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리청 소속에서 교체된 부영관 성하영이 첩보합니다. 영관이 안성군에 있을 때, 도착한 순무사의 영지(令旨)에 근거하여 계원영관 구상조와 함께 3소대를 거느리고 급히 청주에 간 연유는 이미 첩보하였으며, 군대 행군이 청주에 도착하여 주둔하였습니다.
또한 순무사에게 아뢴 내용에 대한 회답에, “죽산에 머물러 나아가지 않아서 접응하는 것이 아직 지체되고 있다. 어찌 군대의 규율이 있다고 하랴. 지금 ‘청주영의 상황이 조금 느슨해졌으며, 또 경병과 일본군사가 도착할 것이다’라고 들었다. 진천과 목천의 적을 깨끗하게 없애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로써 공문을 주고받아(枚移) 거행할 것이며, 대병(大兵)이 접응하기 위해 지금 막 출발하였으니, 적을 무찌르고 사로잡는 방법은 선봉진이 절제할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정해진 날에 모두 목천 복구정(伏龜亭)으로 나아가서, 선봉의 절제를 기다리겠다는 내용으로 우선 죽산부에 공문을 보냈으나, 지금 [구]영관인 저는 이미 체직되었고, 신영관은 부임한지 며칠이 되었는데도 아직도 와서 군대를 이끄는 임무를 바꾸지 않고 있으니, 임무가 없는 장수가 군대를 이끌어 헛되이 시간을 보내고 있어서 황송함을 이길 수 없습니다.
제(題) : 일본군사가 이미 출발하였으니, 며칠 전 전령한 대로 시행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