1861년 에도(江戶)에 있는 번저(藩邸)에서 네덜란드식 학문의 전습(傳習)을 명받음.
    1. 1862년 5월 날짜 미상 야마구치(山口) 한학료(漢學寮)에 들어가다.
    1. 1862년 9월 날짜 미상 상의대(尙義隊)에 입대하다.
    1. 1864년 5월 날짜 미상 구사카 요시스케(久坂義助)044)가 상경(上京)할 때 수행참모 직무대행이 되다.
    1. 1864년 5월 날짜 미상 상경(上京), 오사카(大阪)를 거쳐서 덴노잔(天王山)에 진을 치다.
    1. 1864년 7월 11일 인선으로 교토(京都)에 가다. 같은 날 출발하여 후시미(伏見)에 도착해서 머물다. 14일 교토로 가서 교토 가와라쵸(瓦町) 번저(藩邸)에서 잠복하다.
    1. 1864년 7월 19일 오전 4시 사카이쵸문(堺町門)과 나카다치우리문(中立賣門) 사이에서 전투하다. 25일 귀국하다.
    1. 1864년 8월 날짜 미상 산죠 사네토미(三條實美)045) 이하 로쿠고(六鄕)의 경위대(警衛隊) 책임자로 임명되다.
    1. 1864년 12월 날짜 미상 번내(藩內)에 정간파(正奸派)로 나뉘어 간당이 하기(萩) 지역에서 일어나자 그 거동의 염탐을 명받다.
    1. 1865년 정월 날짜 미상 나가토노쿠니(長門國) 미네군(美祢郡) 오다ㆍ에도(太田繪堂)의 여러 고을에서 전투하다.046)
    1. 1865년 정월 날짜 미상 연전(連戰) 하기 지역에 이르다. 2월 날짜 미상 여러 부대가 승리를 거두고 야마구치(山口)로 철수하다.
    1. 1865년 4월 날짜 미상 고죠다이(鴻城隊)로 전입(轉入)하다.
    1. 1865년 4월 날짜 미상 같은 부대 참모서기(參謀書記)를 겸직하다.
    1. 1865년 10월 날짜 미상 게이슈(藝州)로 가서 막병(幕兵)의 진퇴 및 상국(上國)의 근황을 동번에서 염탐하다.
    1. 1866년 6월 날짜 미상 막부병이 사방에서 압박하다.
    1. 1866년 4월 날짜 미상 중대장(中隊長)을 겸직하다.
    1. 1866년 7월 날짜 미상 게이슈구치(藝州口)로 출장을 가다. 8월 날짜 미상 게이슈(藝州) 미야우치무라(宮內村) 부근에서 전투하다.
    1. 1866년 7월 7일 미야우치무라에서 막부군 다카다(高田), 히코네(彦根), 기슈(紀州)의 군대와 전투하다. 마침내 적병이 패하여 히로시마(廣島)로 물러나고 큰 승리를 거두다.
    1. 1866년 7월 날짜 미상 미야우치무라를 출발, 일단 보슈(防州) 미야이치(宮市)로 철수하여 그곳 고쿠분지(國分寺)에서 휴식을 취하다.
    1. 1866년 9월 14일 다시 부젠노쿠니(豊前國, 현재 후쿠오카현 동부와 오이타현 북부) 고쿠라구치(小倉口)로 출장, 17일 고쿠라(小倉)에 착진(着陣)하다.
    1. 1866년 9월 날짜 미상 고쿠라 분고하시(豊俊橋) 외에 곳곳에서 전투하다.
    1. 1866년 10월 4일 부젠노쿠니 고쿠라 가모(蒲生) 도쿠리키무라(德力村) 등에서 연이어 고전하다. 5일 가모 미나미카타(南方) 다카쓰보(高坪)에서 격전을 벌였는데 적병이 드디어 패주하다.
    1. 1866년 10월 6일 부젠노쿠니 시이무라(推村)에서 전투, 적병이 기계를 버리고 패하여 기베고개(木部峙)로 도망하다.
