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갑오군정실기 甲午軍政實記
일러두기

별단(別單)

조총(鳥銃) 141자루, 창(槍) 288자루, 거마적(拒馬的, 기병을 막는 무기) 32건(件) 징(鉦) 5개, 동로구(銅爐口, 구리로 만든 작은 솥) 3좌(坐), 북(鼓) 3좌(坐), 나팔 2개, 장전(長箭, 싸움에 쓰는 긴 화살) 3,200개, 편전(片箭) 2,000개, 청나라 탄환 26개 궤짝 절반 26,500개, 철환(鐵丸, 쇠로 만든 작은 탄환) 351,000개, 작은 삽 5자루, 큰삽 5자루, 수철로(水鐵爐, 주철로 만든 화로) 1좌(坐), 월도(月刀, 언월도) 1자루, 곡팽이(曲光伊) 1자루, 철촉롱(鐵燭籠) 2쌍, 잡색대소깃발(雜色大小旗) 30면(面), 철질려(鐵蒺藜, 마름쇠) 1,500개, 전촉(箭鏃, 화살촉) 2,000개, 철삽 1개, 흰쌀 266석, 정조(正租, 벼) 367석, 콩 12석, 보리 8석, 소금 3석, 추격해서 죽인 자가 7명, 포로로 잡아 죽인 자가 10명, 사로잡은 북접(北接) 거괴 김복용(金福用).

주석
편전(片箭) 애기살. 짧고 작은 화살이다. 또한 절반으로 쪼개진 가는 대나무통인 통아를 이용하여 사격하는 특수한 사격방식을 의미한다. 중국에서는 일명 고려전(高麗箭)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통아를 거쳐 화살이 발사되기 때문에, 화살의 탄도가 안정이 되고 사정 거리가 크게 늘어나고 관통력도 좋아진다. 편전의 사거리는 일반 각궁의 2배에 달했다고 한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