    1. 1866년 10월 7일 전투, 적병(敵兵)이 지키던 기베고개의 포루(砲壘)를 버리고 가와라(香春)로 도망하다. 아군이 차지한 기베고개를 넘어 사이도쇼무라(採銅處村)로 추격, 그곳에서 철수하여 요부노무라(呼野村)에서 체진(滯陣)하다.
    1. 1866년 10월 7일 사쓰마(薩摩)ㆍ히고(肥後) 양번(兩藩)의 무사 5명이 기베고개 포루 아래로 와서 고쿠라번(小倉藩)을 위해 종전을 청하다. 다음 날부터 종전을 하다. 8일 고쿠라번 기베고개 외에 여러 포루를 부수다.
    1. 1866년 10월 7일 응접 담당으로 명받다.
    1. 1866년 12월 날짜 미상 고쿠라번과 여러 날 담판한 끝에 가로(家老) 오가사와라 분고(小笠原豊後)와 수행자 약간 명이 마관(馬關, 시모노세키의 다른 이름)에 이르렀으나, 번주(藩主) 및 일족(一族)이 연서하는 일을 거절하였기 때문에 양쪽을 다니며 연서를 유도하다.
    1. 1867년 2월 날짜 미상 부젠노쿠니(豊前國) 요부노무라(呼野村)를 출발하여 야마구치(山口)로 개선하다.
    1. 1867년 4월 날짜 미상 어순대(御楯隊)와 합병하여 정무대(整武隊)로 이름을 바꾸다.
    1. 1867년 4월 날짜 미상 본진(本陣) 경계를 명받다.
    1. 1867년 5월 날짜 미상 제3중대장이 되다.
    1. 1867년 5월 날짜 미상 야마구치학과숙(山口學科塾)에 들어가다.
    1. 1867년 12월 날짜 미상 산요도(山陽道)로 출장가다. 28일 빈고노쿠니(備後國, 현재 히로시마현) 오노미치(尾道)에 상륙하여 그곳에 진을 치고 머무르다.
    1. 1868년 1월 8일 빈고노쿠니 후쿠야마(福山)로 진격하여 전투를 하다. 적병이 드디어 항복하다. 평정이 되자 바로 빈고노쿠니(備後國)를 출발하여 비젠노쿠니(備前國) 가타카미(片上)에 착진하다. 그곳에서 길을 따라 하리마노쿠니(播磨國) 히메지(姬路)에 이르다. 동번(同藩)이 귀순(歸順)해 왔기 때문에 이어서 이요노쿠니(伊豫國) 杏山으로 출장하다. 또 동번(同藩)에서 귀순해 와서 이요노쿠니 미쓰하마(三津濱)에 잠시 진을 치고 머무르다.
    1. 1868년 4월 날짜 미상 미쓰하마를 출발, 그곳에서 승선하여 미타지리(三田㞍)로 개선하다.
    1. 1868년 4월 날짜 미상 다시 제3중대장이 되다.
    1. 1868년 10월 1일 오슈(奧州)로 출장가다. 같은 날 미타지리항(三田㞍港)에서 승선하여 바로 출범했으나 도중에 풍랑을 만나서, 4일 사도노쿠니(佐渡國, 현재 니이가타현) 고미즈항(小水港)에 계선(繫船)하고 상륙하여 잠시 휴식하다. 같은 날 오후 승선, 출범하다.
     11일 우고노쿠니(羽後國) 쓰치자키항(土崎港)에 착선(着船)하여 상륙하다. 그곳에 잠시 머무르면서 적의 상황을 염탐하다.
    1. 1868년 10월 12일 적군에 가담한 제후가 모두 관군에 항복하고 이미 와카마쓰성(若松城)이 함락되어 번주(藩主) 부자가 군문에 항복해 왔다는 보고가 이르다. 이에 다시 하코다테(函館)의 적병을 토벌하라는 명을 받다.
    1. 1868년 10월 12일 사타케(佐竹候)가 아군의 훈련을 관전하다. 끝나고 배알(拜謁)하자 술과 안주[酒肴]를 내리다. 당일 지휘관이 되다.
    1. 1868년 10월 19일 쓰치카지항을 출발, 우고노쿠니 후타쓰이(二ツ井) 오다테(大館) 무쓰노쿠니(陸奧國) 이카리가세키(碇ヶ関) 히로사키(弘前)를 거쳐 23일 아오모리항(靑森港)에 착진하다.
    1. 1868년 11월 1일 시미즈(淸水谷) 시종(侍從)이 아오모리(靑森) 체진 관군의 연병을 보고 마침내 술과 안주를 내리다.
    1. 1869년 4월 2일 적병을 토벌하는 함대가 아오모리에 착항하다. 도중에 남부 미야코항(宮古港)에 계선했을 때 3월 25일 적병이 가지고 있던 가이텐(回天), 반류(幡龍), 다카오(高尾) 3척을 거느리고 우리 함대를 불시에 습격하여 피해를 입히고 하코다테로 도망했다는 보고가 있어서 우리 부대가 도항(渡航) 준비의 명을 받다.
    1. 1869년 4월 6일 아오모리항을 출발하여 동항(同港)에서 운송선 히료마루(飛龍丸)를 타고 같은 날 출범(出帆)하였으나, 오후에 풍조(風潮) 때문에 무쓰노쿠니(陸奧國) 다카노사키(高野崎)에서 계선하다. 7일 오전 5시 출범 9일 오후 오시마노쿠니(渡島國) 오토베무라(乙部村)에 착선하여 상륙했을 때 부선(艀船) 안에서 개전, 고투한 후 상륙하여 오시마노쿠니(渡島國) 에사시항(江差港)을 함락시키다. 적병이 바로 겁을 먹고 재빠르게 마쓰마에성(松前城)으로 도망하다.
    1. 1869년 4월 11일 오후 에사시(江差)를 철수, 적병을 추격하여 鶉越로 진격하다. 12일 中二股에서 야영하면서 上二股에 있는 적의 형편과 지형을 정탐하다.
    1. 1869년 4월 13일 오전 6시 上二股으로 진격하여 전투를 벌여 불의의 돌격(突擊)으로 적의 포루 7개소를 함락하다. 적의 무리는 본루로 철수하다. 북(北)크루를 급격히 공격했으나 승패가 결정되지 않고 날이 저물어 中二股으로 철수하다.
    1. 1869년 4월 16일 군함(軍監) 구로다 료스케(黑田良輔)047)와 야마다 이치노죠(山田市之烝)048)가 와서 13일 버리고 간 포루(砲壘) 및 적(敵)의 상황을 보다. 우리 부대가 수행하고 이곳의 포루를 버릴 수 없기 때문에, 우리 부대의 유치(留置), 공수(攻守) 준비를 해야 할 것을 청하다. 군감이 이를 허락하였으므로 야영을 하며 주야로 포대를 쌓고 이를 지키다.
    1. 1869년 4월 18일 오전 2시 새벽안개를 틈타 대포를 쏘며 적군이 포복해 와서 공격하므로 아군이 급격하게 전투하다. 오전 4시 적병이 겨우 강을 건너 본루로 도주하다.
    1. 1869년 4월 20일 오후 8시 비가 내리다. 안개가 심해서 지척도 분간할 수 없는 틈을 타서 21일 오전 1시 대포를 쏘며 습격, 아군이 돌진하여 공격하자 적병이 낭패하며 총기를 버리고 二股로 달아났는데 키 큰 조릿대가 무성하여 복병이 있을 것을 염려하여 추격을 멈추고 흩어진 채로 날이 밝기를 기다려 철수하다.
    1. 1869년 4월 21일 오후 5시 적병이 갑자기 대포를 쏘며 습격해 와서 전투, 얼마 후에 적병이 물러가다. 추격 후 철수하다.
    1. 1869년 4월 22일 오후 5시 정찰 척후를 나가다. 적병을 만나자 바로 개전, 아군이 분노, 격투하다. 23일, 24일 연전(連戰) 고투(苦鬪)하다. 같은 날 오후 2시 적의 발도대(拔刀隊)가 돌격하자 무기를 당해내지 못했으나 그 돌격대가 아군을 오히려 분투하게 하여 적이 여러 명 죽고 남은 적은 겨우 본루(本壘)로 도망하다. 뒤를 쫓아 아군이 함성을 지르며 총진격하여 일거에 대승을 거두다. 적병은 크게 패하여 마침내 설소(設所)를 버리고 도망하다.
    1. 1869년 4월 25일 오노무라(大野村)에서 돌격(突擊) 전투하다. 적병이 드디어 패하여 기쿄무라(桔挭村)로 달아나다.
    1. 1869년 4월 28일 오전 2시 나나에무라(七重村)에 도착하여 전투하다. 밤에 암흑과 풍우를 틈타 적의 진영에 불을 놓고 습격하다. 아군이 격투에 굴하지 않고 공방을 계속하다 날이 밝기를 기다려 나나에무라로 철수하다.
    1. 1869년 5월 3일 오전 5시 적병(賊兵)이 습격해 와서 별안간 전투를 벌이다. 적병이 아군의 세력이 맹렬함을 알았는지 잠시 후에 물러나다.
    1. 1869년 5월 6일 오전 4시 오카와무라(大川村)에서 적병이 대거 습격해 와서 아군이 순식간에 흩어져 전투하다. 二般의 복수를 위해 발도적(拔刀敵)을 몰살할 약속을 하고 적이 우리 포대에 접근하는 것을 엿보아 대성일갈(大聲一喝)하면서 총포를 한 발 쏘자 발도비참(拔刀飛斬) 적병(敵兵)이 크게 낭패하여 대오가 흩어져서 포로가 되거나 항복하다. 대패하여 총기를 버리고 고료카쿠(五稜郭)로 도주하다.
    1. 1869년 5월 7일 이시카와무라(石川村)로 적의 형편을 정찰하러 나가다. 이시카와무라로 들어가서 전투하다. 이날은 적의 형편과 지리를 탐사하는 것이 목적이고 전투를 하려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서서히 오카와무라 진영으로 철수하다.
    1. 1869년 5월 8일, 9일 위와 같음.
    1. 1869년 5월 11일 오전 4시 이시카와무라 및 곤겐산(權現山)에서 전투하다. 우리 부대가 굴복하지 않고 육박(肉薄)으로 추격하다. 드디어 이시카와무라 곤겐산에 있는 적루(敵壘)를 함락하다. 적병은 고료카쿠로 도주하다. 이날 해수(海手)의 관군과 연락하다.
    1. 1869년 5월 13일 오전 고료카쿠(五稜郭)로 진격, 전투하여 적병 200명이 항복하다.
    1. 1869년 5월 14일 오전 야마테(山手)의 관군이 대포를 쏘며 고료카쿠를 공격하다. 우리 부대가 포호대(砲護隊)가 되어 전투하다. 이날 적의 사관(士官) 8명이 항복하다.
    1. 1869년 5월 15일 오전 6시 개전하여 고료카쿠를 공격하다. 적의 세가 좌절되어 나가지 못하고 성곽 주위에 관군이 있어서 적이 진퇴할 수 없다가 마침내 고료카쿠를 함락하다.
    1. 1869년 5월 18일 적의 무리가 항복하다. 19일 완전히 평정하고 하코다테(函館)로 철수하여 숙진(宿陣)하다.
    1. 1869년 5월 21일 우리 부대 전사자의 제사를 시행하기 위해 에사시(江差)에 파견되다. 23일 복명(復命)하다.
    1. 1869년 5월 25일 개선하여 하코다테항(函館港)에서 비각선(飛脚船)을 타고 오후 출범하다. 6월 1일 시나가와항(品川港)에 도착하여 바로 상륙, 도쿄성(東京城) 니주바시(二重橋) 아래에 있는 관사에 착진하다.
    1. 1869년 5월 20일 대대장이 되다.
    1. 1869년 5월 24일 옛 번주(藩主)가 귀국할 때 호위대가 되다. 같은 날 도쿄(東京)를 출발하여 요코하마항(横濱港)에서 비각선을 타고 오후 출범하다. 28일 미타지리항(三田㞍港)에 도착하여 바로 상륙하다. 그 곳 본영(本營)으로 귀진(歸陣)하다.
    1. 1869년 11월 4일 야마구치(山口)에서 왕정복고(王政復古)로 상비군을 편성하기 위해 여러 부대를 집합시켰는데 병사들이 뜻을 거스르고 부대에서 떠나므로, 취지를 반복하여 설득해도 듣지 않고 미야이치(宮市)로 배반하여 달아나다.
    1. 1870년 2월 9일 탈영병을 토벌하기 위해 출발, 요시키군(吉敷郡) 요로이고개(鎧峠)에서 전투하다.
    1. 1870년 2월 10일 오전 6시 사바군(佐波郡) 에라고개(江良峙)의 탈영병을 공격하며 산 위로 올라가서 탈영병의 소굴을 치다. 탈영병이 고전하다 크게 패하여 요시키군(吉敷郡) 니호시(仁保市) 세키슈(石州) 쓰와노(津和野)로 도망하다.
    1. 1870년 2월 10일 반란의 무리가 항복하므로 번내(藩內)를 평정하고 야마구치(山口)로 철수하여 류후쿠지(龍福寺) 馬場 구진영(舊陣營)에서 숙진(宿陣)하다.
    1. 1870년 6월 3일 여러 해 동안 군무(軍務)의 공로를 인정하여 번주(藩主)가 상으로 1대 사족(士族)이 되게 하고 25석(30년간)을 하사하다.
    1. 1870년 6월 날짜 미상 부대를 해산하고 휴가를 보내다.
    1. 1870년 10월 날짜 미상 오사카(大阪) 병부성(兵部省) 생도(生徒)가 되어 프랑스식 수업을 받다.
    1. 1870년 10월 12일 오사카에 도착하여 14일 검사를 받다.
    1. 1870년 10월 15일 병부성 생도가 되어 같은 날 입영하다.

위는 사실과 틀림이 없습니다.

야마구치현 요시키군 제486번지 거주
1894년 8월 사족 미나미 고시로

주석
044) 구사카 요시스케(久坂義助):구사카 겐즈이(久坂玄瑞, 1840~1864), 쵸슈번(長州藩) 무사로 쵸슈번의 대표적인 존왕양이파(尊皇攘夷派).
045) 산죠 사네토미(三條實美):1837~1891. 메이지 정부 최고 수뇌부 중 한 명으로 이후 내각총리대신, 귀족원 의원을 역임했다.
046) 1865년……전투하다:오다ㆍ에도전투(1865, 정월), 쵸슈번의 무사들로 구성된 부대와 다카스기 신사쿠(高杉晋作, 1839~1867)가 이끄는 하급 무사와 농민들로 구성된 부대와의 싸움으로 약 10일간의 전투는 다카스기 군의 승리를 돌아갔다. 오다ㆍ에도전투로 쵸슈번은 에도막부를 타도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오다, 에도 지역은 메이지유신의 발상지로 불리고 있다.
047) 구로다 료스케(黑田良輔):구로다 기요타가(黒田清隆, 1840~1900) 사쓰마번 무사, 1869년 4월 16일 에사시에 상륙해 구 막부군과의 최후의 전투를 지휘했으며 후에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였다.
048) 야마다 이치노죠(山田市之烝):야마다 아키요시(山田顕義, 1844~1892) 쵸슈번 무사, 요시다 쇼인(吉田松陰)의 제자로 일본의 작은 나폴레옹으로 불렸으며 근대 일본의 법전을 정비했